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계"(으)로 총 13,669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체험실] 쭉~쭉 늘어나! 우리만의 자유로운 길이 재기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7호
- 단위가 정해지기 전까지는 나라마다 각기 다른 기준으로 길이를 측정했어요. 하지만 세계 여러 나라의 교류가 점점 늘면서 단위가 달라서 혼란이 생기기 시작했지요. 과학자들은 언제, 어디서, 누가 재더라도 똑같은 결과가 나오도록 단위를 통일해야 한다고 주장했어요. 1791년, 프랑스 과학 ... ...
- 넘쳐 흐르는 바닷물?!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7호
- 하는 것은 기후변화예요.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1993년부터 지난해까지 30년 동안 전 세계 해수면이 매년 얼마나 상승했는지를 보여주는 자료를 지난 6월 공개했습니다. 자료를 보면 지난해 해수면은 1993년에 비해 10cm 이상 높아졌지요. NASA는 “지구가 뜨거워지고 극지방 빙하가 녹으면서 해수면이 ... ...
- [이달의 과학사] 1930년 9월 8일, 투명한 만능 접착 테이프 스카치테이프 출시!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7호
-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접착 테이프는 ‘스카치테이프’입니다. 스카치테이프는 미국 회사 3M에서 만든 접착제가 발린 셀로판테이프의 상표명이에요. 1930년, 3M의 직원 리처드 드루는 당시 프랑스에서 발명한 재료인 ‘셀로판’에 주목했습니다. 투명하고 습기에 강한 셀로판은 물건을 포장하는 데 ... ...
- 우리나라 ‘빨간불’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7호
- 교수팀과 공동으로 우리나라 해수면의 전망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NASA 등이 발표하는 전 세계 해수면 자료로는 우리나라의 해수면을 정확히 예측하기 어려워요. 그래서 국립해양조사원은 우리나라에 적합한 모델을 만들어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의 제6차 보고서에 실린 시나리오를 ... ...
- [광고] 레고 드림즈와 함께하는 꿈속 대탐험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7호
- 거북이가 버스를 등에 지고 있는 모양의 레고 터틀 밴을 들어 보였습니다. “꿈속 세계는 현실과 상상이 뒤섞여 있습니다. 레고 터틀 밴은 꿈의 상상력이 만들어 낸 거북이에 현실에서 본 버스가 더해져 만들어졌어요. 그간 보지 못했던 아주 새로운 작품이죠.” 이어서 섭섭박사와 홍승우 작가는 ... ...
- [숫자로 보는 뉴스] 봄이 18.25일이나 먼저 왔다고?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6호
- 환경에 쉽게 적응하지 못해요. UCLA의 모건 팅글리 교수는 “1970년 이후 지금까지 전 세계 새의 수가 1/3이나 줄어들었어요. 앞으로 높아지는 기온에서도 새들이 살아남을 수 있도록 과학자들이 더 연구하고, 우리 모두 노력해야 해요.”라고 말했어요. *용어정리북미: 미국, 캐나다, 멕시코 3개의 ... ...
- [꿀꺽! 수학 한 입] 0.1점 차이로 금메달 ! 쫄깃한 스포츠 기록의 세계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6호
- 있나요?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0.1점 차이로 금메달 ! 쫄깃한 스포츠 기록의 세계 Part1. 한 번의 실수도 안 돼! 여서정 선수Part2. 기술과 예술 모두 완벽! 이해인 선수Part3. 차준환 선수의 총점은? 차준환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햇빛을 이용해 움직인다! 태양광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로봇을 관찰하세요.2000년대에 들어 태양광 발전이 친환경 기술로 주목받으면서 전 세계 곳곳에 태양전지판이 설치됐습니다. 하지만 태양전지는 20~25년이 지나면 수명을 다해 쓸 수 없어 버려지곤 합니다. 7월 20일, 호주 뉴사우스웨일스대학교 얀송셴 교수팀은 다 쓴 태양전지에서 은을 뽑아내는 ... ...
- [기획] 그래미 수상 가능! 인공지능 음악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레코드협회에서 최근 인공지능을 활용해 만든 음악도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그래미 상’을 받을 수 있다고 발표했어. 그럼 어디, 나도 인공지능으로 곡을 써서 그래미 상을 노려볼까인공지능으로 누구나 음악을 만든다! 지난 6월, 영국의 전설적인 밴드 ‘비틀스’의 멤버인 폴 매카트니는 ... ...
- [가상 인터뷰] WHO, “인공 감미료 아스파탐은 발암 가능 물질”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이후 지금까지 약 50년간 무설탕 음료나 과자에 사용되어 왔어. 그런데 지난 7월 14일,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기관이 아스파탐을 발암 가능 물질 분류 등급인 ‘2B급’으로 분류해 몸에 해로울 수 있다는 논란이 불거졌지.Q. 2B급은 어떤 의미야?A,. 국제암연구기관은 발암물질을 4개의 ... ...
이전1920212223242526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