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기
오래
d라이브러리
"
긴
"(으)로 총 2,753건 검색되었습니다.
쌍안경활용법 봄철의 은하여행
과학동아
l
199104
가장 찾아보기 쉽다. 8.3등급의 광도와 18.2′~7.9′의 큰 크기로, 7배 망원경으로도 가늘고
긴
모습을 볼 수 있다.센타우르스 자리에도 많은 은하들이 모여 있는데 이 은하군에는 바다뱀자리와 M83과 NGC5128의 두 유명한 은하가 포함돼 있다. 이 은하군은 -30˚이하에 위치해 우리나라에서는 고도가 ... ...
벗겨지는 태양계의 신비④ 태양이 되려다 좌절한 목성(Jupiter)
과학동아
l
199104
태양계 행성 중 무게나 규모면에서 '큰아들'격인 목성은 태양계 생성 초기의 모습을 원형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질량 : 1.9×${10}^{26}$㎏지름 : 14만2천8백㎞평균밀도 : 1.33g ... 목성에서 가장 가까운 위성인 메티스(Metis)와 아드라스테아(Adrastea)에 운석이 떨어져서 생
긴
먼지로 생각되고 있다 ... ...
하이에나
과학동아
l
199104
앓는 소리를 내고 행동도 거칠어진다. 가족사냥에도 잘 참여하지 않고 고독을 즐
긴
다. 그런가하면 단독 행동이 잦아지고 다른 그룹의 수컷에게 추파를 던지기도 한다.얼룩 하이에나의 이빨은 대단히 강력하다. 사자나 호랑이도 씹지 못하는 동물의 뼈를 깨뜨려 그속의 골수를 먹기도 한다 ... ...
전자전의 첨병 군사위성
과학동아
l
199103
상공을 통과하며 사진촬영을 했다. 통과시간은 날이 밝으면서도 지상물체가 충분히
긴
그림자를 나타내는 오후로 정함으로써 지상물체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했다. 이 위성은 촬영한 사진의 필름을 용기에 넣어서 지상으로 보내는 소련의 제4세대 고해상도 사진촬영위성이었다.곧 이어 8월 ... ...
3 제6세대 컴퓨터를 향한 첫발
과학동아
l
199103
의한 순차 정보처리에 기반을 두는데 대해 뉴로 컴퓨터는 여러 정보처리 요소간의
긴
밀한 상호작용에 의한 병렬 정보처리에 기반을 둔다. 물론 제5세대 컴퓨터 연구를 비롯하여 인공지능 연구에 있어서도 병렬화가 시도되고 있지만, 뉴로컴퓨터는 보다 낮은 처리요소 수준(level)에서의 병렬화에 그 ... ...
천재 김정호의 선물 대동여지도
과학동아
l
199103
를 4㎞로 환산해 사용했다. 그들이 한국을 식민지 통치하면서 10리를 4㎞로 쓰게 하면서 생
긴
값이다. 그러므로 조선시대의 문헌에 등장하는 거리를 미터단위로 계산할 때는 10리=4.5㎞로 환산해야 한다.대동여지도의 지도표(地圖標)는 특히 두드러진다. 이것은 지도의 범례(凡例)인대 그때까지 글자로 ... ...
2 초고속 병렬처리에 적합
과학동아
l
199103
발전을 이루었다.한편 19세기 말경에 태동된 전자공학(electronics)은 가시광선 보다 훨씬
긴
파장을 갖고 가(可)간섭성이 대단히 좋은 전파를 이용 한다. 이 분야에서는 대용량정보를 전송 분리 증폭 변조 계측 처리 기억 연산 제어하는 기술들이 그동안 발전되어왔다.광학과 전자공학은 각각 ... ...
식사할 때는 순서를 지켜라 「어흥」
과학동아
l
199103
큰 물고기 옆구리에 찰싹 붙여 혓바닥으로 살을 긁어내고 피를 빨아 먹는다.목 양쪽에는
긴
아가미 구멍이 한 줄로 나열돼 있다. 아가미는 속이 주머니 모양으로 돼 있으며 구멍이 좌우로 7쌍이나 있어 칠성장어라 불린다. 칠성장어는 강에서 태어나는데, 바다로 내려가 사는 것과 평생 강에서 사는 ... ...
「비행기 요격용」에서 「미사일 요격용」으로 변신
과학동아
l
199103
장치할 수 있다. 에린트의 성능시험은 오는 93년으로 잡혀져있다.이스라엘은 추적거리가
긴
요격미사일을 개발하고 있다. 이 장거리유도 미사일의 이름은 애로우(Arrow). 이미 지난해 성능시험을 마쳤다. 음속의 10배나 되는 속도를 지닌 이 미사일은 30km 거리에 있는 표적을 추적할 수 있다 ... ...
현대판 「지킬박사와 하이드」이야기
과학동아
l
199103
것이라고 생각했다.데이비스박사는 이렇게 아르곤으로 변하는 원자핵반응을 2년이란
긴
세월에 걸쳐서 연구했다. 그러나 예상밖의 결과가 얻어졌다. 태양에서 지구를 향해 오는 중성미자의 3분의 2는 오는 도중에 없어진다는 결과였다. 데이비스박사는 자기자신의 실험과정에 무엇인가 잘못된 점이 ... ...
이전
239
240
241
242
243
244
245
246
2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