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으)로 총 20,677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수학으로 보는 우주의 비밀!수학동아 l2021년 12호
- 우주의 구조를 고민한 앙리 푸앵카레 ‘우주는 공 모양일까? 도넛 모양일까?’ 프랑스의 수학자 앙리 푸앵카레는 어느 날 우주의 모양에 대해 고민하기 시작했어요. ‘빅뱅 이론’에 따르면 우주는 한 점이 폭발하면서 점점 커져 왔는데, 그 공간이 공 모양인지 의문을 가진 거지요. 그리고 ... ...
- [매스미디어] 스파이더맨 : 노 웨이 홈수학동아 l2021년 12호
- 효과를 내기 위해서였지요. 실제로 미끄러지는 힘을 분석한 결과, 장갑 전체가 닿을 때와 일부분이 닿을 때를 비교해도 크게 다르지 않았어요. 장갑의 도움을 받으니 키 185cm, 몸무게가 70kg인 사람이 건물 벽면을 수직 등반할 수 있었어요. 수학으로 따지기 ② 거미줄에 매달려 날 수 있을까 ... ...
- [특집] 식중독 악당 초고속 검거 완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실온에 음식을 오래 내버려 두지 말고 잘 보관해야 하고요. 마지막으로 채소와 과일도 흐르는 물로 씻고, 고기나 생선도 충분히 익혀서 먹어야 식중독을 예방할 수 있답니다! 식중독균 잡는 인공항체 출동!4월 23일, 한양대학교 ERICA캠퍼스 재료화학공학과 김종호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 ...
- [가상 인터뷰] 옆 동네 흰동가리가 더 어른스러운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연구가 발표돼 주목을 받았어. 줄무늬 생기는 속도가 말미잘에 따라 다르다고?일본 오키나와 과학기술대학원 해양생태진화발생생물학부 빈센트 라우뎃 교수팀은 ‘융단열 말미잘’에서 자란 흰동가리가 ‘헤테락티스 마그니피카’라는 말미잘에 서식하는 흰동가리보다 몸의 흰 줄무늬를 더 ... ...
- [통합과학 교과서] 사랑은 자전거를 타고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2호
- 현상이 일어난다.●헤모시데린: 철을 포함한 갈색 단백질. 멍이 다 나은 후에도 피부에 일부 남아서 어두운 자국을 남기기도 한다. 멍이 빨리 나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통합과학 넓히기멍의 색깔 속에 숨는 코로나19 바이러스?! 4월 22일, 영국 프랜시스크릭 연구소의 피터 체레파노프 박사팀은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특명! 배사 공작 저택에 잠입하라!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2호
- (지난줄거리 : 해롱 선장이 페가수스 선장을 미워하는 진짜 이유를 알게 된 해롱 호 선원들. 떠도는 소문과는 달리 어처구니없는 이유였다는 것이 밝혀진다. 한편, 딱지는 귀찮 ... 재미있는 이야기를 쓰려고 노력하고 있어요. 여러 매체에서 과학을 재미있게 전해주는 일도 하고 있답니다 ... ...
- [특집] 핼러윈 수를 만들어야 입장 가능! 악마의 핼러윈 파티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2호
- 해. 처음에 어떤 두 자리 수로 시작하든 항상 9가 되니 이 수를 좀비 수라고 이름을 붙일 수 있지 않을까?이건 사실 인도의 수학자 카프리카가 발견한 규칙이야. 카프리카가 발견한 수의 성질에 내가 ‘좀비’라는 이름을 붙여 봤지 ... ...
- [과학뉴스] 인간에 돼지 신장 이식, 이종간 이식 실험 첫 성공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있음을 나타내는 주요 지표인 크레아티닌 수치도 정상으로 나타났다. 어떤 거부 반응도 일어나지 않았다. 수술을 집도한 몽고메리 센터장은 10년 안에 심장, 폐, 간과 같은 돼지의 장기들이 장기 이식이 필요한 환자들에게 사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하고 있다. 그는 BBC와의 인터뷰에서 “의학계와 ... ...
- [과학뉴스] 철의 산화과정, 나노입자로 빠르게 밝혔다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천연 자성을 가진 자철광(Fe₃O₄)은 표적 약물, 배터리 등에 널리 활용되는 물질로 전 세계에서 흔하게 발견되지만, 산화 과정을 분석하는 데는 어려움 ... 기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11월 4일자에 발표됐다. doi: 10.1038/s41467-021-26566- ... ...
- [과학뉴스] 과학동아 결산, 2021년 과학기술 이슈과학동아 l2021년 12호
- 7월에는 세계 첫 인공수정란이 합성돼 이를 생명으로 봐야 하는지에 대한 논란이 일었다. 마지막은 ‘항공우주’이다. 지난 10월 한국이 독자적 기술로 개발한 첫 우주발사체 누리호(KSLV-Ⅱ)가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됐다. 위성의 궤도 진입이라는 마지막 문턱을 넘지는 못했으나, 발사 ... ...
이전2372382392402412422432442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