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국무총리
손금
수여
수필
만필
물위
수면
d라이브러리
"
수상
"(으)로 총 2,624건 검색되었습니다.
현대판 「지킬박사와 하이드」이야기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교수였던 레더만 슈발츠 스타인버거 박사 등 3인은 1989년도에 노벨물리학상을 공동
수상
한 바 있다. 지구로 오는 동안「하이드」로 변해전자와 반응을 일으키는 중성미자를 | 지킬>, 그렇지 않는 중성미자를 |하이드>라고 하자. 대학에서 물리를 전공한 학생이면 알겠지만 |>의 기호는 어떤 상태를 ... ...
보이지 않는 전선(戦線)에 서서 지금 유학현장에서는…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DNA염기서열분석방법(DNA sequencing method)을 개발했다(이 업적으로 그들은 노벨의학상을
수상
했다). 이러한 유전자조작기술들의 개발은 그전까지 손도 대지 못하고 있던 문제들에 대한 연구를 가능케했다.이러한 기술적인 혁신의 배경을 염두에두고, 분자생물학의 몇개 중요분야에 관해 소개해본다. ... ...
장애영재아의 세계 바보속의 천재들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못하고 자기 나름대로의 방법을 강구하는 버릇이 훗날 독창적인 이론을 완성해 노벨상을
수상
케 한 결정적인 원인이 됐던 것이다.그의 소원에 따라 그의 몸은 죽은 후 의학자에 의해서 해부됐고, 그의 위대한 뇌도 역시 연구자료로 쓰여지게 됐다.마비 상태에서도 연구에 몰두블랙홀(black hole)이론에 ... ...
앵무새보다 흉내를 더 잘내는 구관조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작은 무리를 지어 다닌다. 그들은 늘 떠들썩하게 지저귀고 숲속을 부지런히 헤매는
수상
성(樹上性) 조류로 유명하다. 대개 울창한 산림지대에서 서식하나 때로는 1천m 이상의 고지에서도 발견된다.주로 식물의 열매나 과일을 쪼아먹지만 벌레를 잡아 먹기도 한다. 때로는 작은 동물의 사체를 ... ...
PARTⅣ 인류로의 진화 침팬지에서 호모 사피엔스까지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초원에서 살게 되었다고 본다. 이런 환경의 변화가 없었다면 아직도 다른 영장류들처럼
수상
생활을 하고 있을 것이다.사바나, 즉 초원 생활을 하다보면 맹수들의 공격을 예방하고 피하기 위해서 똑바로 서서 주위를 둘러보아야 했고 또 지혜를 필요로 했다(지능 발달을 의미함). 그리고 먹이를 잡아 ... ...
가속기 시대가 열린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개척해줄 방사광가속기는 21세기 첨단산업 및 학문연구에 필수품화될 것이다. 미국 해군
수상
연구센터에서 일하다 포항공대에 와 방사광가속기건설에 참여하고 있는 남궁원박사는 "이론적 연구에 활용되는 입자가속기를 달착륙을 시도한 아폴로프로젝트라 한다면 방사광가속기는 우주개발의 ... ...
전국 PC경진대회 개최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제7회 전국퍼스널컴퓨터경진대회가 지난달 14일 지역예선을 통과한 3백 12명이 참가한 가운데 잠실 실내체육관에서 열렸다.과기처 문교부 체신부가 공동주최하고 한국전기통신공사와 과학기술 ... , 국민학교부 윤상훈군(경남진주가람국교)의 '다목적용 달력'이 각각 금상을
수상
했다 ... ...
PARTⅡ 최고의 명예와 상금 걸린 노벨상
수상
자 어떻게 결정되나?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발견하고도 노벨상의 영예를 얻지 못했다. 그의 업적은 노벨상을 타고도 남음이 있지만,
수상
이 거론됐을 당시(1905, 1906년)에는 이미 모든 교과서속에 확고한 진리로 자리잡아 버렸기 때문에 신선감이 떨어진다는 것이 탈락이유였다.생화학자 애버리(1877~1955)는 1944년 폐렴구균의 형질전환 연구를 ... ...
PARTⅠ 소립자·생화학·면역학 단골
수상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불변한 것이 아니라 언제나 변화하고 움직이는 다이내믹한 존재'라는 결론을 얻어 노벨
수상
대상이 되었다.1981년 바첼연구소 10년의 생활을 마치고 다시 미국으로 자리를 옮긴 그는 MIT의 루리아(1969년 노벨의학생리학상
수상
)가 이끄는 암연구소에 정착함으로써 둘베코 야네 루리아 등과 함께 일하는 ... ...
PARTⅢ 노벨상에 근접한 한국인 과학자들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단백질구조해명을 통해 암유전자를 정복하려는 김성호박사(버클리대)와 유행성출혈열의 전모를 밝힌 이호왕교수(고대)가 현재로서는 노벨상에 가장 가까이 가 있다.과학자에게 ... 또 단위기관으로 역대 노벨상
수상
자를 가장 많이 배출한 하버드대학이 올해에도 3명의
수상
자를 냈다 ... ...
이전
239
240
241
242
243
244
245
246
2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