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뉴스
"
표면
"(으)로 총 4,104건 검색되었습니다.
줄기세포 기능 촉진하는 원천기술 개발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14
분화를 향상시켜 조직을 재생시킬 수 있다. 연구팀은 “나노바늘이 줄기세포 부착
표면
에 적당한 구조적 자극을 줄 수 있으며 줄기세포의 다양한 기능에 영향을 미친다”며 “특히 줄기세포의 연골, 지방, 골세포로의 분화가 촉진되며 성장인자 분비가 향상됐다”고 설명했다. 실제 연구팀이 ... ...
[표지로 읽는 과학] 거대 별은 하나로 합쳐지며 자기장을 내뿜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13
된 이유로 거대별 간 융합이 추정된다. 연구팀은 실제로 거대별 간 융합 때문에 강력한
표면
자기장이 생성되는지 알아보기 위해 3D 전자기류체 시뮬레이션을 사용했다. 3D 전자기류체 시뮬레이션은 자기장과 그 속에서 운동하는 도전성 유체 사이의 상호작용을 이용한 시뮬레이션이다. 이 방법을 ... ...
사람 간 대체해 간독성 검증하는 실험법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10
약물의 간 독성에 대한 연구가 약물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필수다. 이를 위해 배지의
표면
에서 자라게 하는 방식인 1차 배양으로 자란 인간 간세포를 간 독성 평가에 주로 쓴다. 하지만 1차 배양 인간 간세포는 실험에선 불안정하고 다루기도 어려울 뿐 아니라 비용이 높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먼 우주도 태양계와 비슷하다"는 편견 깬 외계행성
2019.10.10
4000개가 넘는 행성 목록에는 우리의 상상을 뛰어넘는 행성들이 가득하다. 어떤 행성은
표면
이 마그마로 가득하고 또 어떤 행성은 수심이 수백에서 수천 km에 이르는 바다로 뒤덮여 있을 것이라고 예상된다. 내부가 다이아몬드로 돼 있으리라 생각되는 행성도 있다. 이 놀라운 다양성 속에는 태양과 ... ...
우주 최강 자석별 '마그네타' 두 별 충돌로 태어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10
만들어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슈나이더 연구원은 “별들을 관측하면 10% 정도가
표면
에서 강한 자기장을 형성하는 것으로 관측되는데 이는 우주상에서 두 별이 합쳐지는 빈도와 일치한다”며 “이러한 별들이 초신성으로 폭발하면 마그네타를 형성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 ...
올해 662명 목숨 앗아간 호주 독감, 북반구도 위협
동아사이언스
l
2019.10.07
나타낸 그림. 공처럼 둥근 모양으로 지름은 약 80~120nm다. 전문가들은 인플루엔자바이러스
표면
에 나 있는 헤마글루티닌(HA 단백질)과 뉴라미니데이스(NA 단백질) 수용체의 종류를 보고 바이러스 균주의 이름을 정한다. 매년 흔히 유행하는 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대부분 H1N1이다. 동아사이언스 제공 ... ...
Wnt·자가면역질환·광유전학·HGP 등 올해 노벨생리의학상 누가 받나
동아사이언스
l
2019.10.07
매랙 석좌교수는 면역계에서 생성된 특정 단일 클론 항체(KJ23a)가 면역세포인 T세포
표면
에 나 있는 수용체(Vb17a)에 들러붙어 반응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그리고 쥐 실험을 통해 흉선에서 미성숙한 T세포가 성숙할 때 자기 세포나 조직 등에는 반응하지 않도록 이 수용체를 가진 T세포를 ... ...
한국이 주력할 항공·우주 분야는 "친환경 수송·항법주권·우주자원"
동아사이언스
l
2019.10.07
미래 30년 계획을 선정해 담은 것이다. 각종 우주 탐사 및 항공 기술과 함께 달
표면
에서 한국이 활동 영역을 확보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창립 기념식에서는 30년간 항우연 설립 및 발전에 기여한 개인 및 기관, 단체에게 공로패와 감사패를 수여할 계획이다. 문미옥 과기정통부 1차관과 원광연 ... ...
수소 생산 백금 사용 확 줄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03
시켰더니, 수소를 생산하는 수전해 촉매에서 높은 성능이 나타났다. 실험을 통해 백금
표면
에서 텅스텐으로 수소가 넘어가는 현상(수소 스필오버)이 기존보다 훨씬 활성화했다. 기존 상용 백금 촉매에 비교해, 백금 사용량을 16분의 1로 줄일 수 있었다. 이 교수는 "단일 원자 촉매를 이용한 ... ...
[2019노벨상] 전문가들이 예측하는 생물학·의학 분야 유력 후보10人
동아사이언스
l
2019.10.03
두 사람은 면역계에서 생성된 특정 단일 클론 항체(KJ23a)가 면역세포인 T세포
표면
에 나 있는 수용체(Vb17a)에 들러붙어 반응할 수 있음을 알아냈다. 그들은 쥐 실험을 통해 흉선에서 미성숙한 T세포가 성숙할 때 자기 세포나 조직 등에는 반응하지 않도록 이 수용체를 가진 T세포를 선택적으로 ... ...
이전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