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부
배우자
배필
파트너
동료
상대방
반려자
d라이브러리
"
짝
"(으)로 총 732건 검색되었습니다.
[Hot Issue] 가마에 오르면 사람이 바뀐다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떠올리게 하고 을 쪽에는 반대로 지시를 받았던 경험을 생각하게 했다. 이어서 둘씩
짝
을 지어 상사와 부하 놀이를 하게 했다. 그 후 다른 사람의 영상을 보여줬다. 영상 속 사람들은 자신의 힘들었던 경험에 대해 이야기를 하고 있었다. 실험 결과 갑 집단은 힘들어하는 사람의 감정을 잘 이해하지 ... ...
새들은 왜 일부일처제를 지킬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3호
수컷이 다른 암컷을 찾지 못하게 하기 위해서지요. 이처럼 송장벌레 암컷은 수컷이
짝
을 찾지 못하게 적극적으로 방해함으로써 일부일처제를 유지한답니다 ... ...
쌍잠자리는 왜 같이 날까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2호
잠자리는 가장 비행을 잘하는 곤충 중 하나예요.제자리에서 정지비행을 하기도 하고, 뒤로도 날 수 있어요.커다란 눈을 가지고 있어서 시력도 좋아요. 그래서 곤충 중에서 뛰 ... 원앙은 번식기 때 꼭 붙어다닌다. 이는 암컷이 다른 수컷을 만나지 않도록 경계하는
짝
지키기’ 전략이다 ... ...
지구사랑탐사대의 땀이 결실을 맺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0호
종마다 울음소리가 다르기때문이에요. 개구리는 번식기가 되면 수컷이 울음소리로
짝
을 부르는데, 종마다 고유한 울음소리를 가졌거든요. 청개구리는 ‘개굴개굴’ 울지만 수원청개구리는 ‘깽깽깽깽’하고 울어요.장이권 교수님의 연구 결과 탐사대원들이 발견한 개구리는 대부분 ... ...
귀뚜라미는 왜 수컷만 노래할까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9호
않기 때문이에요. 몸값이 비싼 암컷은 위험한 행동을 할 필요가 전혀 없답니다.하지만
짝
짓기에 실패한 수컷은 자식을 남기지 못하면 죽은 수컷과 다름이 없어요. 그래서 위험해도 매력적인 노래로 많은 암컷을 유인해야 하지요 ... ...
[hot science] 동물은 왜 수컷이 더 클까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무엇을 말하고 있을까포유류와 조류에서 수컷이 암컷보다 큰 이유는 다윈이 주장한
짝
짓기 경쟁 가설이 잘 설명해 준다. 그러나 수컷과 암컷이 있는 동물인 진정후생동물(Eumetazoa)에서 포유류와 조류가 차지하는 비율은 1% 미만이며, 나머지는 암컷이 더 큰 경우가 지배적이다. 암컷이 더 큰 이유는 ... ...
[잘 가르치는 대학이 뜬다 1] 숭실대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PC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한다. 4학년 때는 현장에서 근무하는 멘토와 지도교수가
짝
을 이뤄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나머지는 합숙훈련이다. 학생들의 신청을 받아 겨울방학에 기숙사에서 5주간 합숙을 하며 프로그래밍을 집중적으로 배운다. 컴퓨터학부 시절 이때 프로젝트를 완성해 ... ...
[fun] 신선한 우리 작가로 승부한다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만들어 온 EBS PD들도 작가진에 합류했다.작가진이 탄탄해지면서, 과학자조차 깜
짝
놀라게 하는 작품 나오기 시작했다. ‘멸종: 생명진화의 끝과 시작’이 대표적이다. 같은 이름의 EBS 다큐 프라임을 토대로 한 이 책의 저자는 PD와 대중과학저술가이다. 이들 중 대학에서 생물을 공부한 사람은 아무도 ... ...
PART 1. Y염색체 1000만 년 뒤 사라질까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말한다. 1000만 년은 우리는 결코 만날 수 없는 시간이지만 생물 진화로 보면 ‘눈 깜
짝
할 새’다. 유전자 2개면 정자 만드는 데 충분하다아무리 Y 염색체가 쪼그라들었다고 해도 영영 사라지기까지 할까. Y 염색체에도 없어서는 안 될 핵심 기능이 있을 텐데. 그것이 바로 수컷을 수컷답게 만드는 ... ...
[career] 기숙사에서 매일 열리는 ‘비정상회담’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서로 친하게 어울릴 수 있도록 ‘멍석’을 깔아준다. 외국인 신입생들이 한국 학생과
짝
을 지어 생활하는 ‘버디 프로그램’이 대표적이다. 함께 영화도 보고 자전거도 타면서 서로를 깊이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중국에서 온 피야오웨닝(바이오및뇌공학과 2년)은 지역명문고인 연변제1고를 최고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