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계"(으)로 총 13,669건 검색되었습니다.
- 개미왕국 거대한 가족, 초군체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빠르게 발견하는 강한 생존력과 무리를 지어 다른 개미를 공격하는 전투력으로 전 세계를 평정했지요. 2009년 일본 도쿄대학교의 아이리키 수나무라 교수가 이끄는 국제 공동 연구진은 유럽 지중해 연안 6000km, 미국 캘리포니아 연안 약 900km를 따라 서식하는 아르헨티나개미들과 일본 서부해안에 ... ...
- 수학자의 슬기로운 휴가생활수학동아 l2019년 08호
- 질문이 들어와 제가 직접 시간여행을 통해 수학자들의 휴가 모습을 포착했습니다. 세계적 휴양지에서 서핑을 즐기는 수학자부터 그림을 그리는 수학자까지! 수학자의 휴가를 엿보자고요! 그 전에 구독과 좋아요 버튼, 꾹 눌러주세요~!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수학자의 슬기로운 ... ...
- 질소, 질식 기체 오명 벗고 인류 책임진 슈퍼 히어로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유체과학연구소 연구팀은 2016년 암모니아만을 연료로 이용한 가스 터빈 발전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일본 기후대 화학및생체분자과학과 연구팀과 호주연방과학원 연구팀은 각각 2016년과 2018년 암모니아에서 순수한 수소를 추출해 연료로 사용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질소는 인간의 영원한 ... ...
- 설문조사│모기박멸, 해야 할까요?과학동아 l2019년 08호
- 기존의 모기를 없애기 위함이란 점에서 더욱 민감한 주제로 취급된다. 옥시텍은 “전 세계 모기를 모두 박멸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지만, 특정 지역의 모기를 완전히 없애는 건 가능하다”고 주장한다.GM 모기를 사용해 모기를 박멸하자는 측의 입장은 단순하고 분명하다. 모기가 한 해 70만 명 이상의 ... ...
- 겨울왕국 ‘엘사 아빠’ 김상진 감독 “애니메이터에게 필요한 건 상상력과 지구력”과학동아 l2019년 08호
- 고민하고 연습해야 합니다.”7월 8일 서울 강남구 로커스 사무실에서 만난 김상진 감독은 세계 최대 엔터테인먼트 회사 중 하나인 디즈니의 수석 애니메이터가 되기까지 수많은 준비와 도전 과정이 있었다고 강조했다. 적록색약 있던 경제학도에서 애니메이터로그는 어릴 적 그림에 대한 열정이 ... ...
- [큐레이터] 빛으로 공간을 만드는 예술가수학동아 l2019년 08호
- 강원도 원주에 있는 박물관 ‘뮤지엄 산’에 터렐이 열어놓은 공간이 있습니다. 세계적인 건축가 안도 타다오가 만들어 놓은 아름다운 길을 따라 가다 마지막에 다다르면, 비로소 터렐의 작품을 마주할 수 있습니다. 빛을 사랑한 예술가에게 필요했던 수학 터렐은 ‘빛’ 그 자체에 관심이 가장 ... ...
- [에디터노트] 모기와의 전쟁과학동아 l2019년 08호
- 2007년 이후 꾸준히 감소하다가 지난해 다시 11.8% 증가해 576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다. 세계보건기구(WHO)의 ‘2018 말라리아 보고서’에 따르면 2017년에만 말라리아로 43만5000명이 죽었다. 말라리아는 여전히 인류 역사상 가장 많은 사망자를 낸 감염병이다. 최근 과학계는 말라리아 퇴치를 위해 ... ...
- '과학덕후'에게 추천하는 세계 워터파크 4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다스 아구아스 파크가 보유한 49.9m 높이 워터슬라이드 ‘킬리만자로’ 다음으로 전 세계에서 높다. 하지만 높을수록 안전에 더욱 신경 써야 한다. 2016년 미국에서는 10세 소년이 51.2m 높이의 워터슬라이드 ‘페어뤽트’를 타다가 트랙을 둘러싼 안전망과 충돌해 숨지는 사고가 있었다. 이후 ... ...
- [인포그래픽] 세계의 유인잠수정과학동아 l2019년 08호
- 크게 높일 수 있어 각국이 앞다퉈 개발해 왔다. 수심 6000m까지 내려갈 수 있다면 전 세계 바다의 98%를 탐사할 수 있다. 8월 현재 6000m급 이상 유인 잠수정을 보유한 나라는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프랑스 등 5개국뿐이다. 1000m 미만급 유인 잠수정은 독일의 ‘야고(Jago)’, 그리스의 ‘테티스(Thetis ... ...
- 우리는 UST 퍼스트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말했다. KASI ┃'블랙홀 3인방'의 탄생 (UST 한국천문연구원 캠퍼스)올해 4월 10일 전 세계는 인류 역사상 최초로 공개된 초대형 블랙홀 이미지에 이목을 집중했다. ‘이벤트 호라이즌 망원경(EHT·Event Horizon Telescope) 프로젝트’라는 이름으로 진행된 블랙홀 이미지 연구에는 한국인 과학자도 8명이 ... ...
이전2372382392402412422432442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