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한민국
코리아
korea
대한
남한
Korea
대한 민국
d라이브러리
"
한국
"(으)로 총 9,740건 검색되었습니다.
ASMR 효과, 직접 실험해 보니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소감을 밝혔다. 뇌 64개 지점에서 뇌파 측정실험은 촉촉한 봄비가 내리던 식목일 오후,
한국
과학기술연구원(KIST) 바이오닉스연구단 연구실에서 이뤄졌다. 연구팀은 피실험자인 신 기자를 사방이 차단된 실험 부스에 앉힌 뒤, 알록달록한 수영모를 연상시키는 뇌파(뇌전도·EEG) 측정 장치를 머리에 ... ...
[시사기획] 남북 과학기술 협력 분야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북한이 선택한 전략은 고려의학을 발전시키는 것이었다. 남한의 한의학 정부연구기관인
한국
한의학연구원에 해당하는 북한 고려의학과학원을 중심으로 2016년에는 5만여 건의 민간요법을 이론적으로 체계화했다. 또 고려약 위주로 제약 공장을 세우고, 의료 인력 양성과 진료에도 양·한방을 ... ...
Part 3. 개인정보보호법 갈등 해결사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때문에 분야별로는 GDPR보다 규제가 더 강력한 부분도 있다. 박 교수는 “기본적으로
한국
의 법도 GDPR처럼 하나의 큰 규칙으로 통일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고 교수는 “GDPR이 발효되고 나면 국내에도 여러 가지 형태로 직접적, 간접적 영향이 나타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 ...
[Tech] KIOST 수중로봇 챌린지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안전하다”고 설명했다. 김현식 동명대 로봇시스템공학과 교수는 미국과 캐나다,
한국
에서 개발한 초소형 해양로봇을 소개했다. 국내에서는 2011년과 2012년 ‘에이샤크(A-Shark)’를 개발한 바 있다. 이외에도 대회장에는 KIOST가 개발 중인 수중건설로봇 3종과 해저환경 조사용 수중로봇 ‘KIO ... ...
[Issue] 애증의 잠, 잘 자려면?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환자가 사각지대에 있습니다. 청소년기 졸음 심하면 기면증 의심해야2008년 14~19세
한국
청소년 2만407명을 대상으로 한 역학 연구에서 기면증 유병률은 0.015%로 조사됐습니다. 1만 명 가운데 1.5명이 기면증 환자인 셈입니다. 많은 부모가 생활습관을 탓하며 자녀가 기면증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 ...
[서울대 공대] 창의공학 인재가 모인다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모델링을 해보면서 기계공학에 처음 관심을 갖게 됐다.그는 교육부에서 운영하는
한국
형 온라인 공개강좌(K-MOOC)를 수강하는 등 온라인에서 정보를 찾아보면서 기계공학이 어떤 학문인지 좀 더 자세히 조사했다. 기계공학의 커리큘럼 등을 살펴본 이 씨는 “공학자가 되기 위해 기본적으로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미륵사지 석탑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새 화강암 2000여 개로 복원했지요. 이 때문에 명지대학교 유홍준 교수는 “20세기
한국
문화재 복원 최악의 사례로 기록될 것”이라고 평가하기도 했답니다. “동탑이 서탑의 모습을 본땄다면서 왜 두 탑의 높이가 다른가요?” 친구들의 질문에 연구사님은 복원과 보수의 차이에 대해 말씀해 ... ...
Part 3. 냠냠~ 미세먼지 잡아먹는 건물이 나타났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우리가 살고 있는 건물을 미세먼지 사냥꾼으로 만들어 보는 건 어떨까? 거짓말이 아니야. 정말로 이런 일이 벌어지고 있다고! 도시에 ‘세워진’ 숲?식물은 잎에 있는 작은 구멍인 ‘기공’을 통해서 미세먼지를 잡을 수 있어요. 식물은 기공을 통해 체내의 수분을 대기 중으로 내보내는 ‘증산작 ... ...
Part 3. 소똥구리를 지켜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우리 소똥구리는 생태계에 이렇게 쓸모가 많은 곤충이라고. 그런데 몽골 소똥구리가
한국
으로 가면 서식 환경이 달라질 텐데 잘 살 수 있을까? 몽골 소똥구리와 토종 소똥구리는 한 가족!몽골에서 살고 있는 소똥구리를 우리나라에 복원해도 아무 문제가 없을까요? 국립생물자원관과 배연재 ... ...
인공어초 파헤치기
수학동아
l
2018년 05호
없고 바다식물도 없습니다.”갯녹음이 일어난 바다에 들어가 봤느냐고 물었더니
한국
수산자원관리공단 김태식 생태복원실 책임연구원은 이렇게 답했습니다. ‘아무것도 없다’고 말이에요.갯녹음은 연안 암반에 살던 대형 해조류가 사라지고 대신 시멘트와 같은 무절석회조류가 암반을 뒤덮는 ... ...
이전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