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간"(으)로 총 9,156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사랑탐사대 4기 발대식] “ 신나는 축제처럼 탐사를 즐겨요!”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포스터들을 살펴보고, 궁금한 것이 있으면 어벤저스와 스태프 팀들에게 묻고 답하는 시간을 가졌지요.포스터를 준비한 ‘현근성근탐험팀’의 이현근 대원은 “일주일에 두 번씩 늦은 밤까지 수원청개구리를 탐사하다가 동생 성근이가 코피를 흘린 적도 많다”며, “탐사는 그만큼 피곤하지만, 갈 ... ...
- [News & Issue] 내 DNA에… 낯선 유전자가 들어왔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유전자 가위 ‘크리스퍼’, 새로운 생명체를 만드는 ‘합성생물학’ 등 최신 유전공학 기술들이 갑자기 나타난 것은 아니다. 자연에서는 이미 수억 년 전부터 완전체가 되 ... 진행 중일 수 있다”고 말했다. 유전자 변형은 이미 수억 년 전부터 시작됐고, 지금 이 순간에도 일어나고 있다 ... ...
- Part 1. 북극, 빙하기 동해 닮은 비밀의 얼음 바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이어지다 멈췄다. 지판들 간에 작용하던 힘의 균형이 갑자기 변했기 때문이다. 이 기간 동안 해저 확장에 의해 북극해의 아메라시아 분지가 만들어졌다. 알파-멘델레예프 해령도 이때 만들어졌다.2차 균열은 약 8000만 년 전 시작됐다. 이번엔 로라시아 남쪽에서 대서양을 넓혀가던 대서양 중앙해령이 ... ...
- [News & Issue] 브렉시트, 한국 과학계엔 나비 효과 없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일자리가 한정적이라는 의미다. 아마 브렉시트가 일어나도, EU 국적의 사람이 빠져나간 자리를 동양인한테 주기보다는 자국민들에게 줄 가능성이 높다. 지금의 영국 경제상황이 나쁘기 때문이다. 물론 아직은 가능성일 뿐이라, 상황을 좀 더 지켜봐야 한다 ... ...
- [Tech & Fun] 박흥보 특급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집어 넣는 나노 기술, 순간 이동 기술에 관한 문제였다. 불치병을 치료하거나 항성 간 우주 여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일이었다.“그럴 리야 있겠어. 바다 깊이 숨어 있는 해저 문명이 왜 그런 이상한 장난을 치는데?”선배는 내 말에 동의하지 않았지만, 선배 역시 박 속의 이상한 ... ...
- [지식] 공대생 너무만화수학동아 l2016년 08호
- 의지를 이보다 더 강하게 표출할 수 있을까!반면 세포분열은 중학교 3학년 생물시간에 배우는 쉬운 문제이기도 하지만…, 가입조건은 ‘세포분열 설명’도 아니고 그냥 ‘세포분열’이다. 세포분열을 하는 여학생은 동아리에 가입할 수 있다. 모든 여자 생명체는 세포분열을 한다. 즉 모든 여자 ... ...
- [과학뉴스] 3일 이상 잠 부족하면 커피도 소용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그룹이 짜증을 많이 냈다.도티 연구원은 “잠이 부족할 때 카페인을 많이 찾는데, 며칠간 잠이 부족하다면 카페인도 소용없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수면 관련 학술지 ‘슬립’ 7월호에 게재됐다 ... ...
- [News & Issue] 올 여름, 진화한 공포가 몰려온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과부하가 걸려 영상이 재생되는 속도가 느려질 수 있는데, 사용자의 시선에 따라 실시간으로 영상을 보여줘야 하는 VR 콘텐츠에는 치명적이다. 최 이사는 “만약 사무실을 예로 든다면 천장이나 바닥처럼 움직임이 없는 곳은 중요한 부분이 아니다”라며 “우리가 집중해서 보는, 움직임이 있는 ... ...
- [과학뉴스] e라이프(eLife)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수가 없다.반면 e라이프는 리뷰 과정에서 오간 대화를 출판과 동시에 공개한다. 리뷰 기간도 상대적으로 짧다. e라이프의 수석 에디터인 랜디 셰크먼 미국 UC버클리대 교수(2013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는 저널 홈페이지 공식 소개문에서 “끝이 보이지 않는 리뷰와 새로운 실험에 대한 요구에 더 ... ...
- Part 2. 무수한 기체 먹고 은하 ‘비만’ 막았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놓고 첨예하게 논쟁하고 있다.천문학자들은 앞으로의 10년을 고대하고 있다. 지난 50년간 관측 천문학이 비약적으로 발달했지만, 이런 노력을 비웃는 듯 AGN은 모습을 잘 보여주지 않았다. 너무 먼 데다 크기가 너무 작기 때문이다. 김연구원은 “2020년대 초 거대마젤란망원경(GMT)이 완성되면 ... ...
이전2362372382392402412422432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