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계"(으)로 총 4,196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자와 함께 마인크래프트] # 레드스톤 회로 정복하기, 자동 수확 기계로 야생에서 살아남기수학동아 l2022년 11호
- 마인크래프트의 꿀잼 요소는 빈 공간에 내 맘대로 집, 농장, 목장을 만들어 가꿀 수 있다는 거예요.나만의 주거지를 만들어 농작물을 수확하고 가축을 키우는 농촌 생활을 할 수 있 ... 전달되는 거지요. 이제 댐과 수문을 기준으로 아래에 농장을 만들어 주면 자동 수확 기계 완성입니다 ... ...
- [과학뉴스] 파동으로 실시간 충전하는 무선 수중 카메라과학동아 l2022년 11호
- 개발했다. 음파는 소리가 만들어내는 파동이다. 카메라는 물을 통해 이동하는 음파의 기계적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바꾼다. 소리를 내는 물체가 있다면 계속해서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을 수 있는 셈이다. 지나가는 배나 해양 생물들이 내는 소리도 에너지원이 될 수 있다. 이번에 개발한 카메라는 ... ...
- [카타르 월드컵, 과학으로 즐기기] 인공지능이 예측하는 한국 16강 진출 확률은?과학동아 l2022년 11호
- 나오는 건 아니다. 승부 예측에 미치는 영향력이 높은 요소를 분석하고 추출해 이를 기계에 학습시켜야만 성능이 좋은 모델을 만들어 낼 수 있다.영향력 있는 특징이 무엇인지 찾는 과정이 시작됐다. “FIFA 랭킹은 반드시 들어가야해요. FIFA 랭킹은 팀의 전력과 성적을 대변하는 숫자니까요.” ... ...
- [사업가가 된 연구자] 생분해 흡수체로 여성의 일상을 바꾸다과학동아 l2022년 11호
- COO의 이야기다. “KAIST에 창업지원센터가 있는데, 한 번은 어떤 교수님이 새벽 4시부터 기계 돌리는 이상한 애들이 있다고 하시더라고요. 그게 바로 저희였죠.” 그래도 해결되지 않는 문제는 교수님께 도움을 청했다. 젊은 제자들의 도움을 거절할 스승은 없을 터. 김효이 대표는 “KAIST는 특히 ... ...
- [가상 인터뷰] 30m까지 뛰다! 세상에서 가장 높이 뛰는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1호
- 한 번에 약 30m 높이까지 뛰어오를 수 있어요. 4월 27일 미국 샌타바버라 캘리포니아대학교 기계공학과 엘리엇 혹스 교수팀이 거품벌레에 영감을 받아 만들었답니다. 거품벌레는 몸길이 6mm 정도의 아주 작은 곤충으로, 자기 키의 약 120배인 70cm까지 뛰어오를 수 있어요. 거품벌레가 뛰어오르는 ... ...
- [이달의 과학사] 1848년 6월 13일 사무엘 모스, 모스부호의 특허를 받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1호
- 관심이 생겼습니다. 이후 교수로 일하던 미국 뉴욕대학교의 동료인 레오나드 게일과 기계공 출신의 공장주인 알프레드 베일의 도움을 받아 1837년, 전신기와 전신기에 쓰이는 기호를 만들었습니다. 이때 만든 기호를 개량한 것이 모스부호로, 점으로 표시하는 짧은 전류(·)와 선으로 표시하는 긴 ... ...
- [기획] 수학과 생물학이 만났다! 하늘의 새 빼닮은 비행체 제작기수학동아 l2022년 11호
- 안녕, 나는 새와 비행기에 푹 빠져 있는 하늘이야. 아주 어릴 적엔 새처럼 하늘을 날고 싶다는 순수한 꿈을 꿨어. 지금은 새를 닮은 무인 비행체를 만드는 게 목표야! 수리생물학의 도움을 받아 꿈을 현실로 만들려고 해. 새처럼 자유롭게 나는 비행체라니 정말 멋지지 않니? ▼ 이어지는 기사를 ... ...
- [기획] 수리생물학 노트 II, 새의 기동성의 비밀을 밝히다!수학동아 l2022년 11호
- 방향을 바꾸는 비행 방식으로 전환할 수 있게 해요. 하비 교수는 독특하게도 학부에서는 기계 공학을 전공하고, 동물학에서 석사 학위를, 항공우주공학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어요. 석사 시절 우연히 갈매기의 날개를 연구하다가 새의 비행에 관심을 갖게 됐다고 해요. 하비 교수에게 이번 ... ...
- [단짠코딩] 모듈과학동아 l2022년 11호
- 말 들어보신 적 있으신가요?다양한 공구가 들어있는 공구함을 예시로 들어보겠습니다.공구함은 우리가 무언가 기계를 고칠 때 사용합니다. 공구함 안에는 망치, 나사, 몽키스패너 등 여러 도구들이 들어있습니 다. 우리가 오늘 알아볼 모듈이 바로 공구함과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1호
- 3차원이라는 뜻의 ‘3D’가 앞에 붙어, 입체적인 물건을 인쇄하듯이 찍어낼 수 있는 기계를 의미합니다. 만들기 원하는 물건의 설계도를 내려받아 3차원으로 인쇄하면 그릇, 의자, 장난감 등을 만들 수 있지요.3D 프린터는 1980년대 처음 만들어졌습니다. 처음에는 녹인 플라스틱을 이용해 비행기나 ... ...
이전1920212223242526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