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외
인터내셔널
세계
국제개발협회
개발
협회
국제경쟁력
d라이브러리
"
국제
"(으)로 총 5,598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식] 접기+자르기+수학=무한한 가능성!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발전한 데는 일본의 역할이 크다. 따라서 오늘날에는 일본어인 ‘오리가미’가
국제
표준 명칭으로 쓰이고 있다. 오리가미는 칼이나 풀 없이 종이 한 장으로 다리 6개 달린 곤충은 물론이고, 몸통 비늘이 100개도 넘는 물고기도 완벽하게 접어내는 수준에 이르렀다.최근에는 오리가미 기술이 단순한 ... ...
[Life & Tech] 무선으로 충전하는 ‘와이파워 시대’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아직 ‘대세’를 논하는 건 시기상조”라고 말했다. 또 “다이폴코일 무선전력 기술이
국제
적으로 인정받는다면 수십 cm 급 장거리 전력전송과 관련된 새로운 무선전력 규격이 제정될 가능성도 있다”고 덧붙였다. 전기자동차와 사물인터넷(IoT) 시장까지 무선충전이 필요한 건 휴대전화 시장만이 ... ...
[수학뉴스] 세계 인구 증가의 원동력은 아프리카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전 세계 출산율은 꾸준히 줄어들고 있지만 전체 인구수는 계속 많아질 것으로 보입니다.
국제
연합(UN) 인구부서 책임자 존 윌모스는 현재 약 73억 명인 세계인구가 2100년에는 약 112억 명이 된다는 결과를 8월 10일 미국 시애틀에서 열린 ‘2015 연합통계학회’에서 발표했습니다. 윌모스는 ... ...
[수학뉴스] 3차원 사진 찍는 ‘깊이 감지 카메라’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나타난답니다.최근 이 문제를 수학으로 해결했다고요?세계 최대 컴퓨터 그래픽스
국제
회의인 ‘시그래프 2015’에서 미국 카네기멜론대와 캐나다 토론토대 연구팀이 새로운 수학 모형을 발표했습니다. 카메라가 불필요한 빛은 제거하고 꼭 필요한 양만큼만 빛을 모아 뚜렷한 입체 사진을 얻는 ... ...
숫자 세 개가 만나는 곳에 보물이 있다!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문제가 됐다. 나라마다 좌표가 조금씩 달라서다. 1980년대 들어 세계 공통으로 쓸 수 있는
국제
표준타원체가 개발됐다. 이렇게 만든 지구좌표계에서는 경도와 위도로 한 점의 위치를 정확히 나타낼 수 있다.지구좌표계의 장점은 지구를 왜곡하지 않고 크기만 줄여 놓았다는 것이다. 하지만 한눈에 ... ...
[지식] 축구공을 꼭 닮은 풀러렌!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세계 각국의 중요한 산물을 모아 진열하고 새로운 산업 기술의 성과와 문화를 겨루던
국제
박람회다. 당시 풀러는 적은 재료로 큰 공간을 만들 수 있는 건축 구조를 만들기 위해 구를 닮은 다면체에서 아이디어를 얻었다. 그 결과 풀러는 전통적인 건축물보다 훨씬 더 적은 재료를 사용해 더 큰 공간을 ... ...
[Hot Issue] ‘늙지 않는’ 뱀파이어와의 인터뷰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근육으로 분화하는 것을 저해하는 단백질(SMAD4)의 발현을 억제하는 miRNA를 발견해 7월 29일
국제
학술지 ‘유전자와 발생’에 발표했어요. 즉, 근육줄기세포가 근육으로 분화하게끔 도와주는 miRNA를 발견한 거죠.그: 단백질은 아니지만, 노화를 방지하는 물질이군요. 그럼… (눈을 희번득하게 뜨며) ... ...
[Life & Tech] 눈의 여왕은 과연 몇 ℃일까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몇 개의 작은 나라들을 제외한 대부분의 나라가 섭씨온도를 쓴다.하지만 온도에 대한
국제
표준 단위는 섭씨(℃)가 아니라 절대온도로 불리는 켈빈(K)이다. 절대온도가 나온 배경을 알아보자. 과학기술이 발전할수록 0 ℃ 이하가 중요해졌다. 가장 낮은 온도는 어디일까. 과학자들은 모든 원자가 ... ...
[과학뉴스] 우주에서 재배한 첫 상추, 어떤 맛일까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가운데 떠있는 우주선에서 재배한 상추는 어떤 맛일까.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8월 10일,
국제
우주정거장(ISS)에 있는 우주비행사들이 처음으로 우주에서 기른 채소를 먹게 됐다고 발표했다. ‘우주 채소’는 ISS에 설치된 ‘베지’라는 미니 온실에서 33일 동안 자랐다. 베지는 태양광 대신에 LED 불빛을 ... ...
[Knowledge] 머리 이식…과연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모두 없어서 혼자서는 생활이 아예 불가능한 사람이다.복합조직이식의 미래는?1999년,
국제
수부외과학회에서 팔 이식수술 임상이 처음 발표됐을 때 의사들 반응은 ‘미쳤다’와 ‘수부외과의 마지막 꿈이 실현됐다’로 극명하게 나뉘었다. 지금은 아니다. 복합조직이식은 사고로 사지를 잃거나 ... ...
이전
240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