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밥맛
기호
애호
대식
탐욕
양
욕망
d라이브러리
"
식욕
"(으)로 총 302건 검색되었습니다.
2. 다이어트 섬유소·단백질·시트로산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페닐프로파놀라민과 암페타민이라는 약물이다. 이 약물은 뇌 속의 포만중추를 자극해
식욕
을 억제시킴으로써 체중감소에 도움을 주기도 하지만 상당한 부작용을 가지고 있다. 암페타민 계통의 약물은 혈압을 높이거나 두통을 일으킬 수 있으며, 장기간 복용할 경우 내성이 생긴다. 따라서 효과는 ... ...
'뚱뚱한 미국' 불가피한 선택 비만 치료제 정식 인정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시상하부라는 것이 있다. 이곳에는 식사를 하고 난 다음 배부른 느낌을 갖게 하고
식욕
을 조절하는 포만 중추가 있는데, 이 포만 중추에 세로토닌이 관계한다. 사람이 탄수화물을 섭취하면 세로토닌의 혈중농도가 높아져서 포만 중추를 억제하게 된다.밥을 많이 먹어 위가 늘어나는 것 같은 느낌은 ... ...
2. 운동요법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감소한다. 또 6시간 이상 운동하면 과로로 인한 피로 때문에
식욕
이 급격히 떨어진다.
식욕
이 증가하는 때는 1-6시간 운동할 경우.한편 식이요법은 운동요법과 병행될 때 효과가 크게 나타난다. 하루에 줄여야 하는 5백kcal의 열량은 밥 두공기에 해당한다. 따라서 식이요법만으로 이를 조절하기에 ... ...
3. 날씬해지는 행동요법5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잘못 이해하면 거식증을 유발한다. 거식증 환자의 경우 '먹으면 안된다' 는 강한 의지가
식욕
본능을 무리하게 억제, 뇌의 정상적인 기능이 손상된다. 그 결과 거식증 여성들은 심지어 '먹는 것이 무섭다' 고 하며, 피골이 상접해도 '더욱 날씬해지고 싶다 '고 말한다 ... ...
인간 버금가는 낙농의 대가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그들이 번식을 위해 만들어내는 물질의 일부를 뺏어 먹기도 한다.이렇듯 왕성한
식욕
을 충족시키기 위해 인간은 방대한 초원의 목장은 물론 양계장 양어장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가축을 보호하며 사육한다. 중남미에는 갈수록 심해지는 식량난을 극복하는 한 방법으로 도마뱀의 일종인 ... ...
신경세포간 대화부족 해결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유래한다. 우울증에 걸린 사람은 기억력 감퇴 죄악감 불안 집중력부족 수면장애
식욕
장애 성욕감퇴 등을 경험한다. 우울증 환자의 60%가 자살을 생각해 본적이 있으며, 치료하지 않으면 15%정도는 목숨을 끊는다는 연구결과도 있다.우울증은 정신병으로 분류되는 질병이다. 2백년이 되는 현대 ... ...
최초의 농사꾼 잎꾼개미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만다.아프리카 초원을 휩쓸며 온갖 식물을 닥치는 대로 먹어치우는 코끼리떼의 왕성한
식욕
도 잎꾼개미에 비하면 아무 것도 아니다. 열대지방 사람들이 온대지방 사람들처럼 농사를 짓지 못하는 결정적인 이유도 바로 잎꾼개미 때문이다. 오랫동안 정성스레 가꿔온 밭이 잎꾼개미에게 걸리면 ... ...
2. 환경지배론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지능은 유전한다는 주장에 못지않게 상당한 설득력을 가질 수 있다. 본능과 학습사람은
식욕
성욕 수면욕 등의 본능을 지닌다. 그리고 어느 정도는 무의식적으로 본능을 행사한다는점에서 다른 동물들과 그리 다르지 않다. 생물학적으로 볼 때 점심식사 후 지루한 수학시간에 눈꺼풀이 저절로 ... ...
애인 잡아먹는 비운의 암거미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연구자들은 이런 암컷의 공격성은 단일호르몬에 의해 지배받기 때문에 커서도 어릴적의
식욕
을 버리지 못하고 수컷을 잡아먹는 것이라고 믿고 있다.프린스턴 대학의 루빈스타인박사는 매우 재미있는 결과라고 하면서 "이런 현상은 어릴 때 옳다고 생각했던 것이 나이가 먹어서도 옳을 필요는 ... ...
잠 꼭 자야만 하나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불안 초조 신경과민 등이 생겨 다시 약물을 찾게 되는 약물의존현상도 생긴다. 이외에도
식욕
감퇴, 짜증, 심혈관계 합병증(맥박이 빠르게 뛰는 빈맥, 혈압상승 등)이 초래될 수 있다.동식물은 어떻게 자나 식물도 잠을 잔다. 식물들은 일정 기간 성장할 수 없는 여건에 놓이면 수면에 들어간다.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