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에네르기
힘
활력
원기
기력
파워
energy
d라이브러리
"
에너지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3. 독과 해독제의 뜨거운 전쟁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체내에서 치토크롬옥시다아제라는 효소와 결합한다. 이 효소는 세포 내에서
에너지
를 만드는 미토콘드리아에 산소를 전달하는데, 청산과 결합하게 되면 세포에 산소를 공급하지 못한다.해독제로는 아초산나트륨과 티오황산나트륨을 쓴다. 아초산나트륨은 시안화수소보다 효소와 더 빨리 결합해 ... ...
물리학자가 우주상수에 집착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때마다 가스를 이루는 원자 안의 전자들은 낮은
에너지
준위에서 높은 준위로 점프한다.
에너지
준위는 원자핵이 전자를 얼마나 강하게 붙들고 있느냐에 따라 다른데, 이는 빛과 원자 간의 상호작용에 관여하는 미세구조 상수에 영향을 받는다는 얘기다. 칠레 초거대 망원경이 보여준 2차 반전199 ... ...
7T MRI로 더 선명하게, 더 깊게 본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차이가 커지게 된다. 고주파를 맞고 높은
에너지
상태로 뛰어 오른 수소핵이 다시 낮은
에너지
상태로 되돌아오면서 방출하는 전자파도 강해진다. MRI 영상은 이 전자파를 측정해 얻기 때문에 전자파의 세기가 강해질수록 더 선명한 영상이 가능하다.현재 일반적인 병원에서 많이 사용하는 1.5T~3T MRI의 ... ...
뇌조절 기술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것이다. 직진성이 높은 마이크로파 빔을 뇌의 한 부위에 집중시키면 그 때 생겨나는
에너지
가 신경세포를 자극할 수 있기 때문이다.네덜란드 그로닝겐대의 시에라 교수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뇌자극 방법이 언젠가는 뇌에 바늘을 찔러 넣는 방식을 대신할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에라 교수는 ... ...
실패를 새로운 아이디어로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새로운 관점과 지식이 필요하다. 그런 면에서 휼륭한 연구성과를 보여주는 ‘멀티스케일
에너지
시스템’ 연구실에 도전정신을 갖고 지원했다.처음 연구실에 들어오니 생활환경도 학부 때와 다르고, 연구도 했다. 대학교에 다닐 때는 그저 주어진 것만 잘 하면 된다. 하지만 대학원에서 하는 연구는 ... ...
Part2. 대한민국 1호 큐브샛 ‘시네마’ 올해 일낸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폭발 현상(플레어)이 일어나면 수소폭탄 100만 개가 폭발하는 것과 같은 상상할 수 없는
에너지
가 분출된다. 이와 함께 10억t에 이르는 태양 입자가 우주 공간으로 쏟아진다.시네마에 실린 ‘스타인(STEIN)’이라는 검출기는 이들 입자를 빠짐없이 잡아낸다. 스타인은 길이 5.1cm로 아주 작다. 무게는 500g ... ...
좋아하는 것과 잘하는 것 사이에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읽으면 화학을 공부해서 환경을 살리는 방법이나 신약 개발, 바이오 에탄올과 같은 대체
에너지
개발 등 구체적인 분야를 알 수 있어. 문제집이나 교과서에서 배운 화학이 그냥 문자로 기억되는 게 아니라 실제 현상과 연결되니까 공부도 더 재밌어질 거야. 구체적으로 전공하고 싶은 분야도 찾을 수 ... ...
해바라기! 지구를 지켜라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인연수 학생은 원래 꿈이 의사였지만 해바라기 활동을 통해 느낀 점이 있어 지금은
에너지
관리 공단에서 일하고 싶다고 한다. 박수진 학생은 예전에는 단순히 경영학을 공부하고 싶었지만 지금은 기업의 그린(Green) 경영과 친환경 상품 기획이라는 구체적인 꿈이 생겼다.학생들의 꿈을 들어 보니 ... ...
Part2. 인공 뇌 만들기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어느 뉴런에서 나왔는지를 알려주는 정보가 들어 있다. 슈퍼컴퓨터보다 느리지만,
에너지
소모가 적고 병렬로 연결해 효율적이다.스핀네이커가 뇌의 구조를 그대로 따라 하는 건 아니다. 실제 뉴런의 구조는 3차원인데, 스핀네이커 칩은 2차원 구조다. 원래대로라면 2차원 구조가 3차원 구조보다 ... ...
차세대 원전, 바다를 넘보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과학동아 2012년 2월호 참조). 나머지 대부분을 차지하는 ‘우라늄-238’은 핵분열에
에너지
가 많이 필요해 기존 원자로에서 핵분열을 일으키지 못한다. 그래서 연소 뒤 그대로 다른 핵폐기물과 함께 버리고 있다. 여기에는 ‘플루토늄-239’나 다른 초우라늄 핵종(우라늄보다 원자가가 높은 핵종들 ... ...
이전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