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도
격렬함
계수
셈
힘
능력
효력
뉴스
"
세기
"(으)로 총 2,445건 검색되었습니다.
암흑물질, 아기 우주 나이 알려주나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단위의 표기방식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생각이 들어서다. 영어권은 천 단위로 숫자를
세기
때문에 137억 년을 글로 나타내려면 ‘thirteen billion seven hundred million years’로 써야하는데 얼마나 번거로운가. 물론 논문이라면 ‘13.7 billion years’라고 쓰면 되겠지만 대중과학서적에서 이런 표기는 좀 불친절한 ... ...
당신에게 네안데르탈인의 피가 흐른다면?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한편 아프리카계 미국인 가운데 일부가 A00 유래의 Y염색체를 갖는 건 이들의 조상이 15~19
세기
서아프리카에서 노예사냥꾼에게 잡혀 미국으로 건너온 이들 조상의 일부가 이 염색체를 갖고 있었기 때문이다. 아이러니컬하게도 인류 최악의 반인륜적 범죄의 결과가 놀라운 인류의 비밀이 밝히는데 ... ...
천재의 머리에만 있던 장치가 세상에 빛을 보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입자로도 설명할 수 있는 연속적인 분포패턴이 나타난다. 연구자들은 다음으로 전자총의
세기
를 극도로 줄여 1초에 전자 하나 꼴로 내보내게 했다. 그리고 두 슬릿이 열려있을 때 스크린에 닿은 전자 입자 하나하나를 검출해 위치를 표시했다. 오른쪽 사진을 보면 위에서 두 번째부터 아래로 각각 ... ...
‘오메가3’ 먹어야 하는 이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Treat obesity as physiology, not physics)’는 알쏭달쏭한 제목이다. 토브스는 이 글 앞에 인용한 19
세기
프랑스 생리학자 클로드 베르나르의 말로 칼럼을 시작한다. 토브스는 2차 세계대전 전까지만 해도 과학자들이 비만을 호르몬이나 조절계의 이상 때문에 생기는 문제로 생각했다고 소개한다. 저명한 ... ...
약도 재활용한다고? 괜찮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전설적인 영화배우 록 허드슨이 에이즈로 사망하면서 사람들의 공포는 극에 달했다. ‘20
세기
흑사병’ 때문에 당황한 미국 정부는 에이즈 치료약을 개발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였고 수천 가지 화합물을 조사하다가 간신히 효과적인 약물을 찾아 1986년 서둘러 시판을 승인했다. 최초의 에이즈 치료약 ... ...
칼 우즈, 생물학의 뿌리를 뒤흔든 아웃사이더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PNAS’에 기고한 글을 읽어봤는데 좀 충격이었다. 20
세기
의 다윈이라고 불리며 지난
세기
를 풍미한 진화학자 마이어가 94세 때 쓴 글임에도(마이어는 2005년 101세에 타계했다) 감정적이라고 느껴질 정도로 글 곳곳에 우즈에 대한 강한 적대감이 느껴졌다. “지난 100년 동안 생물다양성의 세계에서는 ... ...
DNA 정보 저장 왜 3진수로 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17
세기
중반에서 18
세기
초반을 살았던 독일의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는 정말 미스터리한 사람이다. 동시대인인 아이작 뉴턴에 비해서는 별로 알려져 있지 않지만 천재성에서는 뉴턴에 버금가는 인물이다. 사실 라이프니츠는 다방면에 관심이 많았고 그만큼 많은 업적을 내기도 했다. 그래서 ... ...
독감 걸리는 사람 완전히 사라지는 날 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반면 독감은 증상도 심하고 원인이 되는 바이러스도 정해져 있어 백신이 나온 지도 반
세기
가 넘었다. 보통 백신으로 활성이 없는 바이러스가 몸에 들어오면 인체 면역계는 바이러스 표면 분자를 이물질로 인식할 수 있는 항체를 만드는 백혈구(B림프구) 숫자를 늘린다. 그 결과 표면구조가 비슷한 ... ...
온실가스 배출 줄일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그래도 석유값이 많이 오르긴 했는데 그 해결책으로 부상한 게 재생에너지가 아니라 20
세기
들어 석유에 1위 자리를 빼앗긴 석탄이다. 특히 에너지 블랙홀인 중국의 석탄의존도는 급격히 늘어나 전세계 석탄생산량의 절반이 중국에서 태워진다고 한다. 오늘날 중국과 (급부상하는 또 다른 에너지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③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20
세기
초반까지 세계 과학을 이끌고 있던 유럽은 나치가 득세하고 제2차 세계대전이 터지면서 그 주도권을 미국으로 넘겨주게 된다. 종전 뒤 오늘날까지 미국은 확고한 1인자로 권좌를 유지하고 있다. ‘네이처’와 ‘사이언스’에 부고가 실린 과학자 25명의 국적 분포가 이런 역사를 잘 설명한다. ... ...
이전
240
241
242
243
244
2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