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나"(으)로 총 13,944건 검색되었습니다.
- [광고] 레고 드림즈와 함께하는 꿈속 대탐험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7호
- 완성! 수업 후에는 12명의 어린이 독자 기자들이 함께 레고 분추토끼와 지 블롭 로봇 중 하나를 선택해 조립해 보았어요. 어린이 독자 기자들은 만화책처럼 되어 있는 조립 설명서를 따라 부품을 찾아 끼우며 차근차근 조립해 나갔습니다. 분추토끼는 롤러스케이트 또는 꿀벌 모드로 골라 조립했고 ... ...
- 하늘과 땅을 잇는 길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7호
- 척 붙여 가루’를 꺼내서 콩나무 뿌리에 뿌렸어요. “걱정하지 마라냥! 이제 두 그루가 하나로 연결될 거다냥!” 측냥이는 순식간에 합쳐진 두 콩나무의 길이를 더했어요. 기다랗게 이어 붙인 콩나무를 땅으로 내리려는데, 또 다른 문제가 생겼어요. “아뿔싸냥! 이걸 못 볼뻔했다냥 ... ...
- [출동, 슈퍼M] 가구 크기는 어떻게 재나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7호
- 보고 샀더니 책상이 너무 커서 방에 들어가지 않네요. 가구의 크기는 도대체 어떻게 재야 하나요? 옛날에는 길이를 어떻게 쟀을까? 가구를 사러 가면 종종 ‘6자 장롱’, ‘4자 서랍장’과 같은 말을 들을 수 있어요. ‘자’는 센티미터(cm), 미터(m)와 같은 길이 단위를 사용하기 전에 쓰던 ... ...
- 이렇게 대비하자!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7호
- 근처에 주택이나 건물을 지을 때 높이를 높여 짓는 것도 미국에서 많이 쓰이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집의 높이를 높여 바닷물이 흘러도 집이 침수되지 않게 하는 거예요. 아예 해안가에 있는 땅을 국가가 사들여 관리하기도 합니다. 미국은 지방정부가 재해 위험이 있는 해안가의 땅과 주택을 ... ...
- [이달의 과학사] 보이저 1호 태양계 밖으로!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자료를 남겼습니다. 대적점이라고 불리는 목성의 거대한 타원형 무늬와 목성의 위성 중 하나인 이오의 화산 활동을 촬영했지요. 또 1990년에는 60억km 밖에서 바라본 지구 사진을 찍기도 했습니다. 지구가 아주 작은 점으로 희미하게 보이는 이 사진을 보고 미국의 천문학자 칼 세이건은 ‘창백한 푸른 ... ...
- [이야기로 냠냠!어수잼] 다고쳐 약국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6호
- 양을 정확하게 계산하고, 또 확인했어요. 소수는 1보다 작은 수를 나타내는 방법 중 하나예요. 자연수 부분과 소수 부분 사이에 점을 찍어서 나타내지요. 소수점 오른쪽의 소수 부분은 ‘소수점 아래’라고도 해요. 0.1은 1의 1/10인 소수이고, 소수 한 자리 수라고 해요. 0.01은 1의 1/100인 소수이자 ... ...
- [꿀꺽! 수학 한 입] 기술과 예술 모두 완벽!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6호
- 이해인 선수는 기술 점수에서 41.00점, 예술 점수에서 35.90점을 얻었어요. 그리고 감점은 하나도 없었지요. 최종 합계 점수는 41.00+35.90-0.00=76.90점이에요. 프리스케이팅에서는 148.57점을 얻어, 이해인 선수의 최종 점수는 76.90+148.57의 값인 225.47점으로 2022-2023 시즌 여자 싱글에서 가장 높 ...
- [특집] 상대성 이론 시간 여행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느낄 정도로 시간이 많이 벌어지기 때문입니다. 아인슈타인은 또한 시간과 공간이 하나로 얽혀 있다고 주장했어요. 둘을 합쳐 시공간이라고 했지요. 시공간은 중력에 영향을 받는데, 중력이 큰 천체 주변의 시공간은 볼링공이 놓인 물침대처럼 가운데가 푹 가라앉아요. 강한 중력이 주변 시공간을 ... ...
- [가상 인터뷰] 종이접기하듯 접었다 펴는 DNA 나노구조체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있어. Q.이번 연구는 어떤 의미가 있어?A.DNA를 접을 수 있다는 건 이미 알려졌어. 하지만 하나의 DNA 도안에서 출발해 원하는 부분을 접고 펴면서 다양한 형태를 만들 수 있는 기술은 이번에 처음 등장했지. 연구팀은 이 기술이 질병을 진단하는 데 활용될 것이라고 기대해. 도안이 접히는 모양을 ... ...
- [어수티콘 사전] 소수점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6호
- 있으므로 사실은 0.256인 셈이에요. Q. ‘1.256’은 ‘일점이백오십육’이라고 읽어야 하나요? A. 아니에요. 자연수를 읽을 때는 숫자에 십, 백, 천 같은 자릿값을 붙여서 읽지만, 소수를 읽을 때는 자릿값을 읽지 않고 숫자만 차례로 읽어요. 즉, 1.256은 ‘일점이오육’이라고 읽는 거예요 ... ...
이전1920212223242526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