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새로운"(으)로 총 10,542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사람이야? 로봇이야? 호모 사이보그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안녕? 난 2118년, 올해로 11살이 되는 ‘모가래로 로보트’이야. 여기 목 아래론 기계와 결합된 사이보그지. 내 머리 앞쪽에 들어 있는 특별한 칩 ... 신분증이 내 몸속에!Part 3. 호모 사이보그, 텔레파시를 보내다Part 4. 호모 사이보그, 새로운 감각을 얻다Part 5. 호모 사이보그, 뇌 세포 만으로 OK? ... ...
- Part 1. 호모 사이보그, 인간 + 기계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우주 진출을 위해 만들어진 ‘사이보그’영화 ‘저스티스 리그’에는 몸의 절반은 사람, 나머지 절반은 기계인 사이보그가 등장해요. 주인 ... 신분증이 내 몸속에!Part 3. 호모 사이보그, 텔레파시를 보내다Part 4. 호모 사이보그, 새로운 감각을 얻다Part 5. 호모 사이보그, 뇌 세포 만으로 OK? ... ...
- Part 5. 호모 사이보그, 뇌 세포 만으로 OK?!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뇌 세포 + 로봇 = 사이보그?!2008년, 영국 레딩대학교 연구진은 쥐의 뇌 세포 30만 개로 움직이는 로봇을 개발 했다고 발표했어요. ‘고든’이라 ... 신분증이 내 몸속에!Part 3. 호모 사이보그, 텔레파시를 보내다Part 4. 호모 사이보그, 새로운 감각을 얻다Part 5. 호모 사이보그, 뇌 세포 만으로 OK? ... ...
- [실전! 반려동물] 개는 왜사람을 무는 걸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거의 없어요. 그래서 휠체어 타는 사람이나 자동으로 문이 열리고 닫히는 엘리베이터 등 새로운 상황을 만나면 깜짝 놀라며 불안과 공포를 느끼지요. 또 보호자와 반려견의 불안한 관계도 원인이 될 수 있어요. 가족 구성원과 안정적인 관계가 형성되지 않았다면 자신의 위치를 확인하려고 공격적인 ... ...
- [과학뉴스] 인공 DNA로 단백질 만들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만들어진다. 연구팀은 X가 들어간 AXC와 GXC 등 세 염기의 조합으로 자연계에 없던 새로운 아미노산을 만들었다. 4개의 염기로 만들 수 있는 아미노산은 총 20개이지만, X와 Y가 포함되면 최대 172개의 아미노산을 생성할 수 있다. 로메스버그 박사는 “우리 연구는 생명이 살아가는 방식을 바꿀 수 있는 ... ...
- [Issue] 중국을 선택한 이유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첨단 기술은 한국과 동일한 수준이거나 더 앞선다. 시장이 광대한데다 중국 정부가 새로운 산업을 뿌리내리게 하기 위해 엄청난 노력을 기울이고 있기 때문에 과학자들에겐 중국이 기회의 땅이다. 가령, 한국은 인터넷 속도에선 최고지만 활용도는 중국에 뒤처진다. 이미 중국은 인터넷 기반 공유 ... ...
- Part 2. 포스트 ISS 시대, 달 우주정거장이 되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검토 중이다. 우주기지는 달 정거장에 도착한 발사체나 우주인이 쉬어가는 장소이자 새로운 연료를 공급 받는 주유소가 된다. 물, 산소와 같은 달 현지 자원을 연료로 바꾸는 기술, 이 연료를 수급하는 기술 등이 이미 연구 중에 있다. 중력 덕분에 발사체가 심우주 게이트웨이와 달 표면의 우주기지 ... ...
- [Culture] 뜻밖의 히어로즈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꽤나 많습니다. 심장을 이식 받은 김과동은 평생 면역억제제를 먹어야 합니다. 새로운 삶을 살게 됐지만, 참고 이겨내야 할 것들도 많아진 겁니다. 아직 고등학생인 과동이가 견디기엔 쉽지 않은 일일 겁니다. 그럼 각막을 이식 받은 최기자는 어떨까요. 기자는 최소한의 면역억제제만 복용하면 ... ...
- [Career] 분자기계와 배터리의 효율적인 만남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뽑혔다. 그랬던 그가 어떻게 기존 방식을 버리고 배터리에 분자기계를 적용하겠다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생각했을까. 최 교수는 다른 분야에서 부피 팽창을 어떻게 제어했는지 연구 결과를 조사했다. 그 중 탄성이 매우 큰 하이드로겔을 개발한 연구팀이 분자기계를 이용해 부피 변화에서 오는 ... ...
- 이공계 직업 정보 [화학&신소재]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현재 주로 사용되는 리튬이온 배터리의 단점을 보완하는 기술을 개발하거나, 아예 새로운 배터리를 개발할 수도 있다. 특히 리튬의 경우 원료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이를 대체할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종이처럼 얇게 만들어 옷이나 컵 표면 등 어디에나 쉽게 인쇄하는 신개념 ... ...
이전2352362372382392402412422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