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과
과상 돌기
복사뼈
국
속
학부
전공
d라이브러리
"
과
"(으)로 총 2,734건 검색되었습니다.
침묵의 바다를 깨우는 로봇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소련의 로봇 MT-88
과
MT-89는 음향으로 조종되는 자동화 로봇으로 이들은 이미 대서양
과
노르웨이 연안에 침몰한 두 대의 소련 잠수함을 찾은 바 있다. 이들은 음향 외에 지자기(地磁氣)가 금속체가 있는 곳에서 휘어지는 것을 탐지하는 자력계(magnetometer)도 이용했다. 소련은 이 기계들을 서방세계에 팔 ... ...
앵무새보다 흉내를 더 잘내는 구관조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게다가 사육기술이 떨어져 번식력도 그리 좋지 않은 듯 하다.구관조가 속한 찌르레기
과
(科) 새들중 우리나라에서 발견할 수 있는 것은 찌르레기 북방찌르레기 쇠찌르레기 등이다. 이들은 시가지의 공원, 정원의 고목, 촌락부근의 삼림에서 떼를 지어 사는데 동작이 매우 날쌔다 ... ...
PARTⅣ 인류로의 진화 침팬지에서 호모 사피엔스까지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생명의 캘린더'라고 말한다. 즉 1월1일에 대폭발이 일어났다면 2월초에는 최초의 항성
과
은하가 탄생했고 4월에는 태양계가 속한 은하계가 모습을 드러냈다. 9월 9일에 이르러서야 태양계가 형성됐고 그로부터 며칠 후에 지구가 탄생했다고 할 수 있다. 10월 초순에 최초의 생명(원핵생물)이 ... ...
PARTⅤ 한국 유전공학의 현주소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못했다. 자녀들의 교육문제도 여전히 골칫거리다. 또 대덕이전 문제로 연구원들
과
갈등을 겪은 한문희박사가 소장직을 내놓아 높은 자리도 공석중이다."하루 빨리 훌륭한 분이 소장직을 이어갔으면 합니다. 저는 연구자로 다시 돌아갈 생각이에요. 대학에서는 학장하다 다시 평교수로 재직하는 ... ...
정보통신의 새 시대를 선도한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기초적이고 중요한 것이 스틸카메라의 영상이라 할 수 있다. 때문에 어떻게 하면 이 색
과
분위기의 아름다움을, 또 주위의 현상들을 담아낼 수 있을까하고 여기저기서 카메라의 셔터를 눌러대며 암실작업에 분주해지는 것이다.내가 처음 촬영이란 것을 하게 된 곳은 올림픽공원이었는데 ... ...
잉카문명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못하고 있었다. 그에 비해 세계 3대문명이라고 일컬어지는 마야문명이 멕시코와
과
테말라 지역에서 꽃을 피우고 있었다. 또 안데스산맥문화인 잉카문명이 현재의 페루와 볼리비아에서 그 찬란한 빛을 발하고 있었다. 상상을 초월하는 불가사의한 잉카문명의 유적들을 되돌아보면서 필자는 ... ...
푸른 장미의 등장은 시간문제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일본의 산토리사는 성공을 확신하고 연구팀에 4백만 달러를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미국
과
유럽의 화훼전문가들은 붉은 장미의 자리는 결코 넘볼 수없을 것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푸른 장미를 둘러싼 제2라운드는 어떻게 전개될지 자못 궁금하다 ... ...
첨단시대 첨단학
과
, 그 전망은?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결국 첨단학
과
의 선택은 단순히 취업전망이 좋다는 이유만으론 부족하며 자신의 적성
과
의지가 결합돼야 한다. 또 입학 이후에도 기초 이공(理工)학문의 연마를 철저히 해 급속히 변화하는 기술전쟁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스스로 길러야 할 것이다 ... ...
식인종을 떨게 하는 「꼬마」 프라이온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메커니즘을 보이고 있을까. 인류에게 치명적인 병을 일으키고 있는 프라이온에 대해 현대
과
학은 아직 이렇다할 해답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만일 이러한 질병에 쉽게 걸릴 수 있는 실험동물이 개발된다면 사정은 크게 달라질 것이다. 또 단백질분석을 통해 유전자가 발견되고 그 유전자가 ... ...
폭우가 쏟아지면 잎으로 우산을 만들고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것이다. 사실상 그 영장류는 인간의 영역으로 거의 뛰어들어 온 셈이다.물론 이렇게 하는
과
정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그것은 경험의 효력에 관한 강한 의문이다. 만약 어떤 유인원의 지능이 반복되는 경험을 통해 확실히 높아지고 있다면, 그의 뇌는 고도로 융통성이 있는 기관임에 틀림 없다. ... ...
이전
239
240
241
242
243
244
245
246
2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