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땔감
땔거리
불땔감
에너지
힘
활력
목재
뉴스
"
연료
"(으)로 총 2,523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에너지 이용해 고효율 수소에너지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9.23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박수영 교수 미래 청정에너지로 각광을 받고 있는 수소
연료
. 휘발유보다 2.75배나 더 많은 에너지를 낼 수 있는 수소는 물에서 뽑아 낼 수 있기 때문에 특히나 주목받고 있다. 문제는 물에서 수소만 뽑아 내기가 쉽지 않다는 것. 그런데 국내 연구진이 태양에너지를 ... ...
플랑크톤 늘자 지구온난화가 더 심해지네
동아사이언스
l
2013.09.22
흡수 능력도 함께 약해 질 수 있다는 것이 가장 심각한 문제. 바다는 인간이 화석
연료
를 사용하면서 방출한 이산화탄소의 30% 이상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바다에 녹아든 이산화탄소를 심해 표층수층으로 옮겨 흡수를 돕는 게 바로 거대 플랑크톤인데, 만약 이 거대 플랑크톤이 적어지고 미세 ... ...
日 신형 고체
연료
로켓 ‘엡실론’ 발사성공
동아일보
l
2013.09.16
통과시킨 점을 언급하며 ‘엡실론은 우주기본법이 발효된 이후 일본이 처음 발사한 고체
연료
로켓’이라고 보도했다. 일본 우주개발 전문가인 김경민 한양대 교수는 “엡실론은 언제든 무기로 전용될 수 있다”며 “일본 국산 기술로 개발한 데다 발사비용을 낮추고 대량생산도 쉬워 군사적 의미가 ... ...
[채널A] ‘인류 메신저’ 보이저 1호 태양계 떠났다
채널A
l
2013.09.16
떠난 무인탐사선이 그 해답을 찾아 첫발을 내딛었습니다. 소형차 크기에 플루토늄을
연료
로 쓰는 보이저 1호는 태양계 끝 행성인 해왕성을 지나 지구에서 190억 킬로미터 떨어진 태양권 경계면을 통과했습니다. 태양의 영향이 더 이상 미치지 않는 별과 별 사이의 ‘성간 우주’로 진입한 겁니다. ... ...
"3D 게임, 아버님께 하나 장만해 드려야겠어요"
동아사이언스
l
2013.09.08
양은 CSE 제거 전에 비해 4배 이상 증가했다. 연구진은 “현재까지의 식물계 바이오
연료
는 셀룰로오스 추출을 위해 리그닌을 인위적으로 제거하는 공정을 거쳐야 해 비용이 많이 들었지만 CSE의 발견이 이 공정을 생략하고 비용을 낮추는 데 크게 기여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 ...
[시승기]폭발적 성능…‘질주 본능’은 무죄
동아닷컴
l
2013.09.07
근접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정지에서 100km/h까지 4.5초 걸리고 최고속도는 296km/h이다.
연료
소비량과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이전 6세대 모델과 비교해 최고 14%까지 줄었다. 공인연비는 8.2km/ℓ. # 시트에 몸이 파묻히는 듯한 가속력 제대로 성능을 시험하려고 서울 도심을 벗어나 중부고속도로에 올라선 ... ...
석유 고갈? 바다 밑을 더 파보면 해결책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9.04
위해 유전이 개발되기 시작한 것은 1859년 미국인 에드윈 드레이크가 조명용 램프
연료
를 구하기 위해 땅을 굴착하면서부터다. 그 후 등유의 부산물인 휘발유가 발견됐고, 휘발유의 폭발성에 주목한 독일인 고들리프 다임러는 1885년 내연기관을 만들었다. 문제는 세계 경제의 동력원이라 할 수 ... ...
정부지원으로 태양광 산업 붐이루더니, 실상 알고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3.09.04
신재생에너지와 마찬가지로 태양광 에너지도 전력 전환 효율이 아주 높진 않아요. 화석
연료
수준으로 효율을 끌어올리는 기술이나 그 기술이 적용된 패널만 나와도 시장이 금방 살아날 텐데 아직까지는 ‘대체에너지’라기 보다는 ‘보완’ 수준에 불과하죠.” 글로벌 경제위기로 정책적인 ... ...
정밀한 기후모델링으로 지구온난화 주범 잡고보니 블랙카본
동아사이언스
l
2013.09.04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블랙카본은 석유나 석탄과 같이 화석
연료
의 불완전연소로 생기는 그을음으로 햇빛을 잘 흡수하는 성질 때문에 이산화탄소와 함께 지구온난화의 주요 인자로 알려져 왔다. 김 교수는 정교한 기후모델링을 통해 대기 중에 섞여있는 블랙카본이 ... ...
"원전 비리와 후쿠시마 사고, 한편으로는 다행"
과학동아
l
2013.09.03
강조했다. 그는 “안전성이 대폭 증대된 제4세대 원자로 개발, 핵변환을 통한 사용후핵
연료
처리기술 개발 등이 장차 원자력 분야에서 활발히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강의를 들은 정원준 학생은 “원자핵공학의 전반에 대해서 살펴볼 수 있었다”면서 “앞으로 원자핵공학을 전공해 핵융합 ... ...
이전
239
240
241
242
243
244
245
246
2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