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태양
손해
손상
햇빛
불리
훼손
상해
스페셜
"
해
"(으)로 총 2,571건 검색되었습니다.
[웹툰] 문자녀
KOITA
l
2013.11.06
멋진 제자, 선배가 되려고 열심히 배우고 있습니다. 대학원 생활의 둥지를 틀 수 있게
해
주신 큰 나무와 같은 교수님 너무 감사합니다! 마지막으로 한 가지 3년 동안 정말 여쭈어 보고 싶은게 있는데... "교수님, 왜 한 달 동안 문자를 보관하고 계셨던 거예요?" (교수님 사랑합니다^^♡) * 본 콘텐츠는 ... ...
빛의 속력은 어떻게 측정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11.05
거리를 그것을 통과하는 데 걸린 시간으로 나눈 값이다. 그러므로 빛이 광케이블을 통
해
이동한 거리(5.5km)와 빛이 카메라에 촬영되지 않을 때의 톱니바퀴의 분당 회전 수 및 톱니바퀴의 개수를 알면 빛의 속력을 구할 수 있다. 이렇게 과천과학관에 설치된 광속측정 장치로 계산한 빛의 속력은 약 280 ... ...
해
보고 싶은 연구 마음껏 하는 사람들
동아사이언스
l
2013.11.04
수 있다는 사실”이라는 아인슈타인의 말에서 영감을 얻어 “우주를 이
해
할 수 있게
해
주는 유전자를 찾고 싶다”는 소망으로 프로젝트를 기획했다고 한다. 지능유전자 사냥을 비판하는 사람들은 이런 연구결과가 결국은 인공수정 과정에서의 선별이나 유전자 검사에 기반한 낙태 등의 비윤리적 ... ...
커뮤니케이션의 본질은 변하지 않는다
KOITA
l
2013.11.04
기술적 혜택들이 자신을 드러내지 않고, 숨어있는 채 사람들의 자연스러운 생활을 보조
해
주는 형태 말이다. * 본 콘텐츠는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의 온라인 뉴스레터 KOITA IN 25호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
알레르기 환자는 암에 잘 걸리지 않는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3.10.30
예전에 법정 스님의 수필을 읽다가 스님이 11월의 산을 가장 좋아한다는 구절을 보고 ‘나도 그런데’라고 맞장구를 치다가 좋아하는 이유가 전혀 달라 역시 수준 차이가 난다 ... 있는 필자 같은 사람은 자신을 민감하다고 자책할 게 아니라 ‘섬세한’ 사람이라고 위안
해
도 좋을 것이다 ... ...
“자동으로 시각을 알리는 정밀한 물시계를 제작하여라!”
동아사이언스
l
2013.10.10
국립과천과학관 관아에서 울리는 종과 북 소리가 시간의 기준 핸드폰도 없고 시계도 없던 시대에 우리 조상들은 어떻게 시간을 파악하고 생활했을까? 조선 ... : 자격루 모형 및 자격루 설명 동영상이 잘 만들어져 있다. 자격루 외에도
해
시계, 혼천시계 등을 같이 볼 수 있어 가 볼만 하다 ... ...
"어려움이 있더라도 늘 무언가는 배울 수 있는 직업이 과학자죠"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10.10
걱정 없이 하고 싶은 연구에 매진하고 자유롭게 창의적인 생각을 하는 것이라고 생각
해
요. 어려운 난관에 부딪히더라도 꺾이지 않는 긍정적인 자세도 필요하겠지요. 연구 활동에서 실패도 많겠지만 그 과정에서도 늘 무언가 배우는 것은 있으니까요. ...
Apple 신화의 시작점. 혁신기기 아이맥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10.08
컴퓨터 업체로서는 의례적으로 음악 시장에 뛰어들었고 이후 2007년엔 아이폰을 출시
해
스마트폰 시장의 강자로 우뚝 섰다. 명실상부 아이맥은 기사회생한 애플의 일등 공신이다. 잡스는 한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다. “소비자들에게 그들이 원하는 것을 물은 다음에 그것을 만들어 줄 수는 ... ...
임부가 피
해
야 할 음식들, 정말 먹으면 안 될까?
KISTI
l
2013.09.26
임신 초기인 3개월까지는 치과 치료가 아니더라도 일반적으로 조기 유산을 주의
해
야 하는 시기이기 때문에 가능하면 치료를 피하는 것이 좋다. 임신 말기가 되는 7개월에서 출산까지는 치과 진료 의자에 누워 머리를 젖히는 자세가 혈압 저하를 일으킬 수 있고 스트레스로 인한 조산 우려가 있기 ... ...
하루키의 귀환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09.25
없다. 하지만 한국문학의 발전을 위
해
최소한의 인프라와 지원체계를 갖추었는지에 대
해
문학계나 출판계 인사들은 이구동성으로 아쉬워하기 때문이다. 책은 인간이 문화적으로 성장시키는 출발점이다. 책 만드는 일은 인류역사상 가장 오래된 문화산업이기도 하다. 정부가 말하는 창조경제는 ... ...
이전
234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