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태양
손해
손상
햇빛
불리
훼손
상해
d라이브러리
"
해
"(으)로 총 13,047건 검색되었습니다.
[통합과학 교과서] 장미가 잘 자라려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1호
기공을 조금만 열면 증산작용이 감소
해
기온이 올라갈 수 있지요. 연구팀은 식생이나
해
양 속 플랑크톤과 같은 생물들이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했어요. 그리고 이 반응이 북극의 기후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지요. 그 결과, 이산화탄소가 현재보다 2배 ... ...
[기획] 즉문즉답. 슈넵스 박사에게 묻다!
수학동아
l
2020년 11호
그린 그래프가 여론을 몰아가기도 하고 숫자 놀이로 과장된 광고에 소비자가 현혹되기도
해
요. 이런 일을 피하고 숫자 뒤에 숨은 함정을 피할 수 있도록 항상 비판적인 사고로 숫자를 대하고 끊임없이 질문하는 습관, 잊지 마세요 ... ...
[독일유학일기] 교육의 기회는 동등 학비 부담없는 독일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유학 생활 중에는 어쩔 수 없이 돈이 절대적인 존재가 된다. 간혹 패기 넘치는 열정만으로 모든 생활비는 아르바이트로
해
결하겠다는 ‘열정맨’이 있을지 ... 비교하면 조금 높은 수준일 수 있으나, 독일은 학비 부담이 거의 없다는 점을 고려하면 도전
해
볼 만한 유학생활이지 않나 싶다 ... ...
[이달의 과학사] ‘ 빛 공
해
금지법’을 최초로 도입한 나라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1호
공
해
방지법이 제정되었답니다. 우리나라에는 2013년 처음으로 ‘인공조명에 의한 빛 공
해
방지법’이 도입되었지요. 갈 길은 멀지만, 이런 노력이 이어진다면 언젠가는 우리도 다시 밤하늘에서 아름다운 은하수를 볼 수 있지 않을까요 ... ...
[한장의 과학] 겨울나기 위
해
새끼를 먹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사실도 확인했답니다.연구에 참여한 토마스 라센 막스플랑크연구소 연구원은 “빗
해
파리가 새끼를 먹는 것은 먹이가 부족한 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한 전략”이라고 설명했답니다 ... ...
[특집] 미션 성공! 에프매스의 영롱한 자태 공개♥
수학동아
l
2020년 11호
길고 긴 종이접기 여정을 끝내고 이제 수학동아 캐릭터를 만들어야 할 순간이 왔어. 종이접기 실력이 충분히 쌓였거든. 개봉 박두! 같이 에프매스를 만들어 보자 ... 배운 종이접기를 한번 로봇에 응용
해
볼까
해
. 마지막으로 과학에 종이접기가 더
해
진 종이접기 로봇들을 구경하고 가라고 ... ...
[기획] 사건3. UC 버클리 성차별 의혹 사건
수학동아
l
2020년 11호
여학생을 우대한다고 가정할게요. 그런데 철학과는 아주 깐깐
해
서 합격률이 수학과에 비
해
매우 낮고 전체 여학생 중 대부분이 철학과에 지원했다면 어떻게 될까요? 아래쪽 표를 보면 수학과와 철학과 모두 여학생 합격률이 더 높은데도 전체 합격률은 여학생 45%, 남학생 70%로 남학생이 훨씬 높게 ... ...
a-school
수학동아
l
2020년 11호
여기저기서 인공지능과 코딩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학교에서도 코딩을 가르치지만 모두 소프트웨어(SW) 개발자가 되는 것도 아닌데 왜 배우는지 모르겠다고요? 이제는 과학 ... ‘디지털 문
해
력’이라고 하죠. 프로세싱 언어와 같은 효과적인 도구를 이용
해
디지털 문
해
력을 길러보세요 ... ...
[2020 노벨상] 물리학상│보이지 않는 블랙홀이 생길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2020년 노벨물리학상은 블랙홀을 연구한 세 명의 과학자가 받았다. 로저 펜로즈(89) 영국 옥스퍼드대 교수는 블랙홀에 대한 이론 연구를, 그리고 라인하 ... 2017년 한국천문학회 학술상을 받았다. ‘우종학 교수의 블랙홀 강의(2019)’ 등 책과 강연을 통
해
대중과 소통하고 있다. woo@astro.snu.ac ... ...
Science Future│ 현실에 나타난 SF 과학기술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과거 SF 속 과학기술은 수십 년이 흘러 비로소 실현됐다. 하지만 과학기술의 성장이 한층 더 빨라진 지금 시대의 SF 속 과학기술은 현재의 ... 수 있도록 공개될 예정이다. 박 교수는 “인간 감정을 이
해
하는 미래 인공지능을 위
해
서는 고품질의 공공데이터를 확보하는 것이 필수”라고 말했다 ... ...
이전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