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글로벌"(으)로 총 451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DHL’ 이노베이션 센터에 가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배달부터 하역까지 전과정이 사람의 조종 없이 이뤄진다.미래의 일이 아니다. 글로벌종합물류기업 도이치 포스트 DHL그룹(이하 DHL)이 드론 ‘파셀콥터(Parcelcopter)’를 이용해 올해 1~3월 독일 바바리안 지방의 라이트 임 빙클 마을에서 수행했던 세 번째 파셀콥터 프로젝트다. 가장 적은 비용으로 가장 ... ...
- [News & Issue] 브렉시트, 한국 과학계엔 나비 효과 없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영국이 EU를 탈퇴한다면 굳이 영국에서 유학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했다. 특히 글로벌 은행들이 영국에서 철수하고 있어, 이쪽 분야를 공부하는 공학자들은 인턴 기회조차 얻을 수 없다.임우식(건축공학, 2016년 졸업예정)브렉시트가 일어나도 한국 유학생들에게 큰 변화는 없을 것 같다. 학교에서 ... ...
- [Knowledge] 화성 탐사? 여성 우주비행사 연구부터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한국인 최초 우주인 이소연 씨의 주치의였던 정기영 전 공군 항공우주의료원장(현 글로벌튼튼병원 내과센터 원장)은 “성별 차이를 정확히 알아야 위험에 대비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정 원장은 “폐경 이후 여성은 심혈관질환이나 골다공증 발병률이 급격히 높아지는데, 우주에서는 그 정도가 더 ... ...
- Part2. ‘알파크래프트’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상대에게 맞는 전략을 선택하여 73%로 승률을 끌어 올렸다. 이런 새로운 시도에 구글 같은 글로벌 기업의 막강한 하드웨어와 자본이 결합한다면, 알파크래프트를 생각보다 빨리 만나볼 수 있을 것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알파고 쇼크, 그 후Part 1. 알파고가 우리에게 남긴 것들Part2. ... ...
- [Tech & Fun]걸어서 대형연구소 속으로 ➊ 프랜시스 크릭 연구소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역에는 다른 유럽 국가로 오가는 유로스타가 다닌다(역 주변엔 ‘맛집’도 즐비하다!). 글로벌 제약사인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 2003년 완료된 인간게놈프로젝트를 주도한 생어연구소도 모두 차로 1시간이면 갈 수 있다.[연구소에서 정기적으로 여는 대중 토론 행사‘크릭 챗(Crick Chat)’.크릭 연구소 ... ...
- 영화를 더욱 생생하게! 비주얼 미디어랩을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3호
- , , 등 이름만 대면 알만한 미국헐리우드 영화 속 캐릭터들은 이 분이 없었다면 탄생하기 어려웠을 ... 해요. 이제는 초등학생들도 소프트웨어 교육을 하니 잘 배워 놓으세요. 마지막으로, 글로벌 시대에 외국어 능력은 필수니 놓치지 말아야겠죠 ... ...
- 곤충으로 삼시세끼? 미래식량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7호
- 줄게.사람들로 북적대는 2050년 지구2050년엔 전세계 사람들이 먹을 식량이 부족해지는 글로벌 보릿고개가 올지도 모른대요. 지금은 지글지글 삼겹살과 맛있는 빵, 철을 모르고 계속해서 나오는 과일들이 넘쳐나는데 어째서 식량난이 생긴다고 하는 걸까요?식량이 부족해지는 이유엔 여러 가지가 ... ...
- [교과연계수업] 곤충, 미래 식량이 된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7호
- 사람들로 북적대는 2050년 지구 2050년엔 전세계 사람들이 먹을 식량이 부족해지는 글로벌 보릿고개가 올지도 모른대요. 지금은 지글지글 삼겹살과 맛있는 빵, 철을 모르고 계속해서 나오는 과일들이 넘쳐나는데 어째서 식량난이 생긴다고 하는 걸까요? 식량이 부족해지는 이유엔 여러 가지가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한국에서 열리는 세계 중학생 과학 올림픽! 제12회 국제중등과학올림피아드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어떤 유익을 준다고 생각하나세계의 과학 영재들이 우물 안 개구리가 되지 않고 글로벌리더로 자라는 데 도움을 준다고 생각한다. 어린 시절 외국학생들과 10일 동안 함께 지낸 경험은 어른이 됐을 때의 경험과는 차원이 다른 효과가 있다. 실제로 대회 이후에도 꾸준히 연락하면서 5년 이상의 시간이 ... ...
- [Hot Issue] 풍력발전기에 날개가 사라졌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보고 두려움을 느꼈기 때문이다. 기자를 안내한 최정철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제주글로벌연구센터 연구원도 “무섭다”는 기자의 말을 달리 반박하지 않았다. “독일에서는 풍력발전기 근처에 아예 접근할 수 없도록 울타리를 설치합니다. 겨울에 혹시 고드름이 얼면, 아주 위험한 무기가 될 수도 ... ...
이전1920212223242526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