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서
책
서적
저술
책자
단행본
작품
스페셜
"
저서
"(으)로 총 262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코알라는 어떻게 유칼립투스 잎만 먹고 살까
2018.07.17
19세기 프랑스의 법률가이자 미식가였던 장 앙텔므 브리야 사바랭은 1825년 펴낸
저서
‘미식예찬’에서 “미식법의 목적은 가능한 가장 좋은 음식을 수단으로 하여 인간의 보존에 주의하는 것”이라고 쓰고 있다. 다양한 맛을 경험하고 미각을 세련되게 만드는 것이 결국 건강에도 도움이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삶이 허무하게 느껴질 때
2018.06.23
보인다. 2차 대전 나치 수용소에서 힘들게 살아남은 심리학자 빅터 프랭클(Viktor Frankl)은
저서
'죽음의 수용소에서'에서 그런 상황에서조차 절망하지 않고 여전히 내 삶은 의미있다고 생각한 사람들이 살아남았고 그렇지 못했던 사람들은 몸 이전에 마음이 죽어버려 살아있는 시체가 되었다고 ... ...
[호킹, 별이 되어 떠나다] 한국 과학자들이 기억하는 호킹 박사
2018.04.10
어떻게 창조됐는지 알고 싶어 하던 호킹은 2010년 돌연 “신(神)은 없다”는 선언을 했다.
저서
‘위대한 설계’를 통해 “현대물리학은 우주 창조에서 신을 위한 자리를 남겨두지 않는다”고 한 것을 두고 전 세계가 발칵 뒤집혔다. 그런 그가 아이작 뉴턴의 동상과 폴 디랙의 무덤이 있는 영국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한 시대를 풍미한 과학자 스티븐 호킹을 기리며...
2018.03.14
역사’로 대중 관심 한 몸에 받아 일반인들이 호킹 하면 떠오르는 건 루게릭병과 그의
저서
‘시간의 역사’일 것이다. 호킹은 “우주에 대한 우리의 지식이 어디까지 이르렀는지를 내가 느끼는 대로 설명하고 싶었다”는 동기와 함께 “돈을 벌어 딸의 학비를 대자”는 것도 이 책 집필의 ... ...
시간과 우주 수수께끼 풀러...스티븐 호킹 박사 별로 떠나다
2018.03.14
'시간의 역사' '호두껍질 속의 우주', '짧고 쉽게 쓴 시간의 역사’, '스티븐 호킹' 등의
저서
가 있다. 1964년 제인 와일드와 결혼해 슬하에 3명의 자녀를 두었다. 012런던 장애인 올림픽 개막식에서 메시지를 전하고 있는 세계적인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 박사 (대한장애인체육회 제공) ... ...
할로윈과 유령의 과학
2017.10.30
때문입니다. 코벤트리대학의 심리학 박사 토니 로렌스는 ‘기계 속의 유령’이라는
저서
에서 초처주파를 통해 유령을 보는 환각을 경험했다고 밝혔습니다. 당시 그가 일하는 곳은 ‘유령이 나오는 실험실’로 불리었습니다. 원인은 조용히 돌아가는 팬이 만들어내는 초저주파였습니다. 팬은 사람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후쿠시마 수산물 수입, 어떻게 해야 하나
2017.10.24
베크렐이 찍히는 개체가 잡히기도 한다. 논문에 따르면 원전 항구 둘레에 그물을 설치해
저서
어류들이 이곳을 벗어나지 못하게 하고 있다. WTO의 보고서가 공개된 시점에서 60일 이내에 당사국은 상소를 할 수 있다고 한다. 후쿠시마 주변 수산물의 전면 수입금지가 어렵다고 판단될 경우 부유어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린 어떻게 습기를 느낄까
2017.07.25
110여 년 전인 1905년 스웨덴 룬드대의 생리학자 토르스텐 툰베리(Thorsten Thunberg)는
저서
‘인간생리학 안내’에서 우리가 습도를 어떻게 지각하는가에 대한 흥미로운 가설을 제시했다. 즉 습도에 따라 피부가 습기를 머금어 수화돼 팽창하는 정도가 다르고 아울러 피부 표면의 수분이 증발되며 온도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킬레스건의 재료과학
2017.03.07
아킬레스건이라는 용어가 처음 등장한 건 네덜란드의 해부학자 필립 베헤옌의 1693년
저서
‘인체 해부학(Corporis Humani Anatomia)’이다. 인류의 이족보행은 잘 발달된 아킬레스건 덕분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즉 걷고 달리고 뛰어오르는 게 모두 강력한 아킬레스건이 뒷받침돼 있기 때문이다. 반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들은 얼마나 똑똑할까
2017.02.28
● 동물의 입장에서 생각해야 미국 에모리대의 저명한 영장류학자 프란스 드 발의 2016년
저서
‘우리는 동물들이 얼마나 똑똑한지 알 수 있을 만큼 똑똑할까?(Are we smart enough to know how smart animals are?)’를 보면 오늘날의 이런 훈훈한 분위기가 거져 얻어진 게 아님을 알 수 있다. 즉 지난 세기 내내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