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특수
특별
유별
독특
스페셜
고유
특유
d라이브러리
"
특이
"(으)로 총 2,099건 검색되었습니다.
[SF에 묻는다] 매트릭스 vs. 사이코 패스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사전에 차단해 살기 좋은 사회를 만든다는 개념이죠. 물론 사이코 패스에서는 체질이
특이
한 사람의 뇌를 이용해 만든 생체컴퓨터였기 때문에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인공지능과는 조금 다를 수 있습니다. 그러면 앞으로 시빌라 시스템과 같은 인공지능을 실제로 만들 수 있을지 궁금해집니다. ... ...
[특집] 수학으로 따지기2. 외계인을 어떻게 찾아?
수학동아
l
2020년 07호
지나가는 순간과 행성이 지나가는 순간 두 번 반짝이면서 빛의 밝기를 기록한 그래프가
특이
한 모양을 갖죠. [수동TV 초대석] 외계행성 찾는 이충욱 책임연구원 우리나라도 외계행성 찾기에 열심인데요, 한국천문연구원은 미시중력렌즈 현상을 이용해 외계행성을 찾는다고 합니다. 일명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제7화 수학자의 슬기로운 취미생활
수학동아
l
2020년 07호
노래까지 만들었습니다.물론 수학자라고 모두 특별한 취미를 가지고 있지는 않습니다.
특이
한 사례들을 모아 소개했을 뿐이에요. 취미는 자기 자신이 즐거우면 그만이죠. 독서, 음악 감상, 드라마, 영화 감상 같은 취미가 ‘평범한’ 이유는 그만큼 재밌고 확실하게 힐링이 되기 때문이겠죠? 수학과 ... ...
STEP ③ 유전체 복제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보통 오류를 수정하는 기작이 없다. 코로나19의 원인인 사스코로나바이러스-2만
특이
하게도 잘못 결합한 RNA 염기를 복구할 수 있는 교정(proofreading) 기능이 있다. 사스코로나바이러스-2가 일반적인 RNA 바이러스에 비해서는 돌연변이가 적은 편이라는 뜻이다. 돌연변이가 많은 바이러스를 꼽자면 단연 ... ...
2011년 선천 면역과 후천 면역의 시작을 알아내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유래 단백질을 인식해야만 각각 세포독성 T림프구와 형질세포로 활성화돼 항원을 매우
특이
적으로 인식해 제거한다. 후천 면역반응의 핵심인 T림프구과 B림프구가 활성화되려면 수지상세포의 도움이 필수인 셈이다. 공교롭게도 스타인먼은 노벨상 수상 발표 사흘 전인 2011년 9월 30일, 약 4년 6개월에 ... ...
[노벨상 수상자 특별 인터뷰] 피터 도허티 "백신 개발 전까지 코로나19는 위험한 질병"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수용체결합부위(RBD)가 결합하며 숙주세포 안으로 침투한다. 따라서 스파이크 단백질에
특이
적으로 결합하는 단일클론항체(monoclonal antibody)를 이용한 예방이 가능하다. 면역 원리를 이용한 백신인 셈이다.우리 몸이 바이러스에 감염됐을 때 면역반응을 일으키며 항체를 만들어내는 것과 같은 ... ...
STEP ② 숙주세포 침투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감염시키기 때문이다. 반면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의 경우 숙주세포의 CD4 수용체에만
특이
적으로 결합한다. CD4 수용체는 T림프구 표면에서만 발견되는 단백질이다. 결과적으로 HIV는 도움 T림프구, 대식세포 등 특정 면역세포에만 결합해 면역 시스템을 교란시킨다.일단 바이러스가 숙주세포의 ... ...
1908년 혈청 치료법을 완성하고 포식 이론을 발표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측쇄설’을 발표했다. 이후 측쇄설은 폐기됐지만, 에를리히의 발표 덕분에 면역
특이
성이 본격적으로 연구되기 시작했다. 에를리히는 결핵균의 표면을 염색해 결핵을 진단하는 방법도 고안해냈다. 이 진단법은 지금도 쓰이고 있다. 또 다른 수상자인 러시아 출신의 메치니코프는 동물학자였다. 1 ... ...
1919년 바이러스 파괴하는 보체를 발견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혈청 연구는 더욱 중요했다. 당시 과학자들은 병원체에 감염된 혈액에는 해당 병원체를
특이
적으로 공격하는 항체가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벨기에 출신 면역학자인 쥘 보르데도 면역 혈청을 연구하고 있었다. 그는 면역 혈청을 체내에 주입했을 땐 혈청이 병원체를 공격하지만, 시험관에서는 ... ...
1984년 단일클론항체를 만들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면역학 연구에 대변혁을 가져왔다. 단일클론항체 덕분에 과학자들은 특정 항원에만
특이
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정밀하게 만들 수 있게 됐다. 단일클론항체는 오늘날에도 질병 진단 시약과 치료제 등에 다양하게 쓰인다. 특히 2019년 발생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치료제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