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으)로 총 7,755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Science Fiction_귀향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육체에 들어간 순간에, 등대가 무엇이고 등대 주인이 어떻게 등장했는지 한 가지 가설을 세웠다. 등대 주인의 문명은 우리처럼 기술적 특이점에 도달했고 더 먼 우주로 나아갔을 것이다. 그리고 등대에 저장되어 있던 자료란 아마도, 우리가 그랬던 것처럼, 역사에서 완전히 지워버리지 못한 옛 ... ...
- [소프트웨어]신비로운 수,소수를 찾아라!수학동아 l2016년 01호
- , 3, 5, 7, 11, 13, …으로 이어지는 소수. 특별한 규칙이 없어 세 자릿수만 넘어도 이 수가 소수인지 아닌지 판별해 내기가 쉽지 않습니다. 이럴 때 필요한 것이 바로 컴퓨터죠! 소프트웨어 교육 플랫폼인 ‘엔트리’를 이용해 어떤 수가 소수인지 알아맞히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봅시다.잡힐 듯 안 잡히는 ... ...
- [News & Issue]동면하는 영장류 발견!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동남아시아 지역에 서식한다.연구팀은 피그미늘보로리스 5마리의 체온을 가을, 겨울, 봄 세 계절 동안 측정했다. 그 결과 12월부터 2월까지 최대 63시간 동안 겨울잠을 잔다는 것을 알아냈다. 통상 24시간 이상 체온이 정상 범위를 벗어나면 동면 상태라고 본다.과학자들은 그동안 마다가스카르 섬의 ... ...
- [News & Issue]당신은 봄수저인가요 겨울수저인가요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아이는 어느 계절에 낳을까과학자들이 봄과 여름, 가을과 겨울수저의 운명을 좀 더 자세히 밝히면 내 삶에 어떤 변화가 생길까. 김 교수는 “출생시기와 질병의 관계를 알면 진단, 치료, 예후예측, 예방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질환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 자녀의 출생을 조절하는 방법도 ... ...
- Part 1.표준모형이 지배하는 일상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있다”고 말했다.이 모든 것이 입자물리학, 좁게 말하면 표준모형 연구에서 비롯됐다. ‘세상 만물은 무엇으로 이뤄져 있는가’를 묻고, 물질의 근원을 이해하기 위해 개발한 기술이 의도치 않게 우리 삶을 풍요롭게 만드는 데 큰 역할을 한 것이다. 어쩌면 인류의 중요한 과학적 발전은, 진보 그 ... ...
- Part5. “‘최종 이론’ 찾을 때까지 탐구 멈추지 않을 것”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설명할 수 있을까.“저는 모든 것의 이론이라는 표현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마치 세상 모든 것을 설명할 수 있는 물리법칙이 있다는 것처럼 들리거든요. 난기류 같은 기상현상이나 생물학적인 현상, 심지어 우리의 일상사까지도요. 그 대신 저는 ‘최종 이론(Final Theory)’이라는 표현을 즐겨 씁니다. ... ...
- [Tech & Fun]Science Fiction_안개와 더러운 공기 속에서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당신들을 기억할 거야.”“하지만 그렇다고 우리가 사는 것이 아니잖아!”“맞아. 이 세계의 꿈은 이제 끝이야.”“다른 방법이 있을 거야. 우리가 생각해낼 수 있어. 지금까지 우리가 이룬 것을 봐. 우리에게 당신이 아는 모든 것들을 가르쳐줘. 그러면 8200배 빠른 시간 속에서 우리가 무언가를 ... ...
- [수학동아클리닉]사라진 어진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천방지축 후손, 보물을 잃다우리나라의 긴 역사 속에는 수많은 왕이 있습니다. 왕의 진짜 모습은 임금의 초상화인 어진(御眞)을 보면 알 ... 자리로 옮겨온 것입니다.두 번째 관문을 넘은 여러분, 다음 세 번째 관문을 기대해 주세요. 과연 여러분이 생각한 순서대로 관문을 넘을 수 있을까요 ... ...
- [News & Issue]사회성의 천재, 붉은털원숭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것입니다. 그대들의 의생을 기려 비를 세우고 영복을 비나니, 인간을 용서하고, 더 나은 세상에 태어나, 대자연을 벗 삼아 마음껏 나래 치며 뛰어 놀기를 소원합니다.’2016년 붉은원숭이의 해를 맞아 기획된 이 기사가 그들의 숭고한 희생을 다시 한번 떠올리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 ...
- Part 4. 그들은 더 완벽한 우주이론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물리학을 넘어 일반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을 탄생시켰다. 그리고 100년이 지난 21세기 현재, 다시 새로운 물리학이 꿈틀거리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인류 최고 이론을 향한 도전 표준모형Part1.표준모형이 지배하는 일상Part 2.커피잔 속에서 우주의 원리를 보다Part 3.‘표준모형 ... ...
이전2412422432442452462472482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