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증
초록
발췌
흉내
모방
시늉
d라이브러리
"
인용
"(으)로 총 490건 검색되었습니다.
김빛내리 교수 ‘셀’지 편집위원에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교수를 포함해 세계 석학 116명이 참여하고 있다.셀은 마이크로RNA를 연구해 국제과학논문
인용
색인(SCI)급 국제학술지에 49편의 논문을 발표한 김 교수의 연구성과를 높이 평가했다. 김 교수는 앞으로 셀에 제출된 논문을 심사하고 관련 연구 분야에 자문을 하게 된다. 김 교수는 이에 앞선 1월 5일 ... ...
초분자에 대한 끝없는 도전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편의 논문을 써내는데, 그동안 써낸 논문이 2008년에는 약 400회, 2009년에는 약 500회가 넘게
인용
됐다. 지난해 작성한 논문 중 5편은 ‘달턴 트랜색션즈’, ‘JACS’, ‘스몰’ 등 세계적으로 저명한 과학 저널의 표지를 장식했다.가장 최근에 주목받은 기술은 형광분자 하나로 흰색 빛을 내는, 일명 ... ...
심장박동 패턴 해석하려면 IT도 알아야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박선희 단장은 미국 하버드대 생물학자 에드워드 윌슨의 저서 ‘통섭(Consilience)’의 구를
인용
하며 융합과학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강조했다.“환경이나 인구과잉처럼 우리가 부닥치는 대부분의 문제는 자연과학적 지식과 인문·사회적 지식이 통합되지 않고는 해결될 수 없다 ... ...
달나라 탐험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Prologue_ 대포클럽 회원들은 드디어 거대한 대포를 만들어 발사하는 데 성공합니다. 그리고 달을 향해 날아가는 대포알 속에는 바비케인과 미셸 아르당, 니콜이라는 3명의 모험가가 타고 있지요. 이들은 과연 무사히 달을 탐험하고 돌아올 수 있을까요?숫자 대신 문자“잘 들어보게.” 바비케인이 대 ... ...
시대를 초월한 가치 ‘동의보감’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과학적 저술 태도 또한 주목할 만한 부분이다. 우선 동의보감은 옛 의서를 고증할 때
인용
한 학설이나 처방의 출처를 명확히 제시하고 있다. 허준 스스로가 자신의 처방이 독단적이지 않다는 점을 밝혀 신뢰성을 높였다. 이런 태도는 과학으로서 의학이 지향해야 할 점이다. 동의보감의 이 서술 ... ...
우리가 몰랐던 D-아미노산의 세계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생화학자 스탠리 밀러의 실험은 생명의 자연발생설을 지지하는 결정적인 연구 결과로
인용
돼 왔다. 아미노산은 생명 현상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대표적인 분자이기 때문이다. 우리 몸을 구성하는 단백질은 20가지 아미노산으로 이뤄져 있다. 이 20가지 아미노산 중 글리신을 제외한 19개의 아미노산이 ... ...
지구에서 달까지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Prologue미국 남북전쟁 때 대포클럽이라는 모임이 생겼습니다. 크고 강력한 대포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결성한 모임이지요. 그런데 전쟁이 끝난 이후 대포의 쓸모가 없어지자 심심해진 회원들이 새로운 생각을 떠올렸습니다. 바로 매우 큰 대포알을 달까지 쏘아 올린다는 것입니다. 심지어는 대포알에 ... ...
대포 쏴 달나라 간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미국 보스턴에서 열린 우주투자회의에 참석한 존 헌터 박사의 연구 내용을
인용
해 “길이가 1.1km에 이르는 초대형 포신(砲身)을 갖춘 대포가 개발되고 있다”며 “450kg에 이르는 화물을 초당 6km의 속도로 우주를 향해 발사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고 10월 7일 보도했다.이 연구팀을 ... ...
똑똑한 전력망 스마트 그리드가 온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열린 토론회에 참석한 스티브 플루더 제너럴 일렉트릭(GE) 부사장의 말을
인용
해“스마트 그리드를 활용하면 미국에서 41GW(기가와트,1GW=109W)의 전력을 아낄 수 있을 것”이라고 보도했다. 대형 원자력 발전소 1기의 발전량이 보통 1GW인 것으로 감안하면 스마트 그리드의 엄청난 효과를 가늠할 수 있는 ... ...
세계 최대 익룡발자국 국내서 발견!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양포리 앞바다의 방아섬에서 필자가 발견했다.이 화석에 대한 연구결과는 2002년 SCI(과학
인용
색인) 국제학술지 ‘커런트 사이언스’에 발표됐다. 이 화석은 익룡 앞발의 네 번째 발가락 중 첫 번째 마디가 분명하고, 뼈의 형태와 크기로 볼 때 백악기 초기에 중국에서 번성했던 쭝가리테립스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