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뿔
모
모서리
귀퉁이
각도
호른
각성
d라이브러리
"
각
"(으)로 총 4,893건 검색되었습니다.
수박 자르지 않고 맛을 알아낸다
과학동아
l
200307
과일의 표면에 광을 조사하고 반사된 광을 광파이버로 모은 후, 분광광도계를 이용해
각
파장별 흡광 특성을 분석해 그 성분의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과일의 표면 정보를 이용하는 셈이다.투과식의 경우는 강력한 광을 과일에 쪼이고 광원의 반대편에서 투과된 광을 모은다. 모아진 광은 ... ...
안데스인의 피는 태평양인보다 붉다
과학동아
l
200306
인체가 어떻게 적응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끊이지 않는 이유는 뭘까. 넓은 시
각
에서 보면, 끊임없이 자연과 조화를 이루려는 인체의 신비한 능력에 대한 호기심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현실적으로는 높은 산을 등반할 때 걸리는 고산병을 예방하고 운동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다. 이봉주 선수를 ... ...
4백만년 전 묻힌 인류의 조상
과학동아
l
200306
관측한다천체망원경의 경통 앞쪽 끝에 구경 전체를 가리도록 장치한 대형 프리즘 꼭지
각
은 10° 이하의 것이 많고 1° 정도의 것도 있다분광사진기의 슬릿과 콜리메이터를 생략하여 프리즘과 사진기만으로 만든 것에 해당한다한번에 많은 별의 스펙트럼을 신속히 촬영할 수 있으므로 별의 스펙트럼 ... ...
인간의 협력관계 설명하는 물리학
과학동아
l
200306
반영했다고 할 수 없다. 게임에 참여하는 개체들은 2차원 네모 살창(square lattice)에
각각
한 자리를 차지한다. 이 경우 모든 개체는 동서남북의 네방향에 이웃이 살고 있다. 그리고 공공 재화 게임은 어떤 한 개체(A라고 해두자)와 그의 4명의 이웃, 즉 총 5명이 참여한다.이 게임에서 A의 점수는 그의 ... ...
과학이 정말 재밌어요!
과학동아
l
200306
말한다.이번학기 WISE와의 두번째 시간인 이날의 주제는 ‘스스로 물 마시는 새’.
각
자 앞에 놓인 준비물로 새를 만들기 시작했다. 탁구공을 잘라서 새 머리를, 가는 유리관은 알코올 램프로 구부려서 새 부리를, 철사로는 새의 머리와 부리를 지탱할 수 있는 몸통을 만들었다. 아이들은 높은 비커에 ... ...
집에서 만드는 무지개 칵테일
과학동아
l
200306
때문에 어떤 물질이 상대적으로 무거운지 가벼운지를 판단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각
음료수를 요구르트 병에 가득 채워 측정한 질량은 다음과 같다. 단 제조회사가 다르면 같은 종류의 음료수일지라도 질량이 다를 수 있다.같은 부피의 질량을 측정했으므로 질량이 큰 음료수일수록 밀도가 크다. ... ...
1 인간은 머리기른 침팬지?
과학동아
l
200306
이렇게 잘린 BAC 클론의 위치는
각
조
각
의 말단염기서열을 알아내 어떤 조
각
이 어느 조
각
다음에 오는지 정해진다. 이 방법을 통하면 침팬지 전체 게놈 중 일부분(BAC 클론 말단부분)의 염기서열을 알 수 있다. 컨소시엄은 이를 이미 100% 해독돼 있는 인간게놈의 염기서열과 비교해 과학전문지 ... ...
생명체 복잡성 실체는 항공망 네트워크
과학동아
l
200306
연구결과에 따르면 먹이사슬망은 그 연결구조가 단순할 것이라는 기존의 예상과는 달리
각
종들이 꽤나 서로 복잡하고 밀접하게 연결돼 있어서 평균적으로 단지 2단계만에 서로 연결이 되는(즉 서로 먹고 먹히는) ‘좁은세상’을 나타내고 있었다.최근 들어 생태계를 연구하는 학자들은 잘 알려져 ... ...
껌과의 전쟁 과학자가 나선다
과학동아
l
200306
Pink Market)이라 불렸다고 한다. 전쟁 당시 미군에게 지급됐던 껌이 유럽을 비롯한 세계
각
국에 퍼져나갔던 것이다.현재 최고의 껌 제조회사는 윌리엄 리글리 사. 이 회사의 설립자인 미국의 윌리엄 리글리는 1914년 박하와 여러 과일 추출물을 치클에 넣어 껌을 제조했다. 특히 빵을 만들 때 반드시 ... ...
폐암 감지하는 전자코 개발
과학동아
l
200306
수 있는 것이다.연구팀은 35명의 폐암환자를 포함한 60명을 대상으로 임상실험을 했다.
각
테스트에는 약 1분 정도가 소요됐고, 전자코는 60명 중 35명의 폐암 환자를 성공적으로 가려냈다. 나탈레 박사는 “전자코 진단기는 너무 간편해 폐종양 제거 수술을 받은 환자가 재발여부를 집에서 간단히 ... ...
이전
240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