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학
생물
에콜로지
환경학
뉴스
"
생태학
"(으)로 총 257건 검색되었습니다.
[신나는 공부]스스로! 절실하게! 드라마틱하게!
동아일보
l
2015.12.22
주로 하는 양재고 과학동아리 ‘카오스’. 토론 및 실험 주제를 부원들이 직접 정한다.
생태학
연구원이 꿈인 이 동아리 김준하 군(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합격)은 동아리 과학토론시간에 ‘인공강우를 이용한 기상조절’을 주제로 발표했다. 당시 김 군은 다른 부원들로부터 “인공강우가 지구의 ... ...
전 세계 해양보호구역 4%에 그쳐
2015.10.26
분자이어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 해양수산연구소 연구원 팀은 이 같은 연구 결과를
생태학
분야 국제 학술지 ‘오릭스(Oryx)’ 26일 자에 발표했다. 분자이어 연구원은 “보호구역을 공정하고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각국 환경 관련 대표들이 긴밀하게 협조해야만 해양 보호구역을 확대하고 ... ...
고양이 눈동자가 세로로 길쭉한 이유
2015.09.07
고양이는 노란 눈으로 그녀를 똑바로 마주보았다. 노란 눈 한가운데 작고 새까만 막대가 수직으로 서 있었다. - 로알드 달, ‘정복왕 에드워드’에서 그림을 그리는 게 취미인 필자는 연초 양띠 해(을미년)를 맞아 양을 소재로 유화를 하나 그렸다. 그런데 양의 눈을 그리다가 뜻밖의 발견을 했다. ... ...
“죽지 말고 살아 다오” 수원청개구리에게 슈퍼파월~!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8.28
계획을 설명하고 있다. - Azastudio-남윤중 제공 장 교수는 이런 내용을 지난해
생태학
분야 국제 학술지 ‘생태 정보학(Ecological informatics)’ 8월호에 발표했다. 그는 “수원청개구리 서식지로는 넓은 논이 적합한데, 도로나 택지 개발로 논이 쪼개지거나 줄어들고 있어 문제”라며 “개체와 서식처 ... ...
‘바이오해커’를 아십니까
2015.07.19
저자인 이발 발리엘라는 국제적으로 유명한 해양생물학자다. 1968년 미국 코넬대에서
생태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뒤 최근까지 해양생물학자로서 왕성하게 활동하면서 약 200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발리엘라 박사는 과학을 하는 전체 과정이 하나의 전략이며, 특히 다른 사람에게 자신의 ... ...
기후변화가 ‘성전환 도마뱀’ 만든다
2015.07.05
바뀔 수 있다는 사실은 이미 잘 알려져 있었다. 클레어 호렐레이 호주 캔버라대 응용
생태학
박사팀은 이번주 ‘네이처’에 온도에 따른 도마뱀의 ‘성전환’ 현상을 야생에서 처음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연구팀은 도마뱀 131마리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그 중 11마리가 암컷임에도 불구하고 ... ...
수원청개구리가 사라지고 있는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5.29
줄기에만 살아요. 그럼 서로 마주치지 않기 때문에 싸우거나 경쟁할 일이 없지요. 이렇게
생태학
에서 비슷한 종이 같은 지역에 살면서도 시간이나 공간, 자원 등을 서로 다르게 활용해서 살아가는 방법을 ‘니치(niche)전략’이라고 해요. 그런데 최근 인간 활동으로 인해 자연에서 두 종이 공존하는 ... ...
개미학자에 도전하라! 국립생태원 개미세계탐험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4.30
자연 생태를 잘 보전해서 여러분처럼 어린 학생들에게 온전히 물려 주기 위해 노력하는
생태학
자라고 소개하고 싶습니다. 2. 연구를 하시면서 힘든 점은 없었나요? 미국 플로리다 주에 곤충 채집을 갔다가 밤이 늦어서 국립공원에서 텐트를 치고 잔 적이 있어요. 그런데 새벽에 누가 자꾸 텐트 ... ...
반전! 식물성 플랑크톤의 실체
2015.04.21
녹아내리고 있는 북극 빙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것으로 알려진 식물성 플랑크톤이 지구온난화를 가중시키는 ‘증폭제’ 역할을 한다는 연구 결과가 ... 기후변화와 밀접하게 연관돼 있기 때문에 기후변화를 예측 연구에 반드시 북극해의
생태학
적 변화를 포함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 ...
DDT, 그 영욕(榮辱)의 역사
2015.04.20
됐고 책은 100만 권 넘게 팔렸다. 1년 사이 대중은 두 가지 용어에 익숙해졌는데, 하나는
생태학
이고 다른 하나는 바로 DDT다. 카슨이 책에서 DDT를 집중적으로 거론한 건 맞지만 곳곳에서 유기인계 살충제의 위험성도 언급했다. 이런 상황에 깊은 인상을 받은 존 F. 케네디 대통령은 환경문제를 다룰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