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최후
최종
결말
대단원
궁극
막바지
뉴스
"
마지막
"(으)로 총 2,828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방과학연구소, ‘암호장비 도난’ 허술한 대응 논란
동아일보
l
2015.10.12
서울과 통신이 가능한지 테스트만 수차례 했다는 게 관계자들의 증언이다. 이 때문에
마지막
테스트 통신을 한 2014년 6월 이후 사라진 10월까지 4개월이 지나도록 이 장비가 제대로 있는지 관심조차 두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당장 필요하지도 않은 민감한 장비를 해외에 갖다놓고 제대로 관리를 ... ...
삼시세끼 어촌편 만재도는 ○○○가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5.10.09
바닷물이 줄어 육지가 많이 나오지요. 즉 바닷물 양에 따라 해안선이 바뀌는 겁니다.
마지막
빙하기인 제4빙하기는 1만 1000년 전에 있었습니다. 빙하기인 만큼 바닷물이 적었고, 따라서 현재는 얕은 바다였을 부분이 모두 육지였지요. 서해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서해는 현재 바닷물이 들어와있긴 ... ...
“한때 연구보조원” 터키 의사의 인생역전기
2015.10.08
DNA연결효소(ligase)였다. 연결효소는 말 그대로 DNA 가닥을 붙여주는 효소로, DNA복구에서
마지막
과정이다. 그 뒤 본격적인 DNA복구 연구에 뛰어든 모드리치는 미스매치(잘못 짝지음) 복구(mismatch repair, MMR)라는 복구 메커니즘을 규명했다. DNA복제는 매우 정교한 과정이지만 오류는 생겨나기 마련이고 ... ...
SK 와이번즈 울린 야구 명언 ‘히드랍더볼’
동아사이언스
l
2015.10.08
떨어뜨린 상황을 일컫는 은어로 자리 잡았습니다. 야구 팬들은 넥센과 SK의 와일드카드
마지막
장면에 2009년 메츠와 양키즈 경기의 해설을 더빙한 재미난 영상을 만들었습니다. 직접 감상하시죠. ☞유투브 링크 바로 가기 ... ...
대구가 돔구장이었다면 삼성의 5연속 통합우승 없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5.10.05
승리를 가져갑니다. 아마도 34년 동안 삼성의 수호신이었던 대구시민구장이 삼성에게 준
마지막
선물이었던 것 같습니다. 이쯤에서 전 한 가지 생각이 들었습니다. ‘야만없(야구에는 만약이 없다)’지만 만약 대구시민구장이 야외 구장이 아니라 뚜껑이 덮인 '돔 구장'이었다면? 아마 올해 ... ...
[내 생애 최고의 의술]환자에 긍정 바이러스… 유방암 3기-1기 중년자매 동시 치료
동아일보
l
2015.10.05
주고 싶다고 했다. 그는 “항암 치료와 수술로는 암 세포를 99%까지밖에 제거할 수 없다.
마지막
1%는 환자의 긍정적인 마음과 행복바이러스가 있어야 가능하다”며 “나도 두 자매를 치료하면서 의술은 기술이 아니라 마음이라는 사실을 다시금 배웠다”고 강조했다. ▼ 유방암 예방하려면 ▼ “콩 ... ...
화성에서 유로파까지, 우주에서 물 찾아 삼만리
2015.10.02
이것이 나의
마지막
기록이 될지도 모른다. (중략) 나는 곧 하이드라진을 자극할 것이다.” 8일 개봉하는 영화 ‘마션’은 동명의 소설을 원작으로 하는 화성 표류기다. 소설에서 주인공 마크 와트니는 불의의 사고로 화성에 홀로 남겨진 뒤 구조대가 도착할 날을 기다리며 자신이 마실 물과 농사에 ... ...
“충성! 남극세종과학기지 이상무”
동아일보
l
2015.10.01
요원으로 선발됐다. 이 상사는 “극한의 바다에서 국민의 안전과 생명을 지키는
마지막
보루라는 생각을 항상 가슴속에 새기고 사소한 것 하나도 소홀히 하지 않도록 철저하게 사전 준비를 하고 있다”며 “단 하루의 휴가도 없고 파견 기간에는 가족과 만날 수도 없지만 남극 대륙의 유일한 ... ...
롯데월드타워 첨탑부에 다이아무늬 새겨진 비밀은?
2015.09.25
한창이다. 여기서부터 123층을 거쳐 555m 맨 꼭대기까지 첨탑부가 롯데월드타워 완공의
마지막
관문이다. 이 부분만 서울 여의도 63빌딩 높이(249m)의 절반쯤 된다. 107층에 들어서니 크레인이 올려다 놓은 대형 건축 자재들이 곳곳에 쌓여 있다. 그런데 모양이 조금 특이하다. 자음 ‘ㅅ(시옷)’처럼 ... ...
논문에서…내 이름이 사라졌다
과학동아
l
2015.09.24
없다. 시험도 친다. 대학원생 역시 입학부터 졸업까지 연구윤리 이야기를 꾸준히 듣는다.
마지막
원인은 한국사회에 뿌리 깊게 박힌 교수와 학생의 갑을 관계다. 생물학 연구자 D는 “일상생활에서 갑과 을인데, 논문 쓸 때도 그 관계가 이어진다”며 “연구를 계속하려면 교수의 추천서도 엄청 ... ...
이전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다음
공지사항