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여름"(으)로 총 3,038건 검색되었습니다.
- 눈, 몸이 천냥이면 눈은 구백냥과학동아 l1996년 07호
- 적출 수술을 시행한 다음 인공수정체를 삽입하는 것이다.결막염 - 잠복기를 거쳐 발병여름철이 되면 안과마다 눈병환자들로 크게 붐빈다.심한 충혈과 함께 눈꼽이 끼고 특히 어린이는 체온이 40℃가까운 흡사 감기같은 증세를 나타내는 결막염 환자가 많다.이 눈병은 전염성이 대단히 강해 온가족이 ... ...
- KAIST 송태호교수가 최초로 밝힌 얼음골의 비밀과학동아 l1996년 07호
- 울릉도의 '에어콘굴', 그리고 경북 의성의 '빙혈 풍혈'의 원리도 설명 가능하다. 이번 여름에는 자연산 냉장고로 피서를 떠나는 것도 좋을 듯 싶다. 단열팽창단열팽창이란 외부와 열교환 없이 부피가 늘어나는 것이다. 부피가 늘어나는 것은 압력이 낮아진다는 말과 같다. 이렇게 단열팽창현상이 ... ...
- 3. 통증을 정복한다 : 마약, 그 뒤에 숨은 이야기과학동아 l1996년 07호
- 동남아에서 자생하는 것보다 그 주성분인 카나비노이드(cannabinolds) 농도가 낮다. 초여름에 대마가 크게 자랄 때 약효 성분이 제일 높다고 해서 요즘 이를 구하는 남용자들이 산골을 설치고 다닌다. 양귀비에서 아편을 추출하듯, 대마초에서 추출한 물질을 해쉬쉬(hashishi)라 한다. 한편 LSD는 실험실에서 ... ...
- 1. 전기를 고압으로 송전하는 까닭과학동아 l1996년 07호
- 여름철이 오면 전기 소비량이 증가한다. 또 습기가 많아져 감전사고와 누전이 많아진다. 왜 전기는 고압으로 전송할까. 인간은 전기자극을 어느 정도 견뎌낼까. 습기가 많아지면 왜 감전이 잘 되는 것일까. 함께 의문을 풀어보자. 얼마 전 강원도에서 30대 남자가 목숨을 잃은 사고가 있었다. 그는 ... ...
- 2. 지구는 태양의 혜택을 얼마나 누릴까과학동아 l1996년 07호
- 얼마나 될까. (표1)은 어떤 지역의 계절에 따른 일조시간의 평균값을 나타낸 것이다.(1) 여름, 봄'가을, 겨울철에 태양전지판이 하루 동안에 받는 태양에너지는 각각 몇 kcal 일까?(정답) 여름: 6.0×10⁴, 봄'가을: 5.2×10⁴, 겨울: 4.3×10⁴ (2) 태양전지판은 전지판이 받는 태양 복사에너지의 약 20%를 . ...
- 두 얼굴의 장마과학동아 l1996년 07호
- 여름(따뜻한 남동풍)과 겨울(차가운 북서풍)에 뚜렷하게 나타난다. 우리나라 장마는 여름 몬순 기간에 나타난다. 그러나 몬순과 장마가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는다. 예를들어 유럽 몬순은 4월에서 7월 사이에 북서풍의 형태로 나타나지만 장마는 12월경에 발생한다.장마예측에 동원되는 첨단 ... ...
- 1. 당신의 정보는 안녕하십니까과학동아 l1996년 06호
- 연구소 등의 전산망 담당자들에게 6월은 '잔인한 계절'이다. 전국 대학이 6월말 일제히 여름방학에 들어가면 대학생들은 방학 동안 컴퓨터를 쓰는 시간이 늘어나 본격적인 해킹에 나선다. 이를 대비해 사전에 예방책을 마련해야 하는 것이다.전산망 보안담당자들은 해킹을 예방하기 위해 첨단 ... ...
- 3. 식빵에서 곰팡이가 피지 않는 이유과학동아 l1996년 06호
- 보관할 수 있다. 하지만 샤니의 유통기한은 5일이다. 그리고 기온과 습도가 높아지는 여름에는 유통기한을 4일로 줄인다.(우리들) 방부제가 들어가지 않는데 회사마다 곰팡이가 스는 시기와 면적이 다른 이유가 무엇인가?(샤니) 그 이유는 약 3가지 정도로 생각할 수 있다. 먼저 식빵이 변질되는 ... ...
- 이슬 머금은 자태로 먹이 유혹 끈끈이주걱과학동아 l1996년 05호
- 우리나라에는 2과 7종이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끈끈이주걱은 끈끈이귀개과에 속하며, 한여름에 가뭄이 들어도 물이 마르지 않는 산기슭 개울가의 화강암 지역이나 산에 발달된 질퍽한 늪 둘레에 산다.1950년대 서울에서는 도봉산, 북한산, 관악산에서 흔히 발견됐다. 그러나 인간이 산지를 무분별하게 ... ...
- 1. 대기과학 장기 일기예보가 불가능한 이유과학동아 l1996년 05호
- 고기압계는 몇천km의공간 규모를 가지며 그 일생은 1-3일 정도다. 그리고 우리나라 여름철 장마는 아시아, 태평양, 북반구 전체의 공간 규모를 가지고 1개월 이상의 일생을 누린다.이와 같이 기상현상들은 시공간적으로 넓게 분포한 스펙트럼을 가지며 상호관련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날씨예측에서 ... ...
이전2352362372382392402412422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