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인
d라이브러리
"
일부인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으로 생각하기] 일본 대지진 바로 알기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2011년 3월 11일 오후 2시 46분 일본의 북동쪽 바다 밑에서 거대한 지진이 발생했다. 지진해일과 원자력발전소의 폭발 사고가 뒤따르며 피해는 눈덩이처럼 커졌다. 두려움은 잘 알지 못하는 데서 오는 법. 지진에서 방사선까지 자세히 파헤쳐 보자.지진에 이은 지진해일의 영향으로 마을 안쪽까지 배가 ... ...
인공위성이 그린 호랑이의 포효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예술적 영감으로 충만한 화가가 붓을 들어 솜씨를 발휘해 놓은 걸까. 초현실주의풍의 유화 전시회에 온 분위기다. 화려한 색채와 기묘한 패턴은 어디에 내놓아도 빠지지 않을 듯하다. 그런데 놀랍게도 이 화가는 사람이 아니라 인공위성이다. 그림의 대상은 바로 지구다.우리가 보는 하얀 구름과 푸 ... ...
고대이집트인 ‘가짜 발가락’ 신었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손이나 발 등 신체 일부가 없는 사람은 의족이나 의수 같은 ‘의지’를 끼고 생활한다. 인류는 3000년 전부터 의지를 썼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맨체스터대 생물의학 이집트문화센터의 재클린 핀치 박사팀은 “영국 대영박물관 이집트관이 소장한 ‘그레빌 체스터 발가락’과 이집트박물관 ... ...
국제동물농부협회 참관기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1874년 개미가 곰팡이 농사를 짓는다는 사실이 처음 발견된 이래 동물농부에 대해 많은 사실이 알려졌다. 지난 수년 동안 곤충뿐 아니라 물고기와 달팽이, 아메바 같은 다양한 생명체가 농부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를 토대로 ‘국제동물농부협회 창립총회’를 가상으로 꾸며봤다.사회자(개미): 오 ... ...
뱀눈 뜨고 악취 풍기는 생존의 달인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대부분의 생물은 어느 정도 방어 능력을 갖추고 있다. 하지만 힘없는 애벌레는 더욱 특별해야 한다. 새를 잘 속이는 변신 위장술이 곤충 포식자들에게는 전혀 안 통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애벌레들은 먹을 수 없는 더러운 것을 흉내 내거나 참기 힘든 악취를 풍기는 방법을 찾았다. 기상천외 ... ...
Part1. 당신은 호모 사피엔스 100%인가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Vi33-16, Vi33-25, Vi33-26.손가락만 한 크기의 뼈 세 개에 인식표 번호가 선명하다. 1980년 지중해 동쪽 크로아티아의 빈디야 동굴에서 발견된 네안데르탈인(호모 네안데르탈렌시스)의 유골. 4만여년의 긴 시간을 동굴 속의 차고 건조한 공기만을 마시며 견딘 끝에 다른 인류의 손에 수습됐다. 기구하다면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1희망의 옹달샘 - 무동력 정수기마실 물을 구하기 위해 하루에 몇 km씩 걷는 사람들. 비록 흙탕물이건만 살기 위해 그런 물이라도 마신다. 아프리카나 동남아시아를 다룬 다큐멘터리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장면이다. 이런 지역에 사는 사람들은 오염된 물로 인해 질병에 걸리기 쉽다. 이번에 황당맨 ... ...
세계는 지금 ‘친환경 나노’가 대세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환경 안전성 문제가 불거졌던 나노기술이 최근 ‘친환경’으로 거듭나고 있다. 지난 2월16일부터 일본 도쿄에서 열린 세계 최대 나노기술 전시회 ‘국제 나노테크 2011’에서는 참가한 기업 두 곳 중 한 곳이 홍보부스 앞에 나뭇잎 모양의 녹색 마크를 달고 있었다. 친환경적 제품이나 기술을 전시하 ... ...
“비과학적인 매몰 대책이 침출수 문제 불렀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구제역과 AI 대책의 일환으로 정부가 시행하고 있는 가축 매몰 작업이 침출수와 가스등을 발생시키며 추가 피해를 일으키고 있다. 시간에 쫓겨 과학적인 조사나 연구 없이 주먹구구식으로 시행돼 예견된 2차 피해를 불러왔다는 비판이 지배적이다. 무엇보다 치명적인 가축전염병의 병원균을 지닌 ... ...
구강 박테리아 다양성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최근 과학저널 사이언스는 지난 10년 동안 가장 혁신적인 발전을 이룬 과학 분야 10개를 선정했다. 그 가운데 하나가 인간 미생물군집(human microbiome)에 대한 연구다. 미생물군집이란 어떤 환경에 살고 있는 미생물 전체를 뜻하는 말로 1958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인 조슈아 레더버그가 처음 썼다. 인 ... ...
이전
240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