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표적
목표
상대
목적
과녁
타깃
타게트
스페셜
"
대상
"(으)로 총 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게시판] 과기정통부-ITU AI 웨비나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2.07
말했다.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UST)는 6일부터 2주 동안 2023학년도 신입생 199명을
대상
으로 '스타트렉(STAR-TREK) 프로그램'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스타트렉 프로그램은 국가 연구개발(R&D) 양성을 위한 교육으로 연구역량 강화, 창의적 문제해결, 교양 특강 등으로 구성돼 있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사랑에 눈 멀면 안되는 이유
2023.02.04
사랑이 100이라면 그걸 70, 50으로 깎아서 받는 것이다. 일례로 한 연구에서는 사람들을
대상
으로 낯선 사람들 앞에서 발표를 해야 하는 등 어려운 과제를 주고 연인이 힘내라고 이런 메시지를 보내왔다며 모두에게 ‘같은’ 내용의 응원 메시지를 보여주었다. 응원의 내용은 같았지만 스스로에게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시대가 질병을 만든다
2023.01.31
한 분야”가 아니라 “과학적 연구방법을 이용하여 크게 발전한 학문으로 사람을
대상
으로 하는 만큼 인문학적 소양이 필요한 학문”이라 주장하지만 이렇게 긴 표현으로도 의학을 완전히 정의하기는 어렵다. 과학뿐 아니라 의학에도 뭔가 특별한 것이 있기 때문이다. 의학은 “건강을 유지하기 ... ...
[일상속 뇌과학] 젊은 피 수혈받으면 회춘할 수 있을까
2023.01.27
알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1665년 영국 의사인 리차드 로워(Richard Lower)가 동물들을
대상
으로 하나의 개체가 다른 개체로부터 피를 전달받을 수 있음을 증명하려 했고, 1818년 영국의 산부인과 의사인 제임스 블런델(James Blundell)은 혈액이 부족해 죽어가는 산모가 건강한 가족의 혈액을 수혈받을 수 ... ...
[표지로 읽는 과학] 대규모 핀란드인 유전자 분석...질병 원인 밝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21
현재까지 등록된 22만4737명의 유전체 정보를 분석했다. 연구팀은 1900개 이상의 질환을
대상
으로 관련이 있는 유전자 돌연변이를 찾아 나섰다. 분석 결과 681개의 서로 다른 질환에 영향을 미치는 1838개의 유전자 돌연변이를 발견했다. 질환을 일으킬 잠재적 위험이 있는 유전자 돌연변이 702개도 ... ...
[과학게시판]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 우주산업체 종사자 역량 강화 교육 프로그램 확대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1.20
밝혔다. 이번 지원 사업에서는 해당 진료과 의료진과 상담 후 사회복지 상담을 신청하면
대상
자 선별 심사를 거쳐 치료비를 지원하고 있다. 앞서 의학원 직원들은 지난 2003년부터 20여 년간 매달 일정 금액을 기부해 원자력병원의 환자 치료비를 지원해 왔으며 지난해 45명의 저소득층 환자들이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교육 개혁'
2023.01.04
무상교육을 시행하고 있는 것이 우리의 현실이기 때문이다. 대통령의 답변에서는 교육의
대상
인 ‘학생’에 대한 고민이나 배려를 도무지 찾아볼 수가 없다. 학생은 국가의 경제 성장을 위해 노력해야 하는 ‘인적자원’이 아니라 스스로의 행복을 추구하는 ‘인간’이라는 분명한 인식이 실종되어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천년 이어진 장기 이식...'이식용' 부족 해결해야
2023.01.03
제대로 못하게 되는 백혈병이다. 최초의 조혈모세포 이식은 재생불량성 빈혈 환자를
대상
으로 1939년에 이루어졌다. 이 때는 좋은 효과를 보지 못했지만 1951년에 골수와 비장의 기능을 못하게 한 생쥐에서 골수세포를 이식해 피에 들어 있는 세 가지 세포를 생산하는 일이 가능함이 알려졌다. 그리고 ... ...
[일상 속 뇌과학] 운동이 어떻게 뇌기능을 좋게 할까
2022.12.30
운동 전과 6개월 후에 혈액을 채취하여 염증관련 단백질의 농도를 분석했다. 생쥐를
대상
으로 한 연구와 같이 클러스터린과 같은 항염증 단백질은 증가하지만 염증 반응과 관련된 단백질들은 오히려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아직 클러스터린이 직접적으로 인간의 뇌 속 염증 관련 기전을 ... ...
[과기원은 지금] UNIST 개발 참여 의료기기 FDA 승인
동아사이언스
l
2022.12.27
받았다고 26일 밝혔다. 인증을 받은 개발 기기는 근감소증 및 무릎 퇴행성관절염 환자를
대상
으로 하지 근기능 저하 양상에 따라 맞춤형 단계별 훈련을 제공한다.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단의 국책과제 지원으로 UNIST를 포함해 분당서울대병원 등이 함께 개발에 참여했다.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