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활용"(으)로 총 7,067건 검색되었습니다.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존재를 만들었는지 이해하게 된다(1장).현실을 반영하고 예측하는 인공지능이 우연을 활용하고 있다는 사실은, 그래서 역설적이면서도 응당하다. 우리가 사는 실제 세상은 존재 자체가 큰 행운인데다, 불확실성과 잡음으로 가득 차 있고 법칙에는 거의 대부분 예외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 ...
- Part 3. DNA로 몽타주를 그릴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7년 08호
- 계속해서 DNA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오는 이유는 DNA 정보를 활용할 경우 범인을 검거할 가능성이 매우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실제 우리나라에서는 2013년 제주지역에서 10대 미성년자 성폭행범을 검거하기 위해 DNA를 대량 검색했습니다. 사건 현장 주변에 사는 1300여 명의 DNA를 ... ...
- Part 4. 아이디어가 반짝! 착한 디자인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특별한 선물의 정체는 바로 책상 겸 가방이 되는 ‘헬프 데스크’예요. 아람브는 폐지를 활용해서 만든 두껍고 튼튼한 골판지로 헬프 데스크를 만들었어요. 종이에 표시된 선을 따라 접으면 가방이나 책상이 되지요.종이로 만들어진 덕분에 1개에 200원 정도인 저렴한 가격도 개발도상국 아이들에게 ... ...
- Part 1. [미술] 추상파와 인상파를 뛰어 넘는 AI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새로운 화풍을 개척하다, 딥드림최근에는 기계가 스스로 학습하는 ‘딥러닝’을 활용해 예술 활동을 하는 인공지능이 늘고 있어요. 구글의 ‘딥드림’도 그 중 하나랍니다.딥러닝은 사람의 뇌를 본뜬 알고리즘이에요. 수많은 정보를 바탕으로 문제와 정답 사이의 거대한 연결망을 만들어 정답을 ... ...
- [과학뉴스] 배 위에서 틸트로터 무인기 자동이착륙 성공!과학동아 l2017년 08호
- 국내 과학자들이 움직이는 선박 위에서 틸트로터 무인항공기를 자동 조종으로 이착륙시키는 데 최초로 성공했다. 지난 7월 11일,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비행체계연구팀은 바다 ... 오차 5cm 이내로 정밀하게 분석하는 원리다. 연구팀은 이 기술을 불법조업을 감시하는 데 활용할 예정이다 ... ...
- [과학뉴스] 로마 방파제가 2000년간 끄떡없는 비결과학동아 l2017년 08호
- 화학적으로 반응할 수 있는암석처럼 생긴 콘크리트를 만들었다”며 “이번 연구 결과를 활용해 새로운 방파제를 설계하거나 고준위 폐기물을 가두는 시멘트 장벽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학술지 ‘미국 광물학’ 7월 3일자에 발표됐다.doi:10.2138/am-2017-599 ... ...
- [Future] 고리1호기 가동 중단 ‘방사성 때’ 어떻게 벗길까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제염 작업을 반드시 해야한다. 방사성 폐기물을 쉽게 분류하거나, 일부 폐기물을 재활용하기 위해서다. 이외에도 원전 시설의 바닥이나 벽면 등 건물도 제염한다.전문가들은 원전에서 방사능 오염이 얼마나 잘 제거 됐는지를 ‘제염계수’로 나타낸다. 제염계수는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전의 방사선 ... ...
- [Career] 7년 사제가 만든 걸작, 초고속 거미집 센서과학동아 l2017년 08호
- 특이 단백질, 호르몬 변화 등의 전조 증상들이 밝혀지고 있지만, 이들을 측정해 진단에 활용하는 기술은 아직 개발이 더디다. 2000년대 이후 나노기술의 발달로 관련 연구가 많이 이뤄지고 있지만, 혈액이나 소변에 들어 있는 질병 관련 단백질 등의 물질을 빠르고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 ...
- [Career] “수학, 미래 암호의 수호자”과학동아 l2017년 08호
- 학생이 많이 오고 싶어 한다. 하지만 암호학 연구에서는 프로그래밍보다는 수학을 많이 활용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수학적인 성숙도가 꼭 필요하다.진로기업이나 한국 전자통신연구원, 국가보안기술연구소 같은 국책연구소에서는 암호와 보안 인력을 꾸준히 요구하고 있다. 양자컴퓨터에 대응해 ... ...
- Part 2. 미생물은 모든 것을 알고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중요한 증거로 여겨져 왔지만, 그간 DNA를 채취하고 읽는(시퀀싱) 기술이 성숙하지 못해 활용하지 못하고 있었다. 미생물의 DNA를 읽는 데 비용도 많이 들고 시간도 오래 걸렸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 DNA 시퀀싱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면서 물건에 남은 미생물을 파악할 수 있게 됐고, 증거로서 큰 ... ...
이전2392402412422432442452462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