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절
당
파
편의
편익
떡
떡밥
d라이브러리
"
편
"(으)로 총 4,072건 검색되었습니다.
만약에 세상의 모든 가로등이 사라진다면?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그대로 세워두는 것이 현명할 것 같다.빛의 공해에서 해방하지만 가로등이 없어지면 한
편
으로는 밤을 대낮같이 밝히는 가로등으로 인한 피해들을 줄일 수는 있을 것이다. 최근 몇 년 전부터 야외조명, 가로등, 네온사인 등이 빚어낸 과도한 불빛이 환경오염의 하나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이미 ... ...
고전물리학 고집한 현대물리학의 아버지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그는 현대물리학의 장을 열었다. 에너지를 작지만 일정한 크기로 나누면 계산상
편
리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를 위해 그는 ‘작용양자’라는 개념을 도입했다. 고전물리학에서는 생각할 수 없었던 불연속적인 에너지 개념이 등장했다. 플랑크는 자신의 복사 공식을 확립하는 과정에서 당시 ... ...
도쿄국제판타스틱 영화제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영화제에 초대되는 성과를 이뤄냈다. 올해에는 각본부문 ‘600초:WORDS’가 추가돼 단
편
부문의 경쟁은 더욱 확대됐다. 이토 세이코 프로듀서는 “도쿄판타니까 할 수 있는 차세대를 이끌어갈 젊은 크리에이터들의 재능을 발굴하는 장소로서 영화제를 봐달라”고 주문했다.일본인들이 사랑하는 ... ...
01. 멀수록 강해지는 이상한 힘 규명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일체의 망설임이나 고민 없이 즉시 논문으로 발표했다고 한다.이들이 1973년 발표한 2
편
의 논문은 당시 학계에 엄청난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미스터리로 남아있던 강력을 설명하는 이론이 드디어 밝혀졌기 때문이다. 폴리처는 논문 연구의 공로를 인정받아 바로 캘리포니아공대 교수로 부임할 ... ...
그의 뇌와 그녀의 뇌는 다르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않기도 한다.다른 포유동물에 비하면 인간 남성과 여성 뇌의 해부학적 차이는 크지 않은
편
이다. 하지만 신경회로의 성적 차이는 분명하다. 오늘날 신경과학자들은 살아있는 뇌의 구조와 기능을 있는 그대로 실시간으로 조사할 수 있다. 그 중 한 방법이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 촬영이다. 이를 ... ...
02. '죽음의 입맞춤' 유비퀴틴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집약된다. 2000년까지 유비퀴틴 관련 논문은 5천여
편
이 발표됐고, 2004년 10월 현재 1만
편
이상으로 늘어났다. 올해의 노벨화학상으로 25년 넘게 계속돼온 단백질 분해 연구뿐만 아니라 유비퀴틴 관련 연구가 그 중요성을 인정받았다고 볼 수 있다.단백질 분해 연구는 이제 시작 그러나 단백질 생성 ... ...
뇌지문으로 거짓말 탐지할 수 있나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자기공명영상(MRI) 장치를 이용해 도덕적 판단을 할 때 뇌의 반응을 조사하고 있다.한
편
에서는 체온이나 얼굴 표정, 시선의 변화로 거짓말 여부를 탐지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미 미네소타의대 연구팀은 열촬영장비를 이용해 거짓말을 할 때 눈 주위 얼굴에 체온 변화가 생긴다는 사실을 ... ...
세계는 지금 곤충산업 붐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있다. 하지만 아직 꿀벌들이 장거리를 이동할 수 없어 널리 활용되지는 못하고 있는 형
편
이다.생활특성과 유전학을 접목해 유해물질을 감시하게 하는 연구도 추진 중이다. 미 샌디아국립연구소 제프 브린커 박사 연구팀은 유해물질을 감시하는 환경감시원으로 바퀴벌레를 이용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 ...
세계 3번째로 큰 공룡 한국에 왔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하는 26m 길이의 초식공룡이 있다. 몸무게는 코끼리 2마리 정도로 무겁지 않은
편
. 최대 8.6m에 달하는 밍크 고래의 전신 골격과 ‘바다의 무법자’답지 않은 상어의 박제도 볼 수 있다.한반도 갯벌의 40%를 차지하는 목포 주변 지역의 갯벌을 그대로 살린 ‘갯벌 디오라마’에서는 댕가리가 집단으로 ... ...
눈과 망원경으로 즐기는 가을밤 페르세우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성단이다. 지구로부터 2천광년 떨어져 있는데, 이 정도 거리는 우주공간에선 꽤 가까운
편
이다. 성단을 이루고 있는 별은 대략 1백여개로 그 가운데에서 눈으로 보이는 별만 10여개나 된다.운동성단이라는 이름이 붙은 이유는 구성 별들이 대단히 뚜렷하게 동일한 방향으로 운동을 하기 때문이다. 즉 ... ...
이전
240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