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크기"(으)로 총 7,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Hot Issue] 남의 고통은 나의 행복?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느낀 질투 정도는 각각 4점, 2점, 1점 정도였는데 배측전방대상피질에서 나타난 반응의 크기도 같은 순서였다. 자신과 관련 없는 분야에서 잘나가거나 자신과 비슷한 처지에 있는 친구들의 이야기를 들을 때보다 자기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친구의 이야기를 들을 때 그리고 이때 뇌에 나타나는 ... ...
- PART1. 태양계 행성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보이게 한다. 현재는 궤도상 명왕성과 태양이 점점 가까워지고 있어 당분간은 하트의 크기가 점점 더 줄어들 전망이다.하트 지형을 방문할 때는 숨은그림 찾듯 크레이터를 찾아보자. 광활한 얼음 위에 크레이터 흔적이 거의 없다. 이는 지형이 생긴 지 1억 년도 채 안 됐거나 수십억 년 동안 외부 ... ...
- [Knowledge] 예수는 어떤 와인을 마셨을까과학동아 l2015년 09호
- 향이 다 날아갔다. 포도 향이 있으면서도 잘 익은 와인을 마실 수 있게 된 것은 0.5㎛ 크기의 필터로 미생물을 걸러낼 수 있는 무균여과법이 등장하면서부터다.성경에는 예수가 만든 와인을 마시고 결혼식 하객들이 감탄했다고 나온다. 분명 그 시절 사람들이 좋아할 만한 맛이었을 것이다. 우선 지역 ... ...
- [Life & Tech] 무선으로 충전하는 ‘와이파워 시대’과학동아 l2015년 09호
- 공진방식’으로 평면 수신기 만들어임 교수의 연구실 중앙엔 도서관 책상만한 크기의 코일이 놓여있었다. 그다지 복잡해 보이진 않았다. 자석같이 생긴 철심에 전선이 둘둘 말려있는 솔레노이드 코일이 십(+)자 형태로 놓여 있는 구조였다. 두 개의 막대를 이용한 방식이라고 해서 ‘다이폴코일 ... ...
- 숫자 세 개가 만나는 곳에 보물이 있다!수학동아 l2015년 09호
- 한 점의 위치를 정확히 나타낼 수 있다.지구좌표계의 장점은 지구를 왜곡하지 않고 크기만 줄여 놓았다는 것이다. 하지만 한눈에 지구의 절반만 볼 수 있다는 게 단점이었다. 게다가 곡면에서 두 점 사이의 거리를 재는 것도 문제였다. 지구 전체를 평면에 나타낸다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 ...
- [생활] 페이 경쟁 생체인증이 대세수학동아 l2015년 09호
- 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런 신체의 특징은 ‘특징벡터’로 나타낸다. 벡터는 방향과 크기에 관한 정보를 모두 담고 있다. 목소리도 특징벡터로 나타내 인증에 쓸 수 있다. 목소리에서 높이, 어조, 리듬, 강세 같은 습관적 특징뿐만 아니라 폐활량, 성대의 길이와 모양 같은 신체의 특징까지 ... ...
- 야행성 VS 주행성 동물들이 보는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집중적으로 분포돼 있어요. 각 원추세포는 하나의 시신경에 연결되어 있는데, 그 크기가 아주 작아서 세밀한 부분까지 구별할 수 있어요. 그러나 원추세포가 반응하려면 수십에서 수백 개의 광자가 필요해요. 즉, 밝은 환경에서만 제 기능을 할 수 있는 거예요. 그래서 주행성 동물은 해상도는 높지만 ... ...
- [수학뉴스] 토성 고리의 수수께끼를 풀다수학동아 l2015년 09호
- 지름이 1m인 얼음 알갱이의 약 1/8 만큼 있습니다. 약 3m 크기의 얼음 알갱이는 약 1m 크기의 얼음 알갱이와 비교하면 약 1/27 만큼 있습니다. 즉, Nm짜리 얼음 알갱이는 약 1m짜리 보다 1/N³만큼 적은 셈이지요. 이론상 약 10m보다 큰 얼음 알갱이는 없다고 합니다.연구팀은 “앞으로 토성처럼 띠를 두르고 ... ...
- [지식] 축구공을 꼭 닮은 풀러렌!수학동아 l2015년 09호
- 5년이나 걸렸다. 세 사람은 수백 번의 실험 끝에 풀러렌의 분자 구조가 3억 분의 1 크기로 축소한 축구공 같다는 사실을 증명했다. 이 공로로 1996년에는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에이즈 치료약 개발에도 쓰인다풀러렌은 우연히 발견됐다. 같은 탄소 원자로 이뤄져 있어도, 원자의 결합 방식이나 개수가 ... ...
- [생활] 조선시대 최고의 궁궐에서 수학데이트수학동아 l2015년 09호
- 드러내면서도 아름다움을 동시에 갖춰야 하는 중요한 건물이에요. 그래서 근정전의 크기나 위치를 정할 때 금강비를 떠올렸을지도 몰라요. 근정전을 근정문에서 너무 멀지도 가깝지도 않은 곳에 지은 것도 금강비 때문일지도 모르죠. 이 금강비는 조상들의 오랜 경험과 관습에 의해 이어져 내려온 ... ...
이전2352362372382392402412422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