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손해
해
피해
상해
상처
결손
위해
뉴스
"
손상
"(으)로 총 2,739건 검색되었습니다.
해마 꼬리가 각진 이유는?
2015.07.05
시험했다. 그 결과 해마 꼬리같은 직육면체 꼬리가 원통형 꼬리보다 비틀림 등 외부
손상
에 더 잘 견디며, 물건을 들어 올리는 힘도 더 세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 결과는 ‘사이언스’ 3일자에 실렸다 ... ...
“저는 빛만 있으면 암세포를 부숴 버립니다”
2015.06.30
이 물질은 암세포 속으로 들어가면 치료제와 자동으로 분리되기 때문에 치료제에는
손상
을 입히지 않고 치료제가 깊은 암 조직까지 들어갈 수 있게 돕는다. 연구진이 개발한 유전자 전달체를 이용해 흑색종을 앓고 있는 생쥐에게 유전자치료제(p53 유전자)를 투여한 결과 유전자치료제만 사용했을 ... ...
PART 01. 光의 시대, 光테크를 보여드립니다
과학동아
l
2015.06.30
레이저는 쏘는 시간이 워낙 짧기 때문에 아무리 강한 빛을 쏴도 그 지점 외에는 따로
손상
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살아있는 세포에 200nm 크기의 작은구멍을 뚫을 수 있을 정도입니다. 이렇게 되면 세포를 죽이지 않고 수술을 할 수 있죠. 머지않은 미래엔 몸속의 3차원 영상을 촬영할 때도 펨토초 ... ...
세월호 인양 7가지 질문
과학동아
l
2015.06.30
위해 세월호를 인양하는 것이다. 인양하는 과정에서 사체가 배 바깥으로 빠져나가거나
손상
되면 목적을 잃고 만다. 세월호는 현재 좌현을 바닥에 대고 누워있는데, 들어 올리는 과정에서 깨진 유리창으로 사체가 나올 위험이 있다. 이걸 막기 위해 그물을 쳤다간 되려 잠수사가 위험해질 수 있다. ... ...
‘불멸의 세포’ 막는 장애물의 정체는?
2015.06.28
세포 분열을 늦추는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세포 분열이 중단되면 텔로미어는
손상
을 입게 되고, 그 결과 세포는 사멸의 길로 들어선다. 사이언스 제공 사멸로 가는 길을 나타낸 ‘네이처’와 반대로 이번 주 ‘사이언스’는 싹트는 생명을 담았다. 표지를 장식한 이미지는 수정된 지 14. ... ...
병원체에 대한 고찰
2015.06.22
타격을 받아 역시
손상
이 심해진다. 즉 ‘U’자형 곡선을 그린다. 메르스로 인한
손상
의 개인차도 이 곡선이 어느 정도 설명할 것 같다. 그렇다면 최근 각 매체에서 면역계를 강화한다며 소개하는 건강식품들을 면역력이 적당한 사람들이 먹었다가는 오히려 역효과가 나는 건 아닐까. ● 중용의 ... ...
메르스 환자 8명 ‘에크모’ 치료… 3명 상태 호전
동아일보
l
2015.06.22
원리로 작동한다. 메르스 확진환자의 경우 바이러스가 일으킨 심각한 폐렴으로 폐의
손상
이 심해 인공호흡기로는 생명 유지가 어려울 때 에크모를 사용한다. 에크모를 이용해 몸속에 산소를 공급해주면 이후 치료를 통해 폐가 회복되는 시간을 벌 수 있다. 전국 병원 중 100여 곳이 현재 에크모를 ... ...
열나면 메르스? 발열 증세 나타나는 질환 다양
동아일보
l
2015.06.22
것이 좋다. 해열제는 단기 체온 조절을 도울 수는 있지만, 무분별한 사용은 간이나 신장
손상
을 일으킬 수 있어 복용 전 의사에게 상담을 받는 것이 좋다. ○ 기초체온과 면역력 증진 필요 만성질환자뿐 아니라 일반인들도 아침에 체온을 측정해 본인의 기초체온을 알아두는 것이 좋다. 기초체온이 ... ...
[메르스 업데이트] 박쥐는 어쩌다 인간 감염병 바이러스의 온상이 됐나
2015.06.19
다른 포유류와는 면역체계가 조금 다르다”면서 “박쥐는 바이러스의 활동으로 DNA가
손상
될 것에 대비해 이를 막거나, 망가진 DNA를 복구하는 유전자도 많이 갖고 있다”고 말했다. 일부 박쥐에게서는 사스 바이러스와 에볼라 바이러스에 대항하는 항체가 발견됐고, 세포 안에서 바이러스의 증식을 ... ...
세포 내 ‘쓰레기 단백질’ 배출 원리 밝혀져
2015.06.16
갖추고 있다. 하지만 청소가 제대로 되지 않을 경우 변성 단백질이 쌓여 신경세포를
손상
시킨다. 파킨슨병과 루게릭병이 대표적인 예다. 연구진은 세포 내 쓰레기인 변성 단백질이 p62라는 단백질과 접착해 세포 내 소각로 역할을 하는 리소좀에 전달된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이전에는 p62가 ... ...
이전
241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