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거리"(으)로 총 5,700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양자전송으로 순간이동을 할순없더라도과학동아 l2023년 01호
- km 이상 원거리에서 양자채널을 구성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이러한 양자채널 구성의 거리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양자얽힘 교환 기술을 이용한 ‘양자중계기’ 기술을 활발히 연구하고 있다. 양자얽힘 교환 기술은 양자전송 기술의 일종으로 양자상태를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양자얽힘을 전달하는 ... ...
- [가상 인터뷰] 우주에서 태양광 발전을! 솔라리스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전송하는 기술을 검증하기 위해 2022년 9월 독일에서 2kW(킬로와트)의 전기를 무선으로 30m 거리만큼 전송하는 데 성공했어요. 솔라리스의 가능성을 볼 수 있었죠. 또, 과거에는 인공위성을 우주 공간에 올려놓는 일에 비용이 많이 들었지만 최근 스페이스X의 팰컨 로켓 등 재활용 가능한 로켓 등이 ... ...
- [특집] 양자전송이 낯선 당신을 위한 안내서과학동아 l2023년 01호
- 같은 결과가 나옵니다. 동전 A를 지구에서 던지고, 동전 B를 화성에서 던지더라도요. 네, 거리와 공간에 상관없이요. 어디서 많이 본 조건 아닌가요. 바로앨리스와 밥 사이에 열린 순간이동 포털 네, 순간이동입니다. 서로 얽혀있는 두 양자는 아무리 멀리 떨어져 있더라도 얽힌 상태를 유지할 수 ... ...
- [SF영화로운 덕후생활] 아바타의 새로운 터전도 골디락스 존일까과학동아 l2023년 01호
- 흡수해 광합성을 하기 때문이죠. 식물의 입장에서 이산화탄소는 일종의 ‘먹거리’인 셈입니다. 이런 내용은 판도라의 울창한 열대우림과 일치하는 대목입니다. 하지만 베츠 박사는 식물의 빠른 성장이 생물의 다양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봤습니다. 식물 세계에서도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 ...
- [한승전의 ‘초(超)재료] 강도와 탄성 두 마리 토끼 잡은 초탄성 금속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전자를 공유하거나(공유 결합), 주고받는(이온 결합) 식으로 결합하고 있는데, 원자 간 거리가 너무 멀어지면 원자의 전자구조는 더 이상 결합하지 못하는 형태가 돼 서로 분리된다. 이것을 우리는 물질의 표면이라 부른다.전위를 생성하지 않는 금속을 만들다 금속과 세라믹의 탄성변형 한계는 ... ...
- [5년 후, 과학은]빛과 소리로 몸속을 샅샅이, 광음향 의료영상기술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볼 수 있지만, 안개가 짙게 끼면 헤드라이트를 켜도 안개의 물방울이 빛을 산란시켜 가시거리를 확보하기 어렵습니다. 기존 광학 영상기술인 광현미경, 광간섭 단층 촬영은 투과할 수 있는 깊이가 최대 2~3mm입니다. 광확산 단층 촬영술이라는 기술로는 심부 조직 신호를 획득할 수 있으나 해상도가 ... ...
- [특집] 초거대 도시 어떻게 이동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도시 어디든 가는 거지요. 지하에서 고층으로는 엘리베이터를 타고 이동하며, 가까운 거리는 전기로 움직이는 전동차도 운행할 예정입니다. 그렇다면 도시 외부로는 어떻게 이동할까요? 네옴시티는 2030년 주거공간인 더 라인 외에도 해양산업단지 옥사곤, 휴양도시 트로제나 등이 함께 조성될 ... ...
- [출동, 수학 히어로! 슈퍼M] 버스 번호에 숨은 비밀은?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1호
- 서울시의 버스는 종류에 따라 색깔이 나뉘거든요. 파란색 버스는 서울시 안에서 먼 거리를 이동할 때 주로 타는 ‘간선버스’예요. 만약 내가 현재 관악구에 있다면, 광진구나 용산구 등 다른 구로 이동할 때 이용해요. 초록색 버스는 ‘지선버스’ 라고 해요. 간선버스보다 좀 더 구석구석을 ... ...
- [특집] SF속 당신의 순간이동을 골라보세요과학동아 l2023년 01호
- 핵심 원리는 물체 뒤의 공간을 급속히 팽창시킴과 동시에 앞쪽 공간을 수축시켜 거리를 좁히는 것이다. 스타트렉의 워프엔진과 같은 전략이다. 이 과정을 물리학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질량이 음수라 서로를 밀어내는 특성을 가진 ‘별난 물질’이 필수다. 스타트렉에선 물질-반물질의 반응이나 ... ...
- [뉴스&인터뷰] 다누리가 쏘아 올릴 작은 공, 달 착륙기지 결정할까과학동아 l2023년 01호
- 그중에서도 총 13곳의 후보지를 선정했다. 후보지는 모두 남극점으로부터 6도 이내, 거리로는 160km가 조금 넘는 곳에 모여있다. 착륙 후보지를 선정할 자료, 다누리가 모은다 13개의 후보지는 모두 달의 ‘영구음영지역’을 포함하는 곳이다. 영구음영지역이란 크레이터의 벽이 햇빛을 가려 항상 ... ...
이전1920212223242526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