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신
자아
자체
도자기
도기
자기자신
본인
d라이브러리
"
자기
"(으)로 총 4,581건 검색되었습니다.
3. 첨단 나노기술로 웰빙의약품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11
평생 주사를 맞아야 된다. 필자는 소아당뇨로 어릴 적부터 맞아온 일회용 주사바늘을
자기
창고에 가득 쌓아 둔 15세 소년의 이야기를 3년 전 신문에서 읽은 적이 있다. 카메라기자 앞에서 하얀 이를 드러내며 웃는 소년의 모습이 아직도 눈에 선하다.치료를 위해서는 약물투여가 불가피하지만, ... ...
뇌지문으로 거짓말 탐지할 수 있나
과학동아
l
200411
반응하는지 대해 2001년부터 연구해왔다. 브라질 도르병원 호르헤 몰 박사 연구팀도
자기
공명영상(MRI) 장치를 이용해 도덕적 판단을 할 때 뇌의 반응을 조사하고 있다.한편에서는 체온이나 얼굴 표정, 시선의 변화로 거짓말 여부를 탐지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미 미네소타의대 연구팀은 ... ...
세계 3번째로 큰 공룡 한국에 왔다
과학동아
l
200411
화석이 지구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생명의 흔적이다. 특히 최근에는 생명체의 탄생에
자기
복제 능력과 효소의 능력을 함께 갖춘 RNA가 중요한 역할을 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번개와 햇빛, 강력한 화산활동 등 지구의 원시 환경도 초기의 생명 탄생을 도왔다.이기석 관장이 수십년 동안 ... ...
나노와 바이오의 퓨전 시대
과학동아
l
200411
병소를 찾은 뒤 약물을 터뜨리는 나노입자를 설계하는 연구가 한창이다.한편 생체분자의
자기
조립화 메커니즘을 응용해 새로운 나노소재를 만드는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DNA, 단백질로 만든 나노튜브와 나노벽돌, 나노격자는 과연 어떤 모습일까.현재의 연구결과들이 하나둘 실용화되기 시작하면 ... ...
4. DNA로 나노벽돌 찍어낸다
과학동아
l
200411
2004년 10월호의 표지를 장식하는 등 국제적으로 널리 인정을 받고 있다.생체분자의
자기
조립을 이용해 나노소재를 만드는 연구 분야는 이제 막 시작단계다. 그러나 연구자들은 머지 않아 오늘날 우리의 상상을 초월하는 재료와 소자, 기술이 개발될 것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미국 MIT 생물학과의 ... ...
그의 뇌와 그녀의 뇌는 다르다
과학동아
l
200411
뇌의 구조와 기능을 있는 그대로 실시간으로 조사할 수 있다. 그 중 한 방법이 기능성
자기
공명영상(fMRI) 촬영이다. 이를 이용하면 의미있는 말이나 자극에 대해 반응하는 뇌 부위가 어디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언어 전달과 같은 복잡한 활동에는 뇌의 특정 부분이 아닌 여러 부분이 관여하는데 ... ...
2. 단 한 개의 바이러스도 검출한다
과학동아
l
200411
그렇지 못하면 아무리 감도가 뛰어난 생체분자도 센서로서 무용지물이다.생체분자처럼
자기
가 알아보는 분자하고만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부분을 ‘1차 트랜스듀서’ 라 부르고, 분자간의 결합을 사람이 인지할 수 있는 신호로 바꾸는 역할을 하는 부분을 ‘2차 트랜스듀서’ 라 한다. 지난 10-20년 ... ...
과학자 3천명 축제에 뛰어들다
과학동아
l
200411
3천km를 달리는데 수소연료를 불과 3kg밖에 쓰지 않았다.“어, 기차가 진짜 떠서 가네!”
자기
부상열차의 원리를 보여주는 레일 앞에도 관람객들로 만원이었다. 10cm 길이의 모형 기차에 액체질소를 넣자 기차는 자석 레일 위를 미끄러지면서 빠른 속도로 달리기 시작했다. 마찰이 전혀 없는 전진 ... ...
1. 분자로 나노기계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11
여러개의 분자로 이뤄진 구조(이런 구조를 ‘초분자’ 라고 한다)를 이용해서 분
자기
계를 만든 경우가 훨씬 많다. 초분자를 사용하는 이유는 화학자들이 상상해낸 구조를 만들기에는 1개보다는 여러 개의 분자를 갖고 만드는 것이 훨씬 쉽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올림픽 오륜기 구조를 분자 하나로 ... ...
세계는 지금 곤충산업 붐
과학동아
l
200411
등이 있다.한 예로 멜라닌을 들 수 있는데 곤충도 인간과 마찬가지로 피부에 상처가 나면
자기
몸을 보호하기 위해 여러가지 면역반응을 보이기 때문이다. 역으로 이 과정을 조절하면 피부의 상처치료제나 멜라닌형성 억제를 이용한 미백화장품을 만들 수 있다.이처럼 병리학적인 관점에서 ... ...
이전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
2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