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검
날붙이
나이프
도검
식칼
단도
면도칼
뉴스
"
칼
"(으)로 총 573건 검색되었습니다.
전선 끊어져도 셀프 복원…자가 치유기술 어디까지 왔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5.18
2월 국제학술지 ‘미국화학회 응용 재료 및 계면’에 발표했다. 3mm 두께의 고분자 밴드를
칼
로 자른 후 단면을 붙여 놓자 1분 만에 추 1kg을 들 정도로 회복됐다. 미래에는 소재 자체에 자가치유 능력이 도입된 소재가 나오며 시장 또한 커질 것으로 보인다. 시장조사기관 ‘마켓앤드마켓’은 2015년 ... ...
[프리미엄 리포트] 카드뮴 없앤 친환경 퀀텀닷
과학동아
l
2020.05.09
데 성공한 퀀텀닷도 모두 카드뮴이 핵심 원재료다. 카드뮴은 은백색의 금속으로,
칼
로 자를 수 있을 만큼 부드러워 변형하기 쉽고, 전기전도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다른 물질과 혼합도 잘 돼 또 다른 장점을 보탠 화합물로 만들기도 쉽다. 그래서 이미 1800년대 미술가들은 카드뮴을 ... ...
색맹 치료 유전자 요법 개발
연합뉴스
l
2020.05.04
MedicalXpress)가 2일 보도했다. 튀빙겐 대학병원 안과학 연구소의 스틸리아노스 미
칼
라키스 교수와 LMU 안과 전문의 마르틴 빌 교수가 개발한 이 유전자 치료법은 완전 색맹 원인의 약 3분의 1을 차지하는 CNGA3 변이유전자를 정상 유전자로 대체하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밝혔다. CNGA3 유전자는 망막의 ... ...
10대들은 어떻게 생각할까…'미성년자 동물 해부실습 금지' 찬반 논란
과학동아
l
2020.04.18
통해 확인한 바로는 동물 해부실습처럼 동물이 사람으로 바뀔 뿐 신체의 모든 부위를
칼
로 자르고 확인한 뒤 다시 꿰매는 작업이라고 합니다. 왜 이런 잔인한 일을 동물에게 해야 하는 걸까요? 심지어 학교 동물 해부실습에서는 해부 이후 사체를 다시 꿰매지 않고 폐기한다고 들었습니다. 이번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해부학 시대의 도래
2020.04.16
3백 장 이상 실렸다는 점이다. 삽화를 그린 사람은 당대의 유명한 화가인 얀 스테벤 판
칼
카르이다. 삽화가 굉장히 사실적이고 세밀해서 아마 이런 부류의 책이 처음 나왔을 당시에는 꽤나 센세이션을 불러일으키지 않았을까 상상해 본다. 의학이 고도로 발달한 지금도 우리는 인체 내부를 묘사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성범죄를 단순 호기심이라는 'n번방' 26만명의 성착취 가담자들
2020.04.05
같은 가벼운 마음으로 성범죄를 저지르는 것인지 아득해진다. ‘호기심으로 한 번
칼
로 찔러봤다’고는 하지 않으면서 성범죄에 대한 변명으로는 고작 ‘호기심에’, ‘실수’ 같은 말을 늘어 놓는 것은 그만큼 사람들이 성범죄를 범죄로 인식조차 하지 않으며 아주 가벼운 일로 치부한다는 ... ...
[사이언스N사피엔스]혁명의 기수, 혁명의 제물이 되다
2020.04.02
성질까지 연구했으나 새로운 기체로 인식하지 못했고 또한 공식 발표마저 늦었다.
칼
빌헬름 셀레 (1742.12~1786.5). 위키피디아 제공 영국의 프리스틀리는 성직자이면서 영국 왕립학회 소속의 화학자로 당대에 가장 ‘잘 나가던’ 과학자였다. 프리스틀리는 1756년 에든버러 대학에서 법학박사 학위를 ... ...
"국내 코로나19 치료제 임상 5건·사용승인 6건·10건 검토중"
연합뉴스
l
2020.03.27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서울대학교병원 2020-03-05 4 서울아산병원
칼
레트라정, 옥시크로린정 경증 코로나19 환자에서 lopinavir/ritonavir vs hydroxychloroquine vs 비투약군 간의 open labelled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 서울아산병원 등 2020-03-20 5 강남세브란스병원 할록신정 SARS -CoV -2 에 대한 ... ...
[잠깐과학] 생명 구하는 수혈의 진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20.03.15
들어가 세균이 자라거나 쉽게 깨져 귀중한 피가 낭비되기 십상이었다. 미국의 의사였던
칼
월터와 윌리엄 머피는 유리 대신 가볍고 신축성 있으며 옮기기 편한 플라스틱 재질의 혈액백을 발명했다. 이 혈액백은 충격에 강한 데다, 급한 경우에는 백을 눌러서 수혈을 빨리할 수도 있었다. 1952년, ... ...
[표지로 읽는 과학] 크리스퍼 유전자 교정, 암 정복 위한 '가위손'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0.03.01
원하는 대로 교정할 수 있는 이 기술은 이제 인간의 암을 정복하는 데도 쓰이고 있다.
칼
준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의대 세포면역치료센터 소장 연구팀은 암 환자에게 유전자 편집 면역세포를 주입한 결과 오랜 기간 별다른 부작용이 없었다는 임상 1상 연구결과를 사이언스에 지난달 7일 발표했다.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