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국"(으)로 총 9,740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별인터뷰] 종이비행기, 국가대표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종목의 이정욱 선수, 곡예비행 종목의 이승훈 선수는 지난 2015년, 1600여 명이 참가한 한국 국가대표 선발전에서 각각 1등을 차지했어요. 그렇게 우리나라를 대표하게 된 세 선수는 같은 해에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에서 열린 세계 종이비행기 대회 ‘레드불 페이퍼윙스’에 출전했답니다. 80여 개 ... ...
- Part 3. 우주 망원경으로 외계행성을 찾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오호~.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 외계행성이 따로 있었군. 지구에서는 우주로 직접 외계행성 찾는 망원경을 보내기도 한다던데, 정말일까? 수천 개의 외계행성을 찾아낸 우주망원경!2009년 발사된 케플러 우주망원경은 지름 2.7m, 길이 4.7m의 원통 모양으로, 약 10만 개의 중심별을 29분마 ... ...
- Intro. 전기만들고 계단도 껑충~! 스마트 바퀴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씽씽~! 달려라 달려~!”우리는 최신 모빌리티를 가장 먼저 즐기는 얼리어답터 삼총사야. 저 킥보드는 360°를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고, 내가 탄 모빌리티는 계단을 오르내릴 수도 있어! 이게 가능한 건 다 똑똑한 바퀴 덕분이란다. 똑똑한 바퀴가 궁금하다고? 지금부터 우리가 소개해 줄게! ... ...
- Part 1. 더 튼튼하게, 더 멀리! 바퀴의 진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사실 바퀴는 인류가 만든 위대한 발명품 중 하나로 꼽혀. 만약 바퀴가 만들어지지 않았다면 우리는 무거운 짐도 제대로 나를 수 없었을 걸~! 세상을 바꾼 ‘바퀴’도로 위를 달리는 자동차, 어린이들이 즐겨 타는 킥보드, 스마트 모빌리티까지…. 우리 주변의 탈것들은 대부분 바퀴를 이용해 움 ... ...
- [에디터 노트] ‘서밋’으로의 초대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인공지능), 김홍표 아주대 교수(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정재승 KAIST 교수(뇌공학), 황정아 한국천문연구원 책임연구원(우주 날씨)이 서밋을 이끌어갈 주인공들이다.뇌와 양자, 유전자와 AI, 우주 속에서 보이지 않던 새 길이 나타날 수 있다. 7월 21일, 독자 여러분을 그 서밋에 초대한다 ... ...
- [Issue] 애벌레로 비닐봉지 분해, 플라스틱 라이프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쓰레기가 쏟아져 나왔다. 금세 집 앞 재활용 쓰레기 수거함이 가득 찼다.) 2017년 한국환경공단이 발행한 ‘2016년도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에 따르면 전국에서 발생하는 플라스틱 폐기물은 7301.5t(톤)이다. 이는 전체 폐기물의 약 13.6%로 종이에 이어 두 번째로 많다. 하지만 폐플라스틱은 ... ...
- [Career] 한화 사이언스 챌린지 2018, 미래 노벨상 인재들의 기발한 아이디어 열전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지난해 ‘한화 사이언스 챌린지 2017’에서 입상해 해외특별프로그램에 참가한 허성범 군(한국과학영재학교 3학년)은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거대강입자가속기 등 쉽게 체험하기 어려운 과학 시설을 견학했다”며 “특히 독일 현지 한화큐셀 공장에서 산업 공정을 눈으로 직접 살펴본 것이 ... ...
- [Issue] 한국판 셜록홈즈 나오나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내세우면서, 공인탐정에 대한 논의가 다시 대두됐다. 지난해 7월 13일 이완영 자유한국당 의원이 ‘공인탐정 및 공인탐정업에 관한 법률안’을 대표 발의해, 현재 소위에 계류중이다.김광호 대한공인탐정연구원 사무총장은 “공인탐정은 세계적인 추세”라며 “올해 법안이 통과될 경우 이르면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체험도 하고 글쓰기 실력도 쑥쑥!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만화도서와 관련 자료를 소장하고 있지요. 얼마 남지 않은 봄방학엔 가족과 함께 한국만화박물관을 방문해보세요. 부모님 세대에 유행했던 만화와 오늘날 웹툰을 비교하다 보면 봄방학의 마지막을 즐겁게 보낼 수 있을 거예요~! 기사 3 이예서 기자·대구 강북초 4학년 자연의 신비한 아름다움, ... ...
- [시사기획 Part 2] 내년 2월 결과 발표, 정부 연구단 “조사 중”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홍 교수는 “아직 논문으로 발표되지 않아 얘기하기 조심스럽다”면서도 “기상청과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 전국에 설치한 100개 이상의 지진계에 기록된 포항지진의 지진파를 분석해 얻은 결과”라고 말했다. 포항지진의 진원에 대해서는 지진 발생 이후 발표된 여러 기관의 분석 결과에서도 ... ...
이전2362372382392402412422432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