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로
길거리
거리
가로
노선
항로
경로
d라이브러리
"
길
"(으)로 총 4,153건 검색되었습니다.
동양 공룡 VS 서양 공룡 티라노 필적하는 포악한 싸움꾼 양추아노사우루스
과학동아
l
200302
A: 디플로도쿠스(Diplodocus)다. 디플로도쿠스의 꼬리는 총 70여개의 꼬리뼈로 이뤄져 있고,
길
이는 15m에 이르러 거대한 채찍과 흡사하다.Q: 가장 단단한 껍질을 가진 공룡은?A: 단연 안킬로사우루스(Ankylosaurus)다. 철갑을 두른 듯한 외피는 다른 육식공룡들의 날카로운 이빨과 발톱으로부터 ... ...
이라크전에 등장 예고된 전자기파 펄스 무기
과학동아
l
200302
일시적으로 극심한 통증을 유발하며 방향감각을 잃게 한다.이 무기의 핵심장치는
길
이 1m에 지름이 4cm인 폴리머 복합재료로 만들어진 튜브 안에 담겨 있다. 튜브 안에는 여러개의 압전판이 일정한 간격으로 늘어서 있다. 압전판은 전기를 걸어주면 모양이 저절로 변형된다. 반대로 압전판에 압력을 ... ...
반도체 나노소재기술
과학동아
l
200302
지름이 수nm에서 수십nm 이내로,
길
이는 수μm 이상까지 조절이 가능하고 종횡비(
길
이 대지름의 비율)가 크기 때문에 초미세 나노소자를 제작하는데 매우 적합하다. 나노막대보다 좀더 긴 경우는 나노 와이어라 불린다. 나노막대나 나노와이어는 기존에 구현할 수 없었던 다양한 기능을 가진 ... ...
분뇨에서 노다지 캐는 환경공학자 박완철
과학동아
l
200302
세상 만드는 과학자이제는 만성이 됐는지 똥박사라는 별명에 대해 ‘딴짓 하지 말고 한
길
을 가라’는 채찍질로 받아인다는 박 박사. “제 영문 이름이 W.C. Park입니다. WC는 화장실을 뜻하잖아요? 분뇨 연구가 피할 수 없는 제 운명이라는 의미인 듯해요”라며 털털하게 웃는다. 세상에서 가장 ... ...
유리잔 속 빛의
길
과 물의 진동
과학동아
l
200302
굵은 기타 줄을 퉁
길
때 더 낮은 소리가 나는 것과 같은 현상이다.뚝딱 실험2 빛이 가는
길
■ 왜 그럴까?!유리잔 속에 물만 넣었을 때는 빛의 진로가 잘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우유 몇방울을 넣으면 빛의 진로가 잘 보인다. 그 까닭은 우유 입자가 빛을 산란시키기 때문이다. 산란은 빛이 먼지나 ... ...
혜성 핵을 향한 여행
과학동아
l
200302
깎이는 경우를 말한다 개석의 정도(개석도)는 골짜기의 분포밀도, 골짜기의 깊이 너비
길
이 등을 적당한 방법으로 수량화하는 것에 따라 표시된다 이것은 그 침식작용이 이루어진 시대의 신구(新舊)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핵을 다른 세포질로 바꿔치는 일 다른 종 사이의 잡종(A×B)을 ... ...
③ 배아복제 금지법은 세계 어디에도 없다?
과학동아
l
200302
문제가 되는 배아복제는 더이상 하지 않고 이후의 연구는 자유롭게 할 수 있는
길
을 열어준 것으로도 볼 수 있다. 또 정부의 지원을 받지 않는 민간 차원의 배아복제연구는 여전히 가능하기 때문에 배아줄기세포주는 계속 만들어질 수 있다.2002년 유엔 인간복제 금지 국제협약 관련 회의에 다녀온 ... ...
가치 있는 기업을 꿈꾸는 컴퓨터 의사 안철수
과학동아
l
200302
어떻다고 해서 자기 적성을 잊고 헤매고 있다. 그렇지만 지금 주위 사람들이 권유하는
길
은 청소년들이 세상에 나갈 10-20년 뒤면 달라질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알 수 없는 미래 전망에 휘둘리지 말고 지금 하고 싶은 것과 잘할 수 있는 것, 그리고 지금 하고 있는 것 세가지가 맞는 분야를 택하면 보람 ... ...
한국형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오케스트라 지휘자 - 유향숙
과학동아
l
200301
일자리를 만들어낼 것이다. 그때를 위해 정부가 새로운 첨단 생명공학 분야의 과학자를
길
러내고 기초연구를 지원해야 한다고 유 박사는 지적한다. 아울러 자신이 단장을 맡은 인간유전체기능연구사업단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논어, 삼국지, 그리고 경외감유 박사는 “사업단 내의 3 ... ...
① 예측 불가능한 기형아 태어날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301
긴 경우도 있다”며, “복제하려는 대상에서 추출한 세포의 분열시기에 따라 텔로미어의
길
이가 달라지는 것으로 밝혀졌다”고 말했다.복제를 추진한 과학자가 아기를 안고 나와 최초의 복제인간이라고 발표한다고 생각해보자. 과연 그 아기가 복제를 통해 태어났다는 사실을 어떻게 확인할 수 ... ...
이전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