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목숨
수명
삶
인생
생애
명
생계
d라이브러리
"
생명
"(으)로 총 5,70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수학퍼즐이 뭐기에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앉아 있지. 그런데 그때 똑똑 문을 두드리는 소리가 들리는 거야. 지구 상에 사람 이외의
생명
체는 존재하지 않는데 말이지. 대체 누가 문을 두드린 걸까?정답은 살아남은 여자. 문제에서 유일하게 살아남은 사람이 아니라 남자라고 했잖아. 여자가 살아 있었어.▼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퍼즐 ... ...
꿈을 향해 어디까지 왔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캠프에 참가해서 좋은 경험을 쌓고, 그 내용을 네 꿈을 향한 기록으로 남긴다면 좋겠지.
생명
공학 계통 대학에서 열리는 캠프를 알아보는 것도 좋고, 제약회사에서 청소년을 대상으로 여는 캠프에도 참가해보렴. 이과생은 배경지식이 있어야 독서를 할 수 있어. 읽은 책 목록만 봐도 그 학생이 갖고 ... ...
생명
과학 - 육종과 유전자 재조합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인류는 농사를 짓고 가축을 사육하기 시작한 이래 끊임없이 더 좋은 농작물이나 가축을 만들기 위해 노력했다. 이번 호에서는 육종의 의미와 함께 전통적인 방식과 현대적인 방식의 육종에 대해 살펴보자. ...
Part 2. 게놈 클럽 신분증 직접 만들어보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8월 11일, 침팬지의 게놈 신분증을 만든 과학자가 대전 한국
생명
공학연구원에 있다는 반가운 소식을 듣고 연구원으로 달려갔다. 주인공은 박홍석 유전체자원센터 (GRC) 센터장. 연구동 건물 1층 복도에는 삽살개, 돼지부터 김치 속 미생물 사진까지 쭉 걸려있었다. 곧 박 센터장에게 게놈 신분증을 받을 ... ...
세 천재가 밝힌 ‘
생명
의 비밀’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과학자의 입지를 다져가는 대기만성형 천재였다.‘20세기
생명
과학 최대의 발견’, ‘
생명
의 비밀을 밝힌 역사적 연구’인 DNA의 이중나선 구조 발견. 이 위대한 역사를 세 명의 서로 다른 등장인물의 삶과 시각을 통해 비교해 보는 재미는 남다르다. 하지만 책을 다 읽고 나면, 찬란한 발견의 순간은 ... ...
1981년 마틴 에번스 교수의 생쥐 배아줄기세포 확립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인간배아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가 꿈에서 현실이 되는 토대가 마련되자 수많은
생명
과학자들이 줄기세포연구에 뛰어들었고 배아를 파괴해야만 얻을 수 있는 배아줄기세포 연구는 비윤리적이라는 논란도 불거지기 시작했다. 한편 1996년 세상을 깜짝 놀라게 한 복제양 돌리를 만든 영국 ... ...
Part1. 동물 1만 종 게놈 해독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담긴 정보가 mRNA로 전달되는 건 아시죠? mRNA만 분석하면 실제로 단백질을 만드는 게놈, 즉
생명
기능이 들어 있는 게놈만 알아낼 수 있어요. 이제 최대한 많이 게놈을 모으려는 경쟁이 시작됐습니다. 게놈이 바로 돈이거든요.사회자 사람도 마찬가지에요. 이미 1000명의 개인 게놈 프로젝트가 진행 ... ...
나노물질로 유도만능줄기세포 만든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더 천천히 분해됐고 따라서 분화에 필요한 단백질이 더 많이 만들어졌다.조 교수는 “
생명
공학과 나노기술을 융합한 이번 연구로 더 안전한 유도만능줄기세포를 더 높은 효율로 얻을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바이오머티리얼스’ 8월호에 게재됐다 ... ...
DNA벽돌로 나노 만리장성 만든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줄여서DNA)이 나노 구조물을 만드는 재료로 변신했다.미국 캘리포니아공대
생명
공학과 박사과정에 재학 중인 우성욱 씨와 지도교수인 폴 로데문트 박사는 DNA 오리가미를 타일로 써서 다양한 2차원 나노 구조물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네이처 화학’ 8월호에 발표했다. DNA 오리가미는 실 형태( ... ...
세계에서 가장 밝은 빛 쏜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밝기도 일정해 관측 효율도 높다. 수 나노미터 수준의 구조도 선명하게 관찰할 수 있다.
생명
과학을 연구한다면 원자 수준까지 ‘눈으로 보면서’ 연구할 수 있는 셈이다.또 하나 중요한 특징은 ‘동영상’ 관찰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구조와 함께 시간 변화도 관찰할 수 있다는 뜻이다. 이는 ... ...
이전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