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연
만물
내추럴
자연계
네추럴
자연상태
상태
d라이브러리
"
자연
"(으)로 총 6,828건 검색되었습니다.
[photo] 태고의 어둠 속에서 찾은 절경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산악 마을에 살며 유럽은 물론, 중국, 파푸아뉴기니, 보르네오 등 세계 각지의 동굴과
자연
환경을 사진에 담고 있다. 여기 실린 사진은 그가 2010년부터 지난달 말까지 네 번에 걸쳐 프랑스에 있는 구르프 베르제와 인근 동굴을 탐험하며 담은 지하세계의 풍경이다.지하 세계로 가는 험난한 ... ...
삼성이 특허전쟁에서 애플에 진 까닭은?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못한 곳에서 제기됐다. 바로 ‘예술’이다. 오늘날 기술은 ‘과학지식을 이용해
자연
의 사물을 인간 생활에 유용하도록 가공하는 수단’으로 정의된다. 예술은 좀 더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지만 ‘기예와 학술을 아울러 이르는 말’이다. 기술은 ‘도구’의 의미가 강조되고, 예술은 ‘심미적’으로 ... ...
도전! 대한민국 의사되기!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중·고등학생 독자 여러분의 발등에 떨어진 불이다.일단 의대 합격은 수능이든 내신이든
자연
계 전국 3000등 안에 들어야 가능하다. 내신성적의 경우 주요교과 평균이 1.3등급, 수능의 경우 네 개 영역 백분위 합 380 이상 정도가 합격권에 든다. 수시모집이나 입학사정관전형에서 중요하게 보는 ... ...
오늘의 날씨를 말씀드리겠습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뿌려 최대풍속을 30%나 줄이는 결과를 얻었습니다. 하지만 씨를 뿌리지 않아도 바람이
자연
적으로 감소하지 않았을까 하는 의문이 있죠. 최근에는 폭탄을 이용해서 태풍을 파괴하거나 햇빛을 차단해 바닷물의 온도를 낮춰 태풍의 세력을 약화시키는 방법도 나왔습니다.그런데 정말 태풍은 없어져도 ... ...
Part 2. 창 대 방패, 미래무기 물리학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장치다. 테슬라 코일을 작동시키면 토로이드에서 고압방전이 일어나며 원리와 형태가
자연
에서 생기는 번개와 같다. 그러나 아무리 테슬라 코일로 만든 인공 번개라도 표적을 맞추거나 아군과 적을 선별해서 공격할 수는 없다. 조종이 안 되는 것이다. 이 문제를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까.최근 ... ...
공룡이 살아있다! 캐나다에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있다. 백악기 말 공룡의 다양성을 보여주는 최고의 창문으로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
자연
유산이다.이곳은 특히 35종에 달하는 공룡의 한 개체 뼈 전체가 완벽히 보존돼 있는 상태로 발견됐을 정도로 학술적 가치가 높은 화석들이 발견된다. 규모도 규모지만 질적으로도 우수한 화석들을 품고 있기 ... ...
과학으로 먹는 맛있는 과일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역시 에틸렌으로 인해 생긴다. 따라서 과일에 충격을 주면 스트레스로 인해 에틸렌이
자연
상태보다 많이 분비된다. 과일 안의 전분을 당으로 더 빨리 바꿔 본래 가진 단맛을 내도록 돕는 것이다.그러나 모든 전분이 완전히 숙성되었을 경우 충격을 주면 과일만 빨리 상한다. 숙성이 끝나면 에틸렌은 ... ...
세상을 확실히 끝내는 9가지 방법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멀지만, 태양계엔 이런 소행성이 수십만 개가 확인돼 있다. 마음대로 가져다 쓰라(
자연
적으로는 이런 충돌이 일어날 확률은 100만 년에 한 번 미만이니 당신이 힘 좀 써야 한다).하지만 막상 해보면 쉽지 않을 것이다. 의외의 복병이 있다. 바로 미생물이다. 박테리아와 바이러스는 어지간해서는 ... ...
1000m 심해에서 사냥하는 코끼리바다표범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10억 분의 1m) 파장의 빛이 주변에 있을 때 사냥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파장의
자연
광이 있을 때는 사냥 행동을 보이지 않았다. 485nm의 빛은 남방코끼리바다표범이 즐겨 먹는 심해어인 바늘치의 발광기관이 내는 희미한 빛의 파장과 같다. 남방코끼리바다표범의 눈이 낮에는 앞을 잘 보지 못하는 ... ...
암흑물질 3파전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이미 ‘초대칭이론은 끝났다’고 공공연히 이야기한다. 초대칭이론이 폐기되면
자연
스럽게 윔프도 설 자리를 잃는다.윔프 외에 다른 후보 입자가 여럿 있다. 윔프보다 가벼운 ‘액시온’은 한국도 적극적으로 연구에 참여하는 입자다(액시온에 대해서는 과학동아 2011년 6월호 기획 참조). 하지만 ... ...
이전
238
239
240
241
242
243
244
245
2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