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얼굴"(으)로 총 2,807건 검색되었습니다.
- 1. 먹거리의 대차대조표과학동아 l1996년 09호
- 이는 중국음식증후군(중국음식을 먹고나면 나타나는 증상 때문에 붙여진 이름으로 얼굴경직, 가슴 압박감, 불쾌감을 일으킴), 어린이 뇌손상, 천식, 우울증 등을 일으킬 수 있다.콜라에 카페인이 들어있다는 것은 너무 유명한 예다. 카페인은 일시적으로 집중력을 높이고 소화 기능을 촉진하지만 ... ...
- 3. 사이버닥터가 진단한 인터넷 신드롬과학동아 l1996년 09호
- 들을 위한 웹사이트에 모여들어 대책을 논하기도 한다. 하지만 "현실세계에서 서로의 얼굴을 마주하고 어울려 이야기하는 즐거움을 되찾는것" 이 가장 좋은 치료법임은 두말할 나위 없다 ... ...
- 1. 공룡시대의 주역들과학동아 l1996년 08호
- 위해 물속에 몸을 담그거나 진흙에서 뒹굴었다고 한다.얼굴에 뿔이 난 공룡들코뿔소처럼 얼굴에 뿔이 난 공룡을 각룡(뿔룡)이라고 하는데, 이들은 백악기 때 황야를 누비는 들소처럼 지구를 이리저리 떼지어 다녔다. 이들은 매우 호전적으로 생겼지만 섬유질이 많은 풀을 뜯어먹고 살던 ... ...
- 인터넷 딜레마과학동아 l1996년 08호
- 인터넷을 통해 방안에서도 세계 어느 곳과 통할 수 있다. 그래서 우리는 한번도 사람의 얼굴을 대하지 않고 가상의 공동체에서만 살 수도 있다. 우리는 사이버스페이스에서 삶을 영위하는 이른바 네티즌인 것이다.또 이런 현상은 옛날, 위대한 예술가들이 평생동안 외딴 마을에 살면서, 전세계와 ... ...
- 아마추어 천문 가이드과학동아 l1996년 08호
- 이외에 남쪽 하늘에 밝은 1등성이 하나 더 있다. 여름철의 대삼각형에서 멀찌감치 떨어져 얼굴을 붉히고 있는 붉은 별은 전갈자리의 으뜸별로 ‘화성의 라이벌’이란 뜻을 지닌 안타레스(Antares)다. 이 4개의 별을 찾았다면 여름철 별자리여행을 떠날 수 있는 이정표를 충분히 확보한 셈이다.아, ... ...
- 눈, 몸이 천냥이면 눈은 구백냥과학동아 l1996년 07호
- 서양인이 선글라스를 많이 쓰는 이유 왜 서양인은 파란 눈동자를 가지고 있을까?얼굴색이 틀리는 것과 같은 이치다. 눈속, 특히 홍채의 색소상피층에는 멜라닌 색소가 있다.동양인에 비해 서양인은 멜라닌 색소가 적기 때문에 동양인의 눈은 갈색이고 서양인은 파란눈을 갖고 있다. 즉 검은자위는 ... ...
- 초전도이론의 대가, 존 R. 슈리퍼과학동아 l1996년 07호
- 안내로 약속장소에 나타난 슈리퍼박사는 키가 1백80cm쯤 돼 보였는데, 불그스레한 얼굴이 수더분한 인상을 주었다.슈리퍼박사는 1957년 25세의 나이로 스승인 바딘박사(1956년, 1972년 2회에 걸쳐 노벨상 수상)와 함께 초전도현상을 설며하는 BCS이론을 창안한 이후로 40년에 걸쳐 초전도현상을 연구해온 ... ...
- 원격진료·재택교육 급진전 화상회의 : 1.시공간이 축소된다과학동아 l1996년 07호
- 국내 독점계약을 받았다.교통대체 효과, 환경보호에도 일조화상회의 시스템은 상대방 얼굴을 보면서 데이터와 메모를 교환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대화중 인터넷 채팅도 가능하다. 또 원하지 않는 제3자가 대화중에 끼어들 수 없도록 보안장치를 설정했으며, 여러명이 동시에 전화할 수 있도록 한 ... ...
- 장모 별명은 관상대과학동아 l1996년 07호
- 표정을 지으면서 "아, 그렇군요" 라고 말했다. 그 점술가는 날씨를 살피는 관상(觀象)을 얼굴 보는 관상(觀相)으로 착각을 한 것이었다. 함께 점을 보던 사람들로부터 박장대소가 터져나왔음은 물론이다.그 시간부터 장모의 별명은 관상대가 됐다. 이제 관상대가 기상청으로 기관명이 바뀌었으니, ... ...
- 두 얼굴의 장마과학동아 l1996년 07호
- 1994년 여름 최악의 가뭄이 한반도를 강타했다. 가축이 떼죽음을 당하고 논바닥이 갈라졌으며 저수지가 말라붙었다. 이에 비해 1990년에는 전국적으로 장마가 예년보다 일찍 시작되고 오래 지속됐다. 이때는 농작물이 침수되고 도로가 사라졌으며 산사태가 곳곳에 발생했다. 해마다 본격적인 여름 ... ...
이전2392402412422432442452462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