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구"(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토성 탐사 20년 그 위대한 기록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임무의 마지막 날이자 새로운 시작”이라며 “카시니가 발견한 타이탄과 엔셀라두스는 지구 밖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는 영역에 대한 우리의 생각을 완전히 바꿔놨다”고 말했다. 카시니 프로젝트의 담당자인 린다 스필커 NASA 제트추진연구소 연구원은 “카시니는 사라졌지만 그가 남긴 과학적 ... ...
- [Career] 태평양해양과학기지에서 미래 해양과학자를 외치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꿈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이재영 군(대전 과학고 2학년)은 “지구과학의 여러 분야 중에 어떤 것을 전공해야 할지 고민 중이었는데, 멘토링을 받고 나니 해양 물리 쪽으로 마음이 기울었다”며 “꼭 나한나 박사님과 함께 일하고 싶다”며 포부를 밝혔다. 박소원 씨(부산대 2학년)는 ... ...
- [Origin] 국제이론물리센터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및 입자 물리학, 고에너지 분야에 국한됐지만, 최근에는 수학, 응집물질 및 통계물리학, 지구시스템물리학 등으로 확대되는 추세입니다. 2015년에는 생물물리학 분야도 생겼습니다. 연구소 내에는 고성능컴퓨팅(HPC) 장비 같은 전산장비 시설도 갖추고 있습니다. ICTP는 이론물리학 분야 연구자들의 ... ...
- [Culture] 원본 증명과학동아 l2017년 10호
- 하나마나한 이야기지만, 우리가 살아남을 수 있었던 건, 이런저런 기술 덕분입니다. 지구에 무슨 대재앙이 있었던 것도 아니고 모두의 안위를 걱정해야 할 만큼 큰 전쟁을 겪은 것도 아니지만 우리는 원래 죽을 수밖에 없었습니다. 죽음이라는 느릿느릿한 시한폭탄 앞에 우리 대부분은 겨우 백 년도 ... ...
- Part 3. 최첨단 시금치, 전자 기술을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그림시금치는 물에서 수소를 만드는 마술사?미세먼지를 포함해 각종 대기오염으로 지구가 병들어가는 요즘, 깨끗한 미래의 에너지원으로 수소가 주목받고 있어요. 그런데 수소 연료엔 한 가지 문제점이 있답니다.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수 있을 만큼 수소를 만들기 위해선 많은 양의 전기와 비용이 ... ...
- [과학뉴스] 에너지 및 환경과학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등 기상이변에 지구촌이 몸살을 앓고 있다. 기상이변의 유력한 원인은 지구온난화다. 지구온난화의 주범으로는 과도한 화석연료의 사용이 꼽힌다.영국 왕립화학회에서 매달 발행하는 ‘에너지 및 환경과학’은 이런 에너지와 환경 문제를 해결할 연구들을 소개한다. 신재생에너지는 물론 원자력, ... ...
- [Origin] 어떻게 유전자가 ‘이기적’일까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실체에 자연선택이 작용하든지, 장구한 세월에 걸쳐 자연선택이라는 체를 통과해 오늘날 지구상에 흔한 존재가 된 실체는 어떤 특성을 갖추고 있으리라 기대할 수 있다. 마치 어떤 남자가 국가대표 축구 선수로 오랫동안 내로라하는 선수들과 겨뤄왔다면, 그가 배짱 두둑한 남자일 거라고 기대할 수 ... ...
- [현장취재] 지사탐 봄 현장교육 꿀벌이 윙윙, 각시붕어가 펄떡!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등 다양한 생물이 살아가는 소중한 생태계라는 사실을 깨달았다”고 소감을 밝혔어요.# 지구사랑탐사대 봄 현장교육은 6월까지 계속 진행될 예정이에요. 수원청개구리, 귀화식물, 제비 등 다양한 생물이 탐사대원들을 기다리고 있답니다. 앞으로 이어질 현장교육도 기대해 주세요!※ 현장교육과 ... ...
- [Focus News] 해수 온도 급상승 한반도 위험주의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상승하고 있어 이런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게 됐다”고 설명했다. 허창회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팀과 부산대, 한국해양대, 극지연구소,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UCLA), 홍콩시립대 공동연구팀은 “2100년경에는 한 해에 한반도와 일본을 향하는 열대성저기압, 즉 태풍의 숫자가 지금보다 ... ...
- [Origin] 아스팔트 화산, 진흙 화산 들어는 봤나 ‘석유 화산’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저류암’에 매장돼 있는 석유의 양만 약 5조 배럴정도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즉, 지구에서 생성된 석유의 0.05% 정도만 저류암에 매장돼 있는 것이다. 그 많은 석유는 다 어디로 갔을까. 결론부터 말하면, 퇴적분지에서 형성된 석유의 1% 정도만 저류층에 보존되고 나머지는 지상으로 유출된다. ... ...
이전2402412422432442452462472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