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이팟나노
아이팟
쥐샥
아이팟 나노
아이팟나mp3
아이팟나노 4
아이팟나노 512
뉴스
"
나노
"(으)로 총 3,638건 검색되었습니다.
홍합 접착단백질 속 초미세입자로 항암치료 효과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9.20
의료 소재와 관련 기술을 개발하겠다”고 말했다. 홍합의 접착성분을 가진 초미세
나노
입자를 항암제와 람꼐 처리하면 암세포 성장이 크게 억제된다.-해양수산부 제공 ... ...
‘슈퍼커패시터’ 권위자 로드니 루오프 UNIST 교수 노벨상 유력후보 뽑혀
동아사이언스
l
2018.09.20
노벨상 수상 후보에 국내 연구자가 선정된 것은 2014년 유룡 KAIST 화학과 특훈교수(IBS
나노
물질 및 화학반응연구단장), 지난해 박남규 성균관대 화학공학과 교수에 이어 이번이 세 번째다. 아시아인 중에는 일본인인 가네히사 미노루 일본 교토대 교수가 유일하게 이번 클래리베이트 선정 노벨상 ... ...
DGIST-서울대, 뼈 속 칼슘 축적되는 원리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8.09.20
이론을 뒤집는 구체적 모델과 계산적 증거를 확보하는데 7년간 걸렸다”며 “앞으로
나노
입자의 성장 및 특성을 제어하는 연구에 활용할 것”고 전망했다. 이번 연구는 화학분야 국제학술지 ‘ACS 센트럴 사이언스’ 8월 30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 ...
맥박 세기까지 측정하는 웨어러블 터치센서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9.20
포함된 투명
나노
복합 절연층과 가해진 압력을 집중시켜 민감도를 높일 수 있는
나노
그레이팅 구조로 채웠다. 그 결과, 볼펜심 수준으로 유연한 굽힘 정도에서도 성능의 변화 없이 센서가 동작하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진은 개발한 센서를 맥박 모니터링이 가능한 헬스케어 웨어러블 기기에 ... ...
휘는 디스플레이 '보호막'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09.19
디스플레이 보호막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 결과는
나노
분야 국제학술지 ‘
나노
레터스’ 12일에 발표됐다. 현재 스마트폰 등 디스플레이에 널리 쓰이는 OLED 소자는 공기나 수분에 닿으면 빨리 망가지는 문제가 있어 이를 보호하기 위해 ‘막’을 씌우는 과정이 필수다. 현재의 막 기술은 ... ...
인공망막 품질 평가하는 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09.19
신호를 골라 측정하는 방법으로 바이러스나 생화학 저분자 물질 등을 ppm 수준(1mL 안에
나노
그램(ng, 10억 분의 1g을 섞은 극히 적은 농도)에서도 검출할 수 있었다. 서 책임연구원은 “인체 내 신호전달체계에 관여하는 자극은 대부분 세포 막 단백질의 구조 변화에 의해 시작된다”며 “이 연구는 ... ...
종이키트로 10분 내 ‘타미플루’ 내성 바이러스 진단
동아사이언스
l
2018.09.18
결합력을 갖는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진은 유기분자가 바이러스와 결합하면서 금
나노
입자와 응집하는 현상을 이용해 육안으로 검출이 가능하도록 종이 기반 진단 키트를 만들었다. 그 결과, 소량의 체액(콧물)으로도 10분 이내에 별도의 분석 장비 없이 신속하게 타미플루 내성 바이러스 ... ...
친환경 알칼리전지 성능 'UP'
나노
튜브 촉매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09.17
“차세대 알칼리 연료전지용으로 쓰는 백금 기반 촉매보다 효과가 좋은 저가형 탄소
나노
튜브 촉매가 나오게 됐다”며 “향후 차세대 알칼리 연료전지용 촉매의 설계, 제조 공정 기술 및 연료전지 적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 ...
[全기자의 영화 속 로봇] 전자두뇌가 기계 몸을 입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9.14
기계 몸과 연결해야만 전신을 뇌의 의지대로 통제할 수 있다. 사실상 전뇌란 것이 뇌와
나노
컴퓨터를 섞어 만든 시스템이다 보니 어디까지가 인간이고, 어디까지가 기계인지 구분이 모호한 존재가 된다. 로보캅의 그것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기계에 가깝다. 쿠사나기 소령 - imdb 제공 ... ...
로봇도 촉감 느낀다…자극감지 인공피부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09.12
KAIST 연구진은 로봇용 인공피부를 개발하고, 이를 의료용 영상기술과 결합해 촉각을 감지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한국과학기술원 제공. 로봇이 사람보다 손재주가 떨어지는 까닭 중 ... 국제학술지 ACS
나노
(ACS Nano) 8월 28자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 ACS
나노
8월 28일자 표지. ACS
나노
제공. ... ...
이전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
2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