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지막
종결
결말
최후
대단원
끝판
첨단
d라이브러리
"
끝
"(으)로 총 5,647건 검색되었습니다.
바다 이구아나, 새 신부를 유혹하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달랐던 생물들은 다윈에게 끊임없이 질문을 던졌고, 다윈은 20년이 넘는 끈질긴 노력
끝
에 자연 선택에 의한 진화론이라는 답을 찾아냈다.해류 3종 세트가 갈라파고스를 낳았다갈라파고스 주변 해역은 지구에서 가장 풍요로운 바다로 꼽힌다. 에코오션의 대장인 정대위 씨(상명대 그린생명과학과 ... ...
나노 블록으로 미래 에너지 업그레이드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합니다. 그래서 ‘멀티 스케일’이죠.”이유 없는 실패란 없다“실험은 실패했다고
끝
이 아닙니다. 실패한 이유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그 동안 알지 못했던 새로운 원리가 숨어 있어요.”최 교수 연구단의 핵심기술은 단연 나노 입자들을 정교하게 배열하고 쌓을 수 있는 기술이다. 최 교수는 기술의 ... ...
순간 포착! 동물생애 최고의 순간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나와 날개를 펴고 있어요. 푸른큰수리팔랑나비는 전체적으로 푸른빛을 띠며 날개의
끝
부분에 있는 노란색 무늬가 특징이랍니다. 우리나라에는 나무숲 개울가 주변에 주로 살아요. 하지만 아주 빠르게 날아다닌다고 하니 눈을 크게 떠야 잘 볼 수 있겠죠? 천사의 사랑순백색 깃털이 마치 천사의 ... ...
침몰 100주년, 수학으로 다시 보는 타이타닉
수학동아
l
2012년 04호
물이 차오르면서 무게중심과 부심이 한꺼번에 흐트러졌다. 타이타닉 호는 점점 한쪽
끝
이 하늘로 솟아 올랐고, 그 부분에 중력이 과하게 작용해 결국 두 조각이 난 채로 침몰하고 말았다.많은 이들의 관심과 기대 속에 출항한 ‘꿈의 배’ 타이타닉 호는 이렇게 인간의 지나친 욕심으로 꿈의 배 대신 ... ...
1880년 헨리 폴즈의 지문에 대한 첫 보고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연구자들은 특히 섬세한 질감을 느낄 때 지문이 큰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다. 즉 손
끝
이 물체의 표면을 지나갈 때 진피에 있는 신경의 말단인 파시니 소체가 진동의 형태로 감지하는데 이 과정에서 지문이 신호증폭기의 역할을 하는 셈이다.지문 형성 과정 아직 잘 몰라지난 2007년 스위스의 한 여성은 ... ...
낙엽의 재발견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한다. 인내가 필요한 힘든 연구였지만 학생들 스스로 좋아서 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끝
까지 해낼 수 있었다. 강희수 학생은 “만들어진 종이도 신기했지만 과천과학관에서 전자 현미경으로 종이의 섬유 구조를 봤을 때 한지와 비슷해서 뿌듯했다”며 종이를 들어보였다.자연사랑은 현재 ... ...
공간을 지배하는 자, 자기장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나침반 바늘이 북쪽을 가리키지 않는 것을 알아차렸다. 볼타전지의 양극과 음극 기둥 양
끝
을 잇는 철사에 강한 전류를 흘려보냈다. 그랬더니 북쪽에서 남쪽을 향하는 철사 옆에 나란히 놓여 있던 나침반의 바늘이 철사의 방향과 수직하게 동쪽에서 서쪽을 향하도록 90° 회전한 상태에서 멈췄다. ... ...
[4월] 과동 데스크의 썰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현상의 최신 활용 연구로 이어지는 기사 흐름이 자연스러워 읽는 사람의 관심을
끝
까지 붙잡고 있다. 사람들의 일상이나 진부한 소재로 흥미를 유발하다 보면 자칫 관심을 유도하는 데만 그칠 수 있다. 이럴 때 과학 지식과 원리에 대한 간결한 설명은 기사의 무게 중심을 잡아 준다. ‘진흙 속 진주 ... ...
병뚜껑 따기 달인 '사이다 사브로따'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반대로 톱니 수가 적으면, 뚜껑이 헐거워서공기가 들어가 버린다구요.”수많은 연구
끝
에 톱니의 수가 21개인 병뚜껑이 가장 적당하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하지만 기쁨도 잠시. 악당 업새블라가 나타나 발명한 21개 톱니 병뚜껑을 숨겨 버렸다.오천 개 병뚜껑 따기 기록사건을 모두 해결하고 돌아온 ... ...
테라헤르츠 빛 제어하는 편광기 개발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시험해 본 결과 약 30%의 편광능력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몇 번의 시행착오
끝
에 탄소나노튜브로 3겹의 벽을 쌓으면 테라헤르츠 영역의 빛을 99% 이상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연구 결과는 미국화학협회 저널 ‘나노레터스’에 실렸다 ... ...
이전
238
239
240
241
242
243
244
245
2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