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각
인식
감각
집게손가락
센스
관찰
주시
뉴스
"
인지
"(으)로 총 2,602건 검색되었습니다.
뇌는 정말 신체적 고통과 정신적 고통을 구별하지 못할까?
2014.12.01
of Mirror Neurons(거울뉴런의 신화)’라는 제목의 책이 출간됐다. 미국 어바인 캘리포니아대
인지
과학과 그레고리 힉콕(Gregory Hickok) 교수가 쓴 책으로 오늘날 심리학과 신경과학 분야에 만연돼 있는 거울뉴런 만능론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즉 오늘날 팔방미인인 거울뉴런의 기초연구가 너무 ... ...
나이 들면 공부하기 어려운 진짜 이유
2014.11.27
결과도 있다. 연구진이 실험을 지행한 9일 동안 실험 초기보다 후기에 노인의
인지
능력이 훨씬 향상됐다. 반복해서 훈련할수록 노인들의 시각 판별력이 젊은이들 만큼 좋아진 것이다. 와타나베 교수는 “나이가 들더라도 훈련과 학습을 통해 분별력을 향상시키고 유지할 수 있다는 뜻”이라고 ... ...
[과학 발언대] “시리어스 게임은 시리어스 비즈니스다”
2014.11.18
네덜란드 게임잼의 확장과 크리에이티브 허브 구축을 위해서 국립중앙박물관, 한국
인지
과학회, 한국재활복지공학회, 의약바이오컨버전스연구단이 지식 기부와 인프라 협력을 약속했다. 놀이를 통해서 건강상태를 바꾸고 학습방식을 바꾸고 사회를 바꾸자는 취지에 공감한 참석자 분들께 감사 ... ...
과학은 우울증의 안개를 걷어낼 수 있을까
2014.11.16
인지
행동학적인 상담치료라고 말한다. 항우울제만으로는 치료율이 40%도 안 되지만
인지
심리학적인 상담치료를 받은 경우 42~66%의 치료율을 보인다는 것이다. 자신을 지지해 주는 상담자의 도움으로 부정적인 생각이 점차 변화되고 우울증에서 자유로워지는 과정은 과학이 풀어야 할 숙제다. ... ...
쥐의 웃음이 가득한 곳은?
2014.11.16
웃음소리가 실험실에 퍼진다. 하지만 사람은 그 소리를 듣지 못한다. 우리는 아직 동물의
인지
와 감정, 표현을 이해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를 주제로 여러 연구가 진행 중이다. 과학 저널리스트인 버지니아 모렐은 이 연구를 직접 확인하고 경험하기 위해 6년 동안 전 세계 11개 나라의 ... ...
희귀난치성 질환으로 생긴 학습장애 치료법 찾았다
2014.11.11
학습장애가 나타난다. 지금까지 주로 증상에 대한 연구가 이뤄졌을 뿐 학습능력이나
인지
적인 측면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었다. 연구진은 이 질환에 걸린 환자에게 발견되는 돌연변이 유전자(PTPN11)를 생쥐에게 적용해 이 돌연변이가 학습과 기억장애의 원인이라는 사실을 밝혔다. 생쥐의 ... ...
삼켜도 안전한 ‘갑옷 배터리’ 개발
2014.11.04
지나 배설될 수 있도록 시간을 주는 셈이다. 또 이 배터리의 코팅재는 압력을
인지
할 수도 있다. 장난감의 배터리 칸에서 강한 압력을 받을 때만 전류를 흘리고, 소화기계의 약한 압력에서는 전류를 흘리지 않는다. 배터리가 지나간 돼지 식도 내부. 기존 배터리는 (왼쪽)는 식도 내부에 손상을 ... ...
“반도체를 뇌에 꽂자는 아이디어 덕에 노벨상까지 받았네요”
2014.10.21
공동 콘퍼런스에 기조연설자로 참석했다. 오키프 교수는 1971년 뇌가 장소를
인지
해 다른 장소를 찾아갈 수 있게 만드는 ‘장소세포’를 찾아낸 공로로 올해 노벨상을 거머쥐었다. 당시 상황에 대해 그는 “마침 트랜지스터가 개발됐을 때였다”며 “쥐의 뇌에 트랜지스터를 부착하면 쥐의 행동과 ... ...
임신부세요? 하루에 요거트 하나 꼭 드세요~
2014.10.08
많이 나타난다. 특히 적은 양이라도 주기적으로 섭취하면 암이나 어린이 신경발달지체,
인지
발달장애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어 매우 위험하다. 연구진은 이전 연구에서 우리 몸에 자연적으로 나타나는 ‘락토바실리쿠스 램노수스 GR-1 박테리아’가 이 중금속들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 ...
[2014 노벨 생리의학상] ‘뇌 속 GPS’ 발견한 뇌 신경과학자들 수상
2014.10.07
제대로 인식하기 위해서는 특정 위치 파악 외에 전체 공간에서 현재 위치가 어디쯤
인지
도 알아야 한다. 지도에서는 위도와 경도가 이런 역할을 한다. 모세르 부부는 뇌에서 위도와 경도 역할을 담당하는 ‘격자세포(grid cell)’를 내후각피질에서 찾아내 2005년 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 ...
이전
239
240
241
242
243
244
245
246
2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