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크기"(으)로 총 7,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쏟아지지 않는 핫초코의 비밀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마찰하면서 담겨 있는 액체가 흔들리지 않도록 돕는다는 사실을 알아냈답니다. 3mm 크기의 거품이 다섯 층만 있어도 액체의 진동을 모두 흡수하기에 충분하다는 것도 계산을 통해 알아냈지요. 핫초코 위에 올라가는 거품 덕분에 산책을 하면서도 큰 흔들림 없이, 쏟지 않고 마실 수 있는 거예요 ... ...
- 엄마도 깜짝 놀란 채소의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교배해 만든 보라색 미니 당근이 자라고 있지요. 이 당근은 색깔이 선명하고 예쁜데다가 크기가 작고 달콤해서 날로 먹기 좋아요. 또 다른 색깔 당근에는 없는 안토시아닌이 들어 있어요. 안토시아닌은 빨강, 보라, 파랑 등의 색깔을 띠는 색소로, 우리 몸이 늙는 것을 예방하는 항산화 효과가 ... ...
- [수학뉴스] 투명망토의 정체는 벌집 구조?수학동아 l2015년 06호
- 식으로 설계한 구조물이 더 안정적”이라고 밝혔습니다. 전체 구조를 유지하면서 구멍의 크기를 더 키울 수 있게 된다면 투명 망토뿐만 아니라 투명한 재료나 기구를 만들 수 있을 지도 모릅니다 ... ...
- PART3. 가상현실과 현실을 구분 할 수 없다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문어처럼 유체를 뒤로 내뿜어 앞으로 나아간다. 자체 구동장치를 갖추고 있으면서도 크기가 작다.이 교수는 “최근 비공개로 특허 출원된 기술 중 마이크로 로봇을 이용한 가상현실체험 관련 특허가 여럿 있다”고 말한다. “모두 실험실 수준의 연구들입니다. 보통 상용화보다 20년쯤 앞서 특허가 ... ...
- 수성 탐사선 ‘메신저’ 편히 잠드소서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수성 탐사선 메신저호가 11년간의 임무를 마치고 수성과 충돌했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메신저호가 4월 30일 시속 1만4081km 속도로 수성과 충돌해 운명 ... 지난 달 모든 추진력을 소진하고 수성에 충돌했다. 전령(messenger)이 추락한 자리에는 16m 크기의 크레이터가 생겼을 것으로 추정된다 ... ...
- 에펠탑 보면 떠오르는 와인은?과학동아 l2015년 06호
- 공기방울이 100분 의 1초 안에 방출되면서 나는 소리라고 해요. 사람들 은 90~100dB(데시벨) 크기의 소리를 내는 바삭거림 을 좋아하는데 이것은 공기방울 100개 이상이 터지면 서 내는 소리라고 합니다. 과자 안에 얼마나 많은 공기 방울이 들어 있는지 짐작이 되시죠?소금 뿌린 수박이 더 달다시각이 ... ...
- PART2. 현실 닮아가는 가상현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에 고해상도로 영상을 재생시키는 기술이 핵심이다. 그러려면 픽셀 크기가 굉장히 작아지고, 반대로 숫 자는 많아져야 한다. 최근 액티브 매트릭스 액정디 스플레이(AMLCD)나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가 발달하면서 풀HD급 영상(1920x1080)을 1인치보다 작은 칩에 담을 수 있게 됐다 ... ...
- [과학뉴스] 세계 최고 해상도 양자점 LED 개발과학동아 l2015년 06호
- 1m) 수준인 작은 반도체 결정을 이용해 빛을 내는 방식이다. 별도의 광원 없이 결정의 크기만 조절하면 스스로 원하는 색을 내 차세대 발광소자로 주목받고 있지만, 낮은 전압에서 성능이 떨어져 아직 상용화에 이르지는 못했다.연구팀은 양자점 초박막필름에 양자점 나노입자를 도장처럼 찍어내는 ... ...
- 심성 꼬인 태양이 버럭 하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나오는 호스의 입구를 움켜쥐었을 때 물이 사방으로 뿜어나 오는 모습? 그만큼 태양의 크기에 비해 맹렬한 규모로 물질이 흩날렸다(오른쪽 동영상 참고).“이 현상이 없더라도 태양 주변으로 늘 물질이 분출되고 있어요. 그게 코로나예요. 그런데 때때로, 방금 보신 것처럼 물질이 대량으로, 격렬히 ... ...
- 연꽃과 도마뱀 키우는 기계공학자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발바닥을 자세히 살펴보니 발끝에 달린 나노미터(nm․1나노미터는 10억분의 1미터) 크기의 작은 섬모가 중요한 역할을 했다. 처음에는 ‘비슷한 구조를 만들면 되겠지’라는 단순한 생각으로 반도체를 가공하는 기술을 이용해 섬모를 만들었는데, 접착력이 부족했다. 다른 분야에 쓰던 공정을 그대로 ... ...
이전2412422432442452462472482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