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솜씨
테크닉
재주
기량
서술
숙련
수완
d라이브러리
"
기술
"(으)로 총 9,246건 검색되었습니다.
IBM’s Next 5 in 5 List
과학동아
l
201103
노력을 한다. 그렇게되면 팔의 운동 에너지로 재충전되는 손목시계처럼 에너지변환
기술
이 적용될 수 있다. 배터리가 필요없어진다.3. 개인 센서들 : 현재 대부분의 과학적 데이터는 과학자들이 현장에 나가 센서를 설치하는 방식으로 수집한다. 5년 이내 상당수의 데이터들이 우리의 휴대전화, ... ...
Part 2. 미국까지 3시간, 지구가 좁아진다
과학동아
l
201103
발전한 스마트폰이 쓰이고 있고, 수직이착륙 항공기도 이미 실제로 존재하는
기술
”이라고 말했다. 불가능할 것으로 보이는 아이디어들을 실현시키는 게 과학이다. 빛보다 빠르게 날아 시간을 거스르는 타임머신을 상상하는 우리에게 소리보다 빠른 비행기를 향한 갈망은 어쩌면 당연한 것 아닐까 ... ...
레이저 광선 흡수하는 ‘안티레이저’ 개발
과학동아
l
201103
내보내는 레이저가 아니라 빛을 흡수하는 ‘안티레이저’
기술
이 개발됐다. 이
기술
을 이용하면 광자를 사용하는 광학컴퓨터나 신개념 영상의학 장비 등을 개발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 결과는 ‘사이언스’지 2월 18일 호에 소개됐다.미국 예일대 물리학자인 더글라스 스톤과 휴이 ... ...
입자 가속기 삼국지
과학동아
l
201103
논의해야 한다. 하지만 진정한 ‘과학강국’을 꿈꾼다면 가속기는 꼭 필요하다. 기초과학
기술
을 거머쥔 국가가 미래 강대국으로 부상할 거라는 데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은 없기 때문이다 ... ...
굿 바이! 킬로그램의 어머니!
과학동아
l
201103
하지만 와트 밸런스는 매우 복잡한 장치라 실용적이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워낙 어려운
기술
이라 와트 밸런스는 몇몇 선진국에만 있다.2011년 10월 국제도량형총회가 열리면 새로운 질량의 정의가 탄생한다. 아보가드로 상수와 플랑크 상수 중 과연 어느 것이 새로운 질량의 표준으로 등극할지는 ... ...
파리는 어떻게 벽에 달라붙나?
과학동아
l
201103
수 있음을 깨달았다. 좋은 예가 바로 곤충의 부착능력이다.곤충의 부착능력은 인공 부착
기술
로는 따라가지 못하는 면들이 많다. 우선 곤충들의 부착능력은 어느 벽이든 가리지 않는 편이다. 이제까지 알려진 바에 따르면 곤충들이 붙을 수 없는 자연 구조물은 거의 없다.곤충의 놀라운 부착능력은 ... ...
2020년 무선전력전송
기술
이 세상을 바꾼다
과학동아
l
201103
과학동아 2월호에 게재된 ‘2020년 세상을 바꿀 독자선정 10대
기술
’ 투표 결과가 나왔습니다. 모두 128명이 투표했는데, 그 중 27표를 얻은 무선전력전송 기 ... 온 뒤 무선전력전송을 연구하고 있다. 아직 개척 중인 분야라 힘든 부분이 많지만,
기술
이 시연되는 순간이 가장 즐겁다고 한다. ... ...
한국의 인공태양, 세계의 태양으로 뜨다
과학동아
l
201103
KSTAR를 진행하면서 초고진공, 극저온, 초전도 등 첨단극한
기술
관련 10여 가지의 핵심
기술
을 확보했다. 국내외에 200개가 넘는 특허를 취득하는 성과도 거뒀다. 한국이 세계에서 처음으로 핵융합 발전소를 짓는 것이 꿈만은 아니다.그런 의미에서 미래의 무한 핵융합 경쟁을 대비하려면 많은 인력이 ... ...
초소형 MEMS
기술
의 꿈
과학동아
l
201103
소자가 들어 있다. 인류가 당면한 과제인 에너지와 환경 문제 해결에도 역시 MEMS 및 나노
기술
이 답을 준다. 마이크로-나노의 세계에는 인간이 상상하기 어려운 가능성이 열려 있다. 미래를 개척하고자 하는 젊은 인재들이 이 속에서 해답을 찾길 바란다. ... ...
Part 3. 세계가 주목하는 한국 여성 수학자
수학동아
l
201103
미국 하버드대에서 5년 만에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26세라는 나이로 한국과학
기술
원(KAIST) 수학과 조교수로 임용돼 최연소 교수 기록을 세웠다. 박사학위 논문 외에 별다른 경력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KAIST가 파격적으로 그녀를 교수로 임용한 이유는 그녀의 가능성을 염두해 뒀기 때문이다. 최 ... ...
이전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