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량
계측
계량
관측
생각
추측
module
d라이브러리
"
측정
"(으)로 총 4,720건 검색되었습니다.
[Speacial Interview] "다음 또 다음 세대가 사용하는 수학 아이디어를 만들고 싶어요"
수학동아
l
2023년 01호
수학을 좋아해서 복수전공을 시작했어요. 그런데 대학에서 역학 수업을 듣는데 오차(
측정
값과 참값의 차이)를 무시하고 계산하는 경우가 많더라고요. 저는 조금 더 엄밀하게 계산하고 싶은 욕심이 났어요. 수학에서는 작은 오차를 없애기 위해 연구한다는 걸 알고, 수학이 제게 더 맞는 것 같아서 ... ...
[특집] 양자의 '기분’을 바꾸는 과학자들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우리는 엄청난 정확도로 원자나 분자의 위치를 조작하고 임의의 양자 상태를 만들어
측정
할 수 있는 새로운 세계를 열었다”며 “그럼에도 아직 더 알아낼 것들이 너무나 많다”고 했다. 하인리히 연구단장은 연구단의 미래에 대한 포부를 밝히며 인터뷰를 마무리했다. “양자나노과학연구단의 ... ...
[가상 인터뷰] 사교성 좋은 원숭이가 더 건강하게 오래 산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24호
대변 샘플에서 나온 DNA를 분석해 히말라야원숭이들의 장내 미생물의 종류와 양을
측정
했어. 이 결과를 통해 히말라야원숭이들이 사회적으로 연결돼 있는지 살펴봤지. 원숭이는 사회적 동물로 상대의 털을 골라주며 동료들과 관계를 유지하거든. 그 결과 사회적 상호작용이 많은 원숭이에게 유익한 ... ...
[꿀꺽! 수학 한 입] 착한 콩쥐를 모두가 도와줘~!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24호
새어머니와 동생 팥쥐의 구박을 받는 콩쥐. 어느 날 콩쥐에게 무척 어려운 숙제가 생겼어요. 커다란 볏짚 주머니 속 볍씨의 껍질을 모두 벗기고, 밑부분이 깨져서 물이 줄줄 새는 장독에 물을 꽉 채워야 한대요! 껍질을 까야 할 볍씨의 개수는 몇 개일까요? 장독에 채워야 할 물의 양은요? 콩쥐에게 ... ...
[특집] 히파르코스에서 히파르코스까지 별 지도는 계속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24호
히파르코스 위성은 발사 후 100만 개 이상의 별의 거리와 움직임을 정밀하게
측정
했습니다. 별의 특성을 파악하고 별의 구조와 진화 연구 등에 기여했지요. 1993년 히파르코스 위성의 임무종료 이후 ESA는 ‘가이아 위성’을 발사해 현재까지 별 지도를 그리고 있습니다. 현재 가이아 위성의 주요 ... ...
[멍냥과학] 스트레스 받았다고? 개들은 냄새로 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24호
주었어요. 연구팀은 이 과정을 3분 동안 진행하면서 동시에 참가자들의 맥박과 혈압을
측정
해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지 확인했습니다. 그리고 스트레스를 받은 것으로 확인된 참가자의 땀과 날숨이 담긴 냄새 샘플을 추가로 채집했어요.실험에 참여한 개 네 마리는 사전에 스트레스를 받은 사람의 ... ...
[가상 인터뷰] 윙윙~ 꿀벌 날갯짓에 천둥 구름이 발생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24호
전기장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장비를 배치하고, 꿀벌 떼가 군집 행동할 때 전기장 변화를
측정
했어. 그 결과 꿀벌들이 모인 밀도에 따라 1m2당 100~1000V(볼트)까지의 전압을 발생시킨다는 결과를 얻었지. 이건 꿀벌이 날개를 저을 때 발생하는 정전기가 모이면 천둥을 만드는 구름이나 모래 폭풍보다 ... ...
[그래프뉴스] 꿀벌떼 날자 1000V 전기가 번쩍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23호
꿀벌의 날개와 공기가 부딪히면서 전기가 생기는 거예요. 연구팀은 전기의 양을
측정
할 수 있는 카메라를 설치한 뒤, 수많은 꿀벌이 새 집을 찾기 위해 날아오를 때 얼마만큼의 전기가 발생하는지 관찰했어요. 그 결 과, 꿀벌 떼가 1m를 나는 동안 적게는 100V에서 많게는 1000V의 전기가 발생 했지요 ... ...
[기획] 내 생각을 글로! 두뇌 해석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23호
많아지죠. 두뇌 해석기는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을 활용해 이 산소량의 변화를
측정
해요. 2016년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 캠퍼스 잭 갤런트 교수팀은 사람들이 특정 단어를 들으면 뇌의 어느 부위가 활성화되는지 fMRI로 촬영해 ‘어휘 지도’를 만들었어요. 어휘 지도를 통해 그 사람이 어떤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소셜미디어 속 사람들이 부러운 나, 어떡하죠?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23호
거라고 예상하죠. 초등학교 저학년 중 스마트폰이 없는 학생들이 많아서 이용률이 낮게
측정
되었을 뿐, 스마트폰을 많이 가지고 있는 고학년만 조사했다면 이용률은 더 높을 거라는 것이죠. 또 최근 코로나19로 미디어 사용 시간이 늘어서 현재 이용률은 이보다 더욱 높아졌을 것이라 보는 거예요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